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rum and liver lipid

검색결과 1,130건 처리시간 0.028초

모유강화제(HMF)가 흰쥐의 성장과 영양상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uman Milk Fortifier on Growth and Nutritional Status of Growing Rats Fed Infant Formula)

  • 이미린;박미나;조수정;전정욱;최유영;박정식;김완식;이연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0-7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갓 이유한 3주령의 어린 흰쥐에게 일반조제유, 미숙아용조제유, 모유강화제(HMF)를 보충한 조제유를 급여하여, 분유의 종류에 따라 성장과 영양상태 및 생리기능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특히, 일반조제유에 HMF를 첨가하여 급여한 경우와 미숙아용조제유를 급여한 경우가 일반조제유 섭취와 비교하여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실험식이는 매일유업주식회사 제품인 일반조제유(프리미엄명작-1; 분말), 미숙아용조제유(베이비웰 프리미; 분말), 모유강화제(베이비웰 에이치엠에프(HMF); 액상)를 사용하였다. 일반조제유군에게는 프리미엄 명작-1에 증류수 13%를, 미숙아용조제유에게는 베이비웰프리미에 증류수 14%를, 그리고 조제유+HMF군에게는 프리미엄명작-1에 HMF를 14% 첨가하여 반고형식으로 실험식이를 만들어 3주 동안 급여하였다. 체중증가량 및 식이섭취량은 미숙아용조제유군과 HMF보충군이 일반조제유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간, 신장, 비장의 체중에 대한 장기 중량 비는 군간 차이가 없었으나, 신장 주변지방과 부고환지방은 미숙아용조제유군과 HMF보충군이 일반조제유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혈청의 총 지질과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은 실험군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반면 혈청의 중성지방은 미숙아용조제유군이 식이 중 지방함량의 영향을 받아 다른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간 조직의 총 지질은 식이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혈청 중성지방과 총 콜레스테롤은 미숙아용조제유군과 HMF보충군이 일반조제유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분 중 총 지질과 중성지방 배설량은 미숙아용조제유군이 나머지 두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분 중 총 콜레스테롤 배설량은 미숙아용조제유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일반조제유군이 HMF군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혈청 생화학 지표에서는 albumin과 total protein이 미숙아용조제유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GOT는 군간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GPT는 HMF보충군에서 증가하였다. BUN은 일반조제유군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혈중 칼슘 농도는 미숙아용조제유군이 다른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혈액의 헤모글로빈 농도는 미숙아용조제유군과 HMF보충군이 일반조제유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혈청의 성장호르몬 농도는 미숙아용 조제유군이 일반조제유군과 HMF보충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식방풍잎(Peucedanum japonicum Thunberg L.)의 물추출물이 3T3-L1 세포와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마우스에서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s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erg L. on 3T3-L1 Cells and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 정호경;심미옥;장지훈;김태묵;안병관;김민석;정원석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0
    • /
    • 2016
  • 본 연구는 식방풍잎(PJT) 물추출물의 항비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지방전구세포인 3T3-L1과 5주령된 C57BL/6 수컷 쥐를 이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3T3-L1 분화실험에서는 PJT를 처리함으로써 지방세포 형성 관련 인자인 C/EBPα 와 PPARγ의 유전자를 억제하였고, 그로 인하여 지방세포의 분화 및 지방 축적을 억제하였다. 다음으로, 동물실험은 C57BL/6 수컷 쥐30마리를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정상식이군 고지방식이군으로 나눈 뒤 2주간 사육하여 다시 고지방식이군은 고지방식이군, PJT100, PJT300, PJT500 군으로 나누어 4주간 실시하였다. 체중 및 체중증가량은 고지방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PJT 섭취군에서 감소하였다. 지방조직의 무게도 고지방식이군에 비하여 PJT섭취군에서 낮았다. 고지방 식이에 의한 혈청 중 지질함량, leptin 수준 증가는 PJT 섭취에 따라 낮아졌다. 반면, adiponectin 과 HDL-C 수준감소는 PJT 섭취에 따라 증가하였다. H&E staining으로 관찰한 지방세포의 크기도 PJT 섭취 시 감소하였으며 부고환 지방조직에서 관찰한 지방생성 관련 유전자인 PPARγ, SREBP-1c, FAS의 발현은 고지방식이군과 비교시 PJT 섭취군에서 억제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 PJT의 섭취는 지방전구세포 및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모델에서 지방합성관련인자의 유전자 발현을 감소하고 혈중 adipokine의 농도를 개선시켜 체지방 축적을 억제시켰다. 이로 인해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체중을 감소시키고 더불어 이상지질혈증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명월초, 여주 및 울금을 포함하는 돼지감자 복합물의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에서 혈당강하 및 체내 지질개선에 미치는 영향 (Hypoglycemic and Hypolipidemic Effects of Jerusalem artichoke Composites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 호문사;이수정;표재호;김성희;성낙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71-680
    • /
    • 2018
  • 돼지감자 농축액(JA, 50%)에 명월초(12.5%), 여주(12.5%), 울금(12.5%) 추출물이 혼합된 돼지감자 복합물(JAP)을 streptozotocin (STZ)으로 당뇨 유발된 흰쥐에 4주간 급이하였을 때 혈당강하 및 지질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험군은 정상군(Normal), 당뇨 대조군(Diabetic), 당뇨 유발된 흰쥐에 명월초 추출물 급이군(D-GPE), 돼지감자 복합물 급이군(0.5 g/kg, D-JAP1; 1.5 g/kg, D-JAP2), 돼지감자 농축액 급이군(D-JA) 및 메타포민 급이군(D-MET)으로 구분하였다. 실험사육 4주 동안 혈당 변화는 D-JAP2군 및 D-MET군에서 3주간 실험식이 급이 후 두드러진 감소현상을 보였다. 혈청 인슐린 함량은 실험식이의 급이에 따른 유의차가 없었으나, HOMA-IR값은 당뇨 대조군에 비해 실험식이 급이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혈청의 AST 및 ALT 활성은 D-JAP1군에서 가장 낮았다. 혈청의 총 지질 및 중성지방 함량은 당뇨 대조군에 비해 시료 급이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당뇨 대조군에 비해 D-GPE, D-JAP1 및 D-JAP2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간 조직 중 중성지방 함량은 당뇨 대조군에 비해 D-GPE, D-JAP1 및 D-JAP2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지질과산화물의 함량은 당뇨 대조군에 비해 D-JAP1 및 D-JAP2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간 조직의 SOD 및 catalase 수준은 당뇨 대조군에 비해 D-GPE, D-JAP1 및 D-JAP2군에서, GSH-Px 수준은 모든 실험식이 급이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돼지감자 복합물은 돼지감자 농축액에 비해 혈당강하 및 당뇨로 인한 지질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지구성 운동과 셀레니움 투여가 당뇨 Goto-kakizaki 쥐의 골격근의 MCT1과 MCT4단백질 발현수준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Exercise Training and Selenium on MCT1 and MCT4 Protein Levels in Skeletal Muscles of Diabetic Goto-Kakizaki Rats)

  • 김승석;강은범;엄현섭;김범수;임예현;박준영;조인호;오유성;곽이섭;조준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8
    • /
    • 2008
  • 이 연구는 지구성 운동과 셀레니움 투여가 Coto-Kakizaki 쥐의 젖산수송 능력에 독립적으로 혹은 상호작용하여 영향을 미치는가를 구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험동물들의 집단은 비교집단(n=10, SED), 지구성 운동집단(n=10, EXER), 셀레니움 투여집단(n=10, SELE)과 지구성 운동과 셀레니움 투여 병행 집단(n=10, COMBI)으로 분류하여 6주간 실험을 실시하였다. 6주간 실험 처치 후 체중은 비교집단에 비해 지구성 운동집단, 셀레니움 투여집단과 지구성 운동과 셀레니움 투여 병행 집단이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당 부하검사를 실시한 결과에서도 비교집단에 비해 지구성 운동집단, 셀레니움 투여집단과 지구성 운동과 셀레니움 투여 병행 집단이 90분과 120분 사이에서 혈당 수준이 유의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 글리코겐 수준은 비교집단과 셀레니움 투여집단에 비해 지구성 운동집단과 지구성 운동과 셀레니움 투여 병행 집단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자미근과 족저근의 글리코겐 수준도 비교집단과 셀레니움 투여집단에 비해 지구성 운동집단과 지구성 운동과 셀레니움 투여 병행 집단이 현저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혈액 생화학 성분의 경우, 지구성 운동집단, 셀레니움 투여집단과 지구성 운동과 셀레니움 투여 병행 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고밀도 지단백 수준 증가와 함께 혈장 젖산, 혈청 중성지방, 인슐린, 총 콜레스테롤과 HOMA-IR 수준이 현저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혈청 중성지방 수준은 지구성 운동집단과 지구성 운동과 셀레니움 투여 병행 집단이 셀레니움 투여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 가장 중요한 결과는 혈당과 젖산 수송과 관련된 단백질 발현 수준이 6주간의 실험처치 후에 지구성 운동집단, 셀레니움 투여집단과 지구성 운동과 셀레니움 투여 병행 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가자미근의 MCT1과 미토콘드리아 MCT1 단백질 발현수준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는 결과와 함께 가자미근과 족저근의 MCT4 단백질 발현 수준도 지구성 운동집단, 셀레니움 투여집단과 지구성 운동과 셀레니움 투여 병행 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는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볼 때 지구성 운동과 셀레니움 투여는 독립적으로 혹은 상호작용하여 혈당과 젖산수송 능력을 개선시키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인슐린 저항 특성과 함께 고젖산혈증을 나타내는 제 II형 당뇨 환자들의 당뇨 처치를 위한 방법으로 활용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Antioxidant action of soy isoflavones on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 exercised rats

  • Yoon, Gun-Ae;Park, Sunmi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8권6호
    • /
    • pp.618-624
    • /
    • 2014
  • BACKGROUND/OBJECTIVES: Isoflavones are widely believed to be beneficial to human health, in relation to their antioxidant potentials. Exercise can cause an imbalance between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antioxidant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bility of isoflavones in amelioration of oxidative stress induced by exercise. MATERIALS/METHODS: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assigned to one of four groups: isoflavone-free with no exercise (CON-sd), isoflavone-free with exercise (CON-ex), isoflavone-supplemented with no exercise (ISF-sd), and isoflavone-supplemented with exercise (ISF-ex). Animals exercised on the treadmill for 30 minutes per day, five days per week. TBARS as a marker of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y, including SOD, GSH-px, and catalase were determined in liver tissue. Serum lipid profile was also examined. RESULTS: A significant effect of isoflavone alone was observed on abdominal fat pad mass. ISF-ex had significantly less abdominal fat pad than CON-ex. Both exercise and isoflavone treatment had significant effects on lowering plasma triglyceride (TG), thus, the ISF-ex group had a significantly lower TG level than the CON-sd group, by 30.9%. However,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plasma cholesterol, HDL-C, and cholesterol/HDL-C ratio. Exercise, isoflavone, and exercise-isoflavone interaction effects were significant on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P = 0.001, 0.002, and 0.005, respectively). The CON-ex group showed a higher TBARS level than the other three groups. By contrast, in the ISF-ex group, TBARS was restored to the level of the ISF-sd or CON-sd group. Isoflavon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uperoxide dismutase (SOD) (P = 0.022) and catalase activities (P = 0.049). Significantly higher SOD and catalase activities were observed in ISF-ex than CON-ex. SOD and catalase activities showed an inverse pattern of TBARS. Taken together, isoflavones increased the activities of SOD and catalase with concomitant decreases in TBARS, indicative of decreased oxidative stress. CONCLUSIONS: Isoflavone supplementation enhances antioxidant action with attenuation of exercise-induced oxidative stress, as measured by decreases in TBARS, and inhibits body fat accumulation and plasma TG increase. Antioxidative effects ascribed to isoflavones may be partially exerted via enhancement of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Effect of ciglitazone on adipogenic transdifferentiation of bovine skeletal muscle satellite cells

  • Zhang, Junfang;Li, Qiang;Yan, Yan;Sun, Bin;Wang, Ying;Tang, Lin;Wang, Enze;Yu Jia;Nogoy, Kim Margarette Corpuz;Li, Xiangzi;Choi, Seong-Ho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3권4호
    • /
    • pp.934-953
    • /
    • 2021
  • Ciglitazone is a member of the thiazolidinedione family, and specifically binds to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γ (PPARγ), thereby promot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We hypothesized that ciglitazone as a PPARγ ligand in the absence of an adipocyte differentiation cocktail would increase adiponectin and adipogenic gene expression in bovine satellite cells (BSC). Muscle-derived BSCs were isolated from six, 18-month-old Yanbian Yellow Cattle. The BSC were cultured for 96 h in differentiation medium containing 5 µM ciglitazone (CL), 10 µM ciglitazone (CM), or 20 µM ciglitazone (CH). Control (CON) BSC were cultured only in a differentiation medium (containing 2% horse serum). The presence of myogenin, desmin, and paired box 7 (Pax7) proteins was confirmed in the BSC by immunofluorescence staining. The CL, CM, and CH treatments produced higher concentrations of triacylglycerol and lipid droplet accumulation in myotubes than those of the CON treatment. Ciglitazone treatment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relative expression of PPARγ,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alpha (C/EBPα), C/EBPβ, fatty acid synthase, stearoyl-CoA desaturase, and perilipin 2. Ciglitazone treatments increased gene expression of Pax3 and Pax7 and decreased expression of myogenic differentiation-1, myogenin, myogenic regulatory factor-5, and myogenin-4 (p < 0.01). Adiponectin concentration caused by ciglitazone treatments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CON (p < 0.01). RNA sequencing showed that 281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DEGs) were found in the treatments of ciglitazone. DEGs gene ontology (GO) analysis showed that the top 10 GO enrichment significantly changed the biological processes such as protein trimerization, negative regulation of cell proliferation, adipocytes differentiation, and cellular response to external stimulus. Kyoto Encyclopedia of Genes and Genomes pathway analysis showed that DEGs were involved in the p53 signaling pathway, PPAR signaling pathway, biosynthesis of amino acids, tumor necrosis factor signaling pathway,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PI3K-Akt signaling pathway, and Wnt signaling pathwa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iglitazone acts as PPARγ agonist, effectively increases the adiponectin concentration and adipogenic gene expression, and stimulates the conversion of BSC to adipocyte-like cells in the absence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cocktail.

발효 청미래덩굴잎 추출물이 사염화탄소에 의한 마우스의 간 손상 보호 효과 (Hepatoprotective Effects of Fermented Smilax china Leaf Extract on Carbon Tetrachloride-induced Liver Injury in Mice)

  • 김미정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6-175
    • /
    • 2014
  • 발효 청미래덩굴잎의 해독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정상식이군(NC), 기본식이를 급여한 후 $CCl_4$ 처리군(CB), 비발효 청미래덩굴잎 ethylacetate 추출 분획물을 기본 식이에 0.5% 혼합한 식이로 4주간 사육하였다. $CCl_4$를 처리한 군(NS), Aspergillus oryzae로 발효시킨 청미래덩굴잎 ethylacetate 추출 분획물을 기본 식이에 0.5% 혼합한 식이로 4주간 사육한 후, $CCl_4$를 처리한 군(FS)의 4개군(5마리/군)으로 구분하여 체중, 식이섭취량, 식이효율, ALT 및 AST 활성, GSH 및 LPO 함량, 혈청 지질 함량, XO 및 AO 활성도를 조사하였다. $CCl_4$를 처리한 군(CB, NS, FS)의 체중증가량은 NC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NS군과 FS군에서는 그 감소율이 낮았으며, FS군에서 더욱 낮았다. 이와 반대로 간의 중량은 $CCl_4$ 처리군들에서 높았으나, FS군에 NS군에 비하여 낮았다. ALT 및 AST 활성은 CB군이 NC군에 비하여 32.34~3.80배가 높았으며, NS군 및 FS군은 CB군에 비하여 각각 16.34~37.35% 및 34.97~45.66%가 낮았다. 혈청 중성 지질의 함량은 NC군에 비하여 CB군이 81.71%가 높았으며, NS군과 FS군은 CB군에 비하여 각각 15.61% 및 28.22%가 낮았다. Total cholesterol 함량은 CB군이 NC군에 비하여 54.07%가 높았으나, NS군 및 FS군은 CB군에 비하여 각각 10.59% 및 17.99%가 낮았으며, LDL-cholesterol의 함량도 유사한 경향이었다. 반면에, HDL-cholesterol의 함량은 CB군이 NC군에 비하여 55.08%가 낮았으나, NS군 및 FS군은 CB군에 비하여 각각 26.96% 및 72.12%가 높았다. GSH의 함량(${\mu}mole/g$ of tissue)은 CB군(4.42)이 NC군(5.09)에 비하여 13.16%가 낮았으나, NS군과 FS군은 각각 4.84 및 4.93으로 NC군과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NS군과 FS군 간에도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LPO의 함량(MDA nmole/g of tissue)은 CB군이 NC군에 비하여 36.71%가 높았으나, 특히 FS군에서는 NC군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XO(xanthine oxidase) 활성(% against control)은 NC군이 98.45, CB군 128.97, NS군 119.70, FS군 90.65로 NS군은 CB군과, FS군은 NS군과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O(aldehyde oxidase)의 활성(% against control)은 CB군이 NC군에 비하여 22.48%가 높았으나, NS군 및 FS군은 NC군에 비하여 각각 14.88% 및 7.56%가 높았으며, CB군에 비하여는 각각 8.94% 및 16.15%가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 Aspergillus oryzae로 발효시킨 청미래덩굴잎 ethylacetate 추출물은 비발효 경우에 비하여 $CCl_4$를 처리한 mouse에서 간 조직의 손상을 회복시키는 효과가 높으며, 이는 FS군에서 XO 및 AO의 저해활성이 높은 것으로 미루어, 청미래덩굴잎에 존재하는 flavonoid 배당체가 발효에 의하여 분해되어 aglycone화함으로써 나타난 결과라 사료된다.

알코올 투여한 흰쥐 간세포내 알코올 탈수소효소의 활성과 항산화에 미치는 식물추출물들의 영향 (Effect of Plant Extracts on the Activity of Alcohol Dehydrogenase and the Antioxidation in Alcohol-treated Rat Hepatocyte)

  • 조성환;김지철;김성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79-683
    • /
    • 2001
  • 본 실험은 알코올 투여한 흰쥐를 대상으로 콩나물, 솔잎, 표고버섯과 오가피 추출물의 알코올 탈수소효소 활성과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약 200g 정도의 Sprague-Dawley계 쥐들을 정상군, 알코올 단독투여군, 4가지 식물추출물 투여군으로 나우어서, 각 식물추출물을 알코올을 주입하기 전 8일 동안 200mg/kg b.w. 을 하루에 한번 경구투여하였다. 모든 동물은 알코올을 주입하고 90분 후에 도살시켰다. 콩나물과 솔잎추출물 투여군의 혈중 알코올 농도는 알코올 단독투여군, 표고버섯, 오가피군 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콩나물과 솔잎 추출물 투여군의 알코올 탈수소효소활성은 알코올 단독투여군과 표고버섯, 오가파군보다 유의적인 증가를 보여주었다. Catalase 활성은 식물추출물 투여군이 알코올 단독투여군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지만, 유의성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흰쥐에게 일회성으로 알코올을 다량 투여했을 때 알코올 탈수소효소가 catalase보다 우선적으로 알코올 대사에 반응함을 보여준다. 모든 식물추출물 투여군들의 지질과산화와 glutathione peroxidase 활성은 알코올 단독투여군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본 실험에 사용된 식물추출물들이 알코올의 산화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보여주며, 특히 콩나물과 솔잎 추출물 투여군이 알코올 탈수소효소의 활성증가오 항산화에 대한 효과가 높음을 보여주었다.

  • PDF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에서 느티만가닥버섯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Hypsizigus marmoreus in High Fat-fed Mice)

  • 류해정;엄민영;안지윤;정창화;허담;김태완;하태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2호
    • /
    • pp.1708-1714
    • /
    • 2011
  • 본 연구는 느티만가닥버섯의 항비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4주령된 C57BL/6 수컷 쥐를 30마리를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정상식이군, 고지방식이군, 5% 느티만가닥버섯 분말 첨가 식이군으로 나누어 8주간 실시하였다. 체중 및 체중증가량은 고지방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느티만 가닥버섯 분말 첨가 식이군에서 감소하였다. 간 및 지방조직의 무게도 고지방식이군에 비하여 느티만가닥버섯 처리군에서 낮았다. 고지방 식이에 의한 혈청 중 총콜레스테롤, 인슐린 및 렙틴 수준 증가는 느티만가닥버섯 분말 섭취로 인하여 낮아졌다. 또한, 간 중 지질 함량도 느티만가닥버섯 분말 첨가군에서 감소하였다. HE staining으로 관찰한 간내 지방축적과 지방세포의 크기도 느티만가닥버섯 분말 첨가 식이군에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부고환 지방조직에서 관찰한 지방생성 관련 유전자인 $PPAR{\gamma}$, SREBP-1c, SCD-1의 단백질 발현은 고지방식이군과 비교 시, 느티만가닥버섯 분말첨가 식이군에서 억제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 고지방 식이와 함께 공급한 느티만가닥버섯 분말은 체중 감소 및 체지방 축적 억제와 더불어 혈청 지방 수준 개선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족삼리(足三里) 전침(電鍼)이 흰쥐의 노화(老化)에 미치는 영향(影響) (A Study on Anti-aning of Electroacupuncture at Joksamni($ST_{36}$) in Rats)

  • 이준성;임윤경;김영일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4권3호
    • /
    • pp.145-161
    • /
    • 2007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lectroacupuncture at Joksanmi($ST_{36}$) on Rat's aging by experimental methods. Methods : The author performed several experimental procedures to observe the effects of the EC-HAS at the arthritis. First, I measured the cell survival rate of the mice lung fibroblasts. Second, the incidence rate of arthritis and arthritis index of CIA were analyzed. Third, the levels of IL-6, $INF-{\gamma}$ , $INF-{\alpha}$ , $IL-1{\beta}$, IgG, IgM and anti-collagen II were measured in serum and the level of $INF-{\gamma}$, $INF-{\gamma}$/IL-4 ratio in the CIA mouse spleen cell culture. Fourth, histological analysis of the mice joint was performed. Fifth, the expression ratio of $CD3e^+$ cells to $CD19^+$ cells, $CD4^+$ cells to $CD8^+$ cells, $CD11a^+CD19^+$ cells, $CD4^+CD25^+$ cells, $CD3^+CD69^+$ cells, and $CD11b^+Gr-1^+$ cells were checked. Results: 1. The hematocrit was meaningfully (p<0.01, p<0.05) decreased in $ST_{36}$ group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and sham group. 2. The glucose, ALP were meaningfully (p<0.05, p<0.05) decreased in $ST_{36}$ group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3. In the activation of hepatic antioxidase, the catalase was meaningfully (p<0.01) increased in $ST_{36}$ group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4. In the liver, the NO formation was meaningfully (p<0.001) decreased in $ST_{36}$ group in comparison with the nomal, control and sham group. 5. In the activation of splenetic antioxidase, the GSH was meaningfully (p<0.01) increased in $ST_{36}$ group in comparison with the sham group, and the catalase was meaningfully (p<0.001) increased in $ST_{36}$ group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6. In the spleen, the MDA formation was meaningfully (p<0.01, p<0.05) decreased in $ST_{36}$ group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and sham group. 7. In the spleen cell culture, the levels of IL-6 was meaningfully (p<0.05) decreased in comparison with the sham group, $INF-{\gamma}$( was meaningfully (p<0.05) increased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electroacupuncture at Joksamni($ST_{36}$) i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activities of antioxidative enzyme and inhibiting lipid peroxides, and has an immunomodulatory reaction. In conclusion, it han an significant anti-aging effect and need more experimental stud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