• 제목/요약/키워드: serum composition

검색결과 638건 처리시간 0.026초

식이중에 첨가된 섬유소의 종류와 수준이 흰쥐의 체내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ources and Levels of Dietary Fiber on Lipid Composition in Rats)

  • 서정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1권3호
    • /
    • pp.164-172
    • /
    • 1988
  • 식이 중의 섬유소 종류와 급여수준이 흰쥐의 혈청과 간 조직내의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섬유소중 pectin과 cellulose를 선택하여 급여수준을 5%, 10%, 20%로 달리하여 식이중에 참가하였다. 각 군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0,5%로 고정시켰고 이와는 별도로 콜레스테롤 무첨가군을 설정하였다. 각 실험식이로 4주간 사양한 후 혈청과 간에서의 지질함량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체중 증가량은 식이섬유소의 종류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어 pectin 첨가군은 cellulose 첨가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cellulose첨가군에서는 대조군과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사료효율에 있어서도 pectin 10%와 20% 첨가수준에 있어서 대조군에 비하여 점차로 감소되었다. 간장의 무게는 체중 증가량의 변화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2) 간장내의 총 지질수준에 있어서는 pectin군은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로 감소되었고 cellulose 첨가군에서는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서 오히려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간의 콜레스테롤 수준도 총 지질과 마찬가지로 pectin 첨가군의 경우에 첨가수준의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되었고 20% 첨가수준에서는 cholesterol 무첨가군과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Cellulose첨가군에서는 첨가수준이 감소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인지질은 pectin 5%, 10%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점차로 증가하였으나 20%군에서는 감소된 경향을 보였고 cellulose 첨가군에서는 따라서 일치된 경향을 보이지는 않았다. 3) 혈청내 콜레스테롤 수준은 pectin첨가군에서는 첨가수준의 증가에 따라 대조군과 별다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cellulose 처가군에서는 10%, 20% 수준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형청내 인지질 함량은 pectin 첨가의 경우에는 첨가수준에 관계없이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cellulose 첨가의 경우에는 모든 첨가수준에 있어서 대조군보다 증가하였다. 중성지바의 함량은 pectin첨가군에서는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cellulose첨가군에서는 5% 준에서는 약간의 증가를 보였으나 10%, 20% 수준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콜레스테롤 무첨가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 PDF

일부 농촌지역 고혈압여성의 영양섭취 상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utrients Intakes of Hypertensive Female Farmers)

  • 이성현;황보영숙;이한기;정금주;이연숙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7권2호
    • /
    • pp.149-157
    • /
    • 2002
  • 농촌지역 여성의 고혈압 예방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충주지역의 고혈압환자 및 정상인 지원자를 대상으로 2001년 5월 11일-15일(5일 동안)에 걸쳐 일반적인 건강 및 영양섭취상태를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고혈압군에서 체중, 허리둘레, 허리와 엉덩이 둘레의 비, 허리와 허벅지 둘레 및 혈청 중성지방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지방을 제외한 영양소 섭취량은 고혈압군에서 많았으나 칼슘과 비타민 $B_2$ 섭취량은 권장량의 70% 수준이었다. 뇨중 나트륨 배설량 및 뇨중 나트륨 배설량으로 추정된 나트륨 섭취량은 고혈압 군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배추김치의 Na(mg/g) 함량과 Na/K이 고혈압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조사대상의 나트륨 섭취실태 조사에는 짠맛에 대한 기호도, 염장식품의 염도 및 뇨중 나트륨 배설량 등의 분석도 필요하며, 농촌 고혈압 여성의 혈압 및 건강관리를 위해서는 단순한 식염 섭취의 감소뿐 아니라 싱겁게 먹으려는 개인의 노력과 캄슘, 칼륨 및 비타민 $B_2$ 섭취수준의 적정화 등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교육과 지도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경기도 일개 지역사회 대표집단에서 고호모시스테인혈증의 유병률 및 관련요인에 대한 단면조사연구 (Prevalence of Hyperhomocysteinemia and Related Factors in a Community-based Health Examination Survey: A Cross-sectional Study)

  • 김수정;임경숙;송미숙;강연지;이순영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2권5호
    • /
    • pp.337-342
    • /
    • 2009
  • Background : Many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elevated homocysteine in the serum is a well known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and this is associated with other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 but any Korean data on this is limited.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calculate the prevalence of hyperhomocysteinemia and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elevated homocysteine and the lifestyle factors of Korean adults. Methods : We conducted a cross-sectional survey that included 650 men and 743 women (age range, 20 to 79 years) who were residents of Gwangju City in Gyeonggi-do. These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health interview and examination survey from November to December 2005. The total homocysteine,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 in the serum were measured. All the participants had their body composition measured such as height and weight, and we obtained health-related behavioral information through the self-entry questionnaire. Results : Very right-handed skewed distributions of homocysteine were shown in men and women. The prevalence of hyperhomocysteinemia was 22.6% in men and 13.7% in women in Gwangju city. On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hyperhomocysteinemia was associated with age (OR=1.02, 95% CI=1.01-1.04), male gender (OR=1.60, 95% CI=1.02-2.52), severe general physical activity (OR=0.32, 95% CI=0.15-0.69) and nutrient consumption (OR=0.49, 95% CI=0.31-0.76). Conclusions : There is a great prevalence of hyperhomocysteinemia in adults of Gwangju City, Korea and it was associated with both genetic factors and lifestyle risk factors. This study can suggest that comprehensive lifestyle modification is needed in order to diminish the prevalence of hyperhomocysteinemia and to prevent CVD.

The Combined Effect of β2- and β3-Adrenergic Receptor Genotypes on Hyperglycemic Risk in the Korean Population

  • Oh, Hyun-Hee;Kim, Kil-Soo;Park, Sun-Mi;Shin, Seung-Uoo;Yang, Hun-Sung;Yoon, Yoo-Si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9권1호
    • /
    • pp.71-78
    • /
    • 2004
  • Adrenergic receptors play a major role in thermogenesis and lipolysis in brown and visceral adipose tissues, and have been implicated in the pathogenesis of obesity and metabolic disord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effects of $\beta$2-adrenergic receptor ($\beta$2AR) and $\beta$3-adrenergic receptor ($\beta$3AR) genotypes on hyperglycemia and obesity in the Korean population. A representative sample consisting of 530 Korean men and women were measured for height, weight, BMI, WHR, obesity index and body composition. The genotypes of $\beta$2AR polymorphism in codon 27 and $\beta$3AR polymorphism in codon 64 were analyzed by the PCR RFLP method. Serum concentrations of fasting glucose, total cholesterol, HD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were determined. The frequencies of $\beta$2AR and $\beta$3AR genotype were: both wild type, 62.5% ; only $\beta$2AR variant type, 12.8% ; only $\beta$3AR variant type, 18.8% ; and both variant type, 5.8% ; the frequency of E and R alleles were 0.098 and 0.137, respectively. Among the physiological parameters, fasting glucose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ubjects with both variant type compared with the three other types (p <0.05), Subjects with both variant type had 12%, 12% and 9.3% increases in serum glucose levels compared with wild type, only $\beta$2AR variant type, and only $\beta$3AR variant type, respectively. Whe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risk for hyperglycemia, the subjects were selected for fasting blood glucose concentrations of more than 6.105 m㏖/L (110 mg/dL), and the odds ratios were 1.215 (p=0.636) for only $\beta$2AR variant type,1.659 (p=0.089) for only $\beta$3AR variant type, and 3.078 (p=0.011) for both variant typ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teraction of $\beta$2AR and $\beta$3AR variant genotypes has a strong association with increased glucose levels, and might be a significant risk factor for hyperglycemia among Korean subjects.

발아 생식을 이용한 비만개선 효과에 관한 연구 (Effect of Improve Obesity with Sprout Raw Grains and Vegetables)

  • 서정숙;방병호;여인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50-160
    • /
    • 2001
  •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여자직원들을 대상으로 건강한 사람 11명과 체질량지수 25이상인 7명을 선정하여 4주간의 발아생식을 섭취한 후 인체 계측과 혈당, 혈청 지방질 변화를 보기 위해 triglycerides, total-cholesterol, HDL-cholesterol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4주간 발아생식을 섭취한 후 비비만군의 평균체중은 54.2kg에서 51.7kg으로 (P<0.001) 비만군은 평균체중 69.1kg에서 65.6kg으로 (P<0.001) 모두 유의적 감소율을 보였다. 2. 피하지방 두께 변화는 삼두박근의 경우 비비만군에서 21.6mm에서 19.95mm로, 비만군에서도 35.4 mm에서 32.1mm로 모두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P<0.01, P<0.05) 또한 신체둘레에 있어서는 허리둘레가 비비만군이 69.7cm에서 66.8 cm로 현저히 감소하였고(P<0.0001)비비만군도 84.2cm에서 80cm로 감소하여 유의성을 보여 (P< 0.017), 발아생식은 복부비만자에게 효과가 있다고 생각된다. 3. 비만군, 비비만군 모두 혈당, triglycerides, total cholesterol의 감소를 가져왔고, HDL-cholesterol은 비비만군에서 3.3%, 비만군에서 5.8%의 상승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4주간 발아생식을 섭취한 후에 체중과 피하지방 두께의 감소, 혈당 및 혈청지방질 성분이 개선된 것을 볼 수 있었다. 발아생식 제품은 고른 영양소를 함유하여 일상생활에 무리를 주지 않는 범위내에서 체중감량과 혈액 조성이 이상적으로 유도되어 감을 보여주는 다이어트식이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비만으로 동반될 수 있는 당뇨병이나 동맥경화, 심장병, 고혈압, 통풍 등 혈액질환이나 고지혈증과 같은 만성적인 부작용까지도 극복하고 개선될 수 있는 새로운 비만개선 식이로써 좀더 안전하고 효율적인 다이어트를 위한 식품의 개발에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특히 발아생식을 실시했을 때 복부 비만자에게서 허리둘레. 엉덩이둘레가 현저히 감소되었다.

  • PD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gamma}$ 2 $(PPAR{\gamma}2)$ Pro12Ala (P12A) 유전자 다형성이 한국여성의 체지방분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gamma}2$ Pro12Ala Polymorphism on Body Fat Distribution in Female Korean Subjects)

  • 김길수;최선미;양현성;윤유식;신승우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11
    • /
    • 2004
  • Objectives: The effects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2\;(PPAR{\gamma}2)$ Pro12Ala (P12A) polymorphism on body mass index (BMI) and type 2 diabetes are well documented; however, until now, only a few studies have evaluated the effects of this polymorphism on body fat distribu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effects of this polymorphism on computed tomography (CT)-measured body fat distribution and other obesity-related parameters in Korean female subjects. Methods & Results: The frequencies of $PPAR{\gamma}2$ genotypes were: PP type, 93.0%; PA type, 6.8%; and AA type, 0.2%. The frequency of the A allele was 0.035. Body weight (P .012), BMI (P .012), and waist-to-hip ratio (WHR) (P .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ubjects with PA/AA compared with subjects with PP. When body composition was analyzed by bioimpedance analysis, lean body mass and body water content were similar between the 2 groups. However, body fat mass (P .003) and body fat percent (P .025)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ubjects with PA/AA compared with subjects with PP. Among overweight subjects with BMI of greater than 25, PA/AA was associated with significantly higher abdominal subcutaneous fat (P .000), abdominal visceral fat (P .031), and subcutaneous upper and lower thigh adipose tissue (P .010 and .013). However, among lean subjects with BMI of less than 25, no significant differences associated with $PPAR{\gamma}2$ genotype were found, suggesting that the fat-accumulating effects of the PA/AA genotype were evident only among overweight subjects, but not among lean subjects. When serum lipid profiles, glucose, and liver function indicators were compared among overweight subjects, no significant difference associated with $PPAR{\gamma}2$ genotype was found. Changes in body weight, BMI, WHR, and body fat mass were measured among overweight subjects who finished a 1-month weight lose program of a hypocaloric diet and exercis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ssociated with $PPAR{\gamma}2$ genotype were found.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PPAR{\gamma}2$ PA/AA genotype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subcutaneous and visceral fat areas in overweight Korean female subjects, but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serum biochemical parameters and outcomes of weight loss programs.

  • PDF

COD/Nitrate-N비가 혐기성 슬러지에서 탈질과 메탄화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OD/Nitrate-N Ratio on Denitrification and Methanogenesis in Anaerobic Sludge)

  • 박상민;전항배;최창옥;이준상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739-745
    • /
    • 2005
  • 포도당을 사용하여 적응된 전형적인 혐기성 소화 슬러지와 포도당과 질산성 질소를 동시에 사용하여 적응된 혐기성 소화 슬러지, 두 가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C/N 비에서의 탈질반응 및 메탄반응의 동시연구가 수행되었다. 세 가지 다른 serum bottle에 잘 적응된 혐기성 소화 슬러지를 넣어 잘 혼합한 후, 탄소 기질로는 포도당을 사용하여 1,000 mg/L로 고정하였다. 질산칼륨을 이용하여 질산염을 주입하여 C/N 비를 30, 20, 및 10으로 변화시키면서 시간에 따른 가스 발생량, 가스 조성 및 유기물질 제거를 관찰하였다. C/N 비가 높을수록 메탄생성반응에 의한 유기물질제거가 우세한 반면, C/N 비가 낮을수록 메탄생성 반응보다는 탈질에 의한 유기물질제거가 주를 이룸을 알 수 있었다. 10 이하의 낮은 C/N 비에 적응된 슬러지에서 다른 종류의 탄소기질을 이용한 SMA실험 결과, 순수 혐기성 슬러지에서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였을 경우에 가장 높은 0.76 g COD/g VSS day을 보여주었고, SDNR실험 결과, 낮은 C/N 비 5에서 적응된 슬러지에서 아세테이트를 탄소기질로 사용하였을 경우에 가장 높은 SDNR 값 1.38 g ${NO_3}^--N/g$ VSS day를 나타내었다.

발효마황이 고지방식이로 유발된 비만 흰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Fermentated Ephedra sinica on Obese Rats Fed by High Fat Diet)

  • 신영진;김호준;이명종;금동호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7-57
    • /
    • 2009
  •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ermented Ephedra sinica (FMH) nano-extract compared Ephedra sinica (MH) on 3T3 L1 cell viability, lipid and glycometabolism, Obes rats' behavior and state-trait anxiety. Methods and materials : Each of 6 rats was divided into a normal diet, HFD, MH, and FMH. We fed a HFD group of rats a high fat diet and administered normal saline for 8 weeks. And we fed an experimental group of rats a high fat diet and administered an extract of Ephedra sinica and fermentated Ephedra sinica for 8 weeks.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the rats were sacrificed to determine their chemical composition. Ephedra sinica and fermentated Ephedra sinica was examined in effects of 3T3 L1 cell viability, lipid and glycometabolism, rats' behavior and state-trait anxiety. Results : 1. Ephedra sinica and fermentated Ephedra sinica didn't induce cytotoxicity at 3L3 L1 cell. 2. Fermentated Ephedra sinica by Lactococcus confusus inhibit $PPAR-{\gamma}$ activation and promote $TNF-{\alpha}$ activation. 3. In MH and FMH group, the body weight and FER decrease occured significantly than in HFD group. 4. No side effect of Ephedra sinica appeared in FMH group, so fermentated Ephedra sinica have a capacity of anti-anxiety. 5. Serum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cholesterol and creatine of HFD+Ephedra sinica, HFD+LO group were de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HFD group. Decreasing rates of sample group was significant(p<0.05). 6. In both MH and FMH group serum HDL was increased(P>0.05). 7. In MH group only TG was decreased, but in FMH group total cholesterol, TG, and glucose were decreased(P>0.05). Conclusions : Fermentated Ephedra sinica by Lactococcus confusus was superior to Ephedra sinica in capacity of anti-obesity. Further fermentated Ephedra sinica have no Ephedra sinica's side effect.

배합사료에 미역, 어보산 및 고추냉이 첨가가 넙치 치어의 성장, 체성분, 혈액성상 및 비특이적 면역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upplemental Undaria, Obosan and Wasabi in the Experimental Diets on Growth, Body Composition, Blood Chemistry and Non-specific Immune Response of Juvenil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박상언;권문경;이윤호;김경덕;신일식;이상민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10-215
    • /
    • 2003
  • 넙치 치어 배합사료의 첨가제로서 미역 분말, 어보산 및 고추냉이의 효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평균 체중 8.4g 의 넙치를 각 수조마다 30마리씩 3반복으로 수용하여 미역 분말, 어보산 및 고추냉이를 첨가한 6종류의 사료로 8주간 사육하였다. 생존율은 모든 실험구가 95% 이상이었으며, 증중량과 사료효율은 어보산 첨가구가 가장 높았지만 미역 분말 10% 첨가구를 제외한 타 실험구와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일일사료 섭취율은 미역분말 10% 첨가구가 가장 높았다(P<0.05). 단백질효율은 어보산 첨가구가 미역 분말 첨가구 및 고추냉이 줄기 첨가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지만(P<0.05), 대조구 및 고추냉이 잎 첨가구와는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비만도는 어보산 첨가구가 가장 높았지만 미역 분말 10% 첨가구를 제외한 타 실험구와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간중량 지수는 미역 분말 첨가구가 타 실험구에 비해 낮았다(P<0.05).실험 종료시 전어체의 수분, 단백질, 지질 및 회분함량은 모든 실험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간의 수분 함량은 미역 분말 10% 첨가구가 가장 높은 반면, 지질 함량은 가장 낮았다(P<0.05). 혈액 성상 및 혈청 성분은 사료의 첨가제에 따른 특별한 변화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혈청 라이소자임 활성은 미역 분말 5% 및 어보산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식세포의 활성은 어보산 첨가구와 고추냉이 줄기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이상의 결과로 볼 때, 배합사료에 어보산 첨가는 넙치 치어의 성장을 개선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며, 미역, 어보산 및 고추냉이 줄기의 첨가는 넙치 치어의 비특이적 면역계 활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성분계 단백질 혼합물의 미세막 분리공정에서 막오염에 관한 연구 (Fouling Study with Binary Protein Mixtures in Microfilration)

  • 안병훈;문동주;유계상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3권2호
    • /
    • pp.236-242
    • /
    • 2005
  • 대표적인 단백질 물질인 bovine serum albumin(BSA), lysozyme, pepsin, casein 그리고 ovalbumin의 이성분계 단백질 혼합물의 미세 분리 막에서 보이는 막 오염 현상에 관한 실험을 고찰하였다. 트랙 에치법에 의해 제조된 $0.2{\mu}m$ 폴리카보네이트 미세 막을 이용하여 단백질 혼합물 용액의 조성과 종류가 여과유량감속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을 일정한 압력(14 kPa)과 수소이온농도(pH=11) 하에서 수행하였다. 각각의 이성분 단백질 혼합물에 대한 막오염 현상을 확인하였으며, 유량 감속 데이터는 최근에 개발된 pore blockage-cake formation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실험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성분계 단백질 혼합물의 조성과 단백질 종류가 막오염 및 유속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공극막힘속도(${\alpha}$), 단백질 침적층의 초기 저항($R_{po}$) 및 단백질 저항의 증가속도(${\beta}$)에 의해 설명 할 수 있었다. 대체로 공극막힘속도의 변화는 유속감소현상과 일치함을 알 수 있으며, 특히 casein이 존재하는 단백질 혼합물에서의 급격한 유량감속은 casein에 의한 단백질 침적층의 초기저항에 크게 기인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