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rum CK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8초

개심술환자의 심정지 시간에 따른 혈청효소치 변동에 관한 연구 (A Clinical Study on the Changes of Serum Enzymes after Cardiopulmonary Bypass)

  • 이종욱;양기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2권5호
    • /
    • pp.713-723
    • /
    • 1989
  • In order to assess the correlation of the myocardial damage and the duration of cardiopulmonary bypass, measurement of creatine kinase [CK], lactate dehydrogenase [LDH], asparatate aminotransferase [AST], and MB band of CK [CK-MB] were carried out on the first, third, fifth, seventh, and ninth day in 44 patients following open heart surgery [POD 1,3,5,7,9]. And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aortic cross clamp time [ACT]: Group I [ACT< 60 minutes. n=19], Group II [60 minutes < ACT< 90 minutes, n=7] and Group III[90 minutes > ACT, n=18]. 1. The leakage of CK in total patients increased to the highest level at POD 1, with rapid decrease and recovery at POD 7. The leakage of CK in Group III were greater than in Group I from POD 1 to POD 3 [P < 0.01]. The recovery time of CK level was shorter in Group I [POD 3] than in Group II and III [POD 7]. 2. The serum levels of LDH in total patients increased to the highest level at POD 1, with slow recovery until POD 9. The levels of LDH in Group III were higher than in Group I until POD 9 [P < 0.005]. The levels of LDH in Group I and II recovered but not in Group III. 3. The serum levels of AST in total patients increased to the highest level at POD 1, with rapid decrease and recovery at POD 7. The levels of AST in Group III were greater than in Group I from POD 1 to POD 5 [P < 0.05]. The recovery time of AST level was shorter in Group I and II [POD 5] than in Group III [POD 7]. 4. The positive cases for CK-MB in 36 patients were 22 [61.1 %] as a whole, 5[41.6%] in Group I, 4[57.1 %] in Group II, 13[76.4 %] in Group III at POD 1, and a case in each group at POD 3, and only a case in Group Ill at POD 5. It is concluded that the myocardial injury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duration of cardiopulmonary bypass in open heart surgery.

  • PDF

소아에서 횡문근융해증을 동반한 급성신부전의 임상양상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cute renal failure of rhabdomyolysis in children)

  • 김재희;구민지;염정숙;박은실;서지현;임재영;박찬후;우향옥;윤희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3호
    • /
    • pp.277-283
    • /
    • 2007
  • 목 적 : 급성 신부전은 횡문근 융해증의 중요 합병증 중의 하나이다. 저자들은 횡문근 융해증으로 진단된 환아를 대상으로 원인, 임상 경과, 검사실 소견을 분석하고 급성 신부전 및 사망의 위험 인자를 밝히고자 한다. 방 법 : 1997년 1월부터 2005년 5월까지 경상 대학교 병원 소아과에 횡문근 융해증으로 입원한 60명의 환아들의 임상 기록지와 병리 기록지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횡문근 융해증 진단 기준은 creatine phosphokinase (이하 CK)치가 1,000 IU/L이상이고 CK isoenzyme 검사에서 MM형이 95%이상이거나 혈중 미오글로빈이 300 mg/dL 이상이거나 소변 미오글로빈이 양성이면서 급성 심근 경색증이나 뇌졸중의 증거가 없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 과 : 혈중 입원 시 CK 및 최고 CK는 급성 신부전의 예측 인자가 아니었고 입원 시 혈중 크레아티닌, 요산, pH 및 칼륨, 입원 당시의 수축기 혈압, 의식 상태와 급성 신부전은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다. 입원 당시 혈중 CK, 요산, pH와 최고 혈중 크레아티닌 등의 검사실 소견과 입원 당시의 의식 상태 및 수축기 혈압과 사망과는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최고 CK는 사망과 상관 관계가 있었다. 결 론 : 소아에서 횡문근융해증과 동반된 급성 신부전의 사망률은 매우 높게 나타났으므로 급성 신부전으로 진행 여부를 예측 할 수 있는 인자를 조기에 파악하여 적극적인 치료를 해야 할 것이다. 특히 검사실 소견뿐 아니라 입원시 혈압이나 의식 상태, 유발 요인 등의 임상 상태가 예후를 예측하는 중요 인자임을 명시해야 할 것이다.

고콜레스테롤 함유 청국장 식이 섭취가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eonggukjang on Lipid Metabolism in Female Rats Fed Cholesterol Diet)

  • 이충언;고진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932-937
    • /
    • 2006
  • 콜레스테롤식이에 수준별 청국장 첨가 식이가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성숙한 흰쥐 암컷을 표준군, 대조군(콜레스테롤식이), 5% 및 10% 청국장군(대조식이에 5% 및 10% 청국장 분말을 첨가한 식이) 등 4군으로 나누어 4주간 사육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동물의 체중증가량, 식이섭취량, 식이효율 및 자궁주위 지방 무게는 청국장군들이 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간의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 농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10% 청국장군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혈청의 중성지질, 총 콜레스테롤, LDL+VLDL-콜레스테롤 농도 및 동맥경화지수는 대조군에 비해 10% 청국장군이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의 비율은 대조군에 비해 10% 청국장군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변의 총 지질 배설량은 5% 및 10% 청국장군들이 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증가 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콜레스테롤 식이에 10% 수준으로 청국장분말 첨가 섭취시 흰쥐의 체중 감소와 혈청과 간의 중성 지질, 총 콜레스테롤과 LDL+VLDL-콜레스테롤 농도 및 동맥경화지수를 낮추고,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의 비율이 증가되어 지질대사의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척(狗脊)이 흰쥐의 후지체공(後肢滯空)에 의한 근강축(筋萎縮)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Cibotii Rhizoma(狗脊) on the Muscle Atrophy Induced by Hindlimb Suspension in Rats)

  • 김영균;김종훈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1-65
    • /
    • 1996
  • This 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ibotii Rhizoma on the muscle atrophy induced by hindlimb suspension in rats. The measurement has been performed on the activity of CK, aldolase, LDH, AST, ALT and quantity of creatine in serum of hindlimb suspension rats. The results were as ; 1. Cibotii Rhizoma significantly inhibited the increase of the activity of CK in serum. 2. Cibotii Rhizoma significantly inhibited the increase of the quantity of creatine in serum. 3. Cibotii Rhizoma significantly inhibited the increase of the activity of aldolase in serum. 4. Cibotii Rhizoma significantly inhibited the increase of the activity of LDH in serum. 5. Cibotii Rhizoma significantly inhibited the increase of the activity of AST in serum. 6. Cibotii Rhizoma significantly inhibited the increase of the activity of ALT in serum.

  • PDF

Rotavirus 위장관염에서 혈청 Creatine Kinase의 증가 (Elevated Serum Creatine Kinase Level in Rotavirus Gastroenteritis)

  • 배원태;김재희;박은실;서지현;임재영;박찬후;우향옥;윤희상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8권2호
    • /
    • pp.117-121
    • /
    • 2005
  • 목 적: 로타바이러스에 의한 급성위장관염이 있는 환아들에서 AST/ALT가 증가되어 있는 경우 중 CK가 증가된 경우가 있어 이들 환아들의 임상 양상이나 검사에서 특이 소견이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1년 1월부터 2005년 3월까지 본원에서 로타바이러스 위장관염으로 진단된 환아들 중 AST/ALT가 증가해 있고, CK가 증가해 있는 환아들의 의 무기록을 통하여 임상 양상과 검사결과를 종합하였으며, 통계학적 유의성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결 과: 총 14명의 환아가 AST나 ALT가 증가되어 있으면서 CK가 증가되어있었다. 평균 연령은 1년 5개월이었으며, 연도별 빈도는 차이가 없었다. 동반 증상으로 설사, 구토, 열, 경련, 감기 증상의 유무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탈수의 정도가 CK 농도 증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설사의 기간도 연관성은 없었다. 14명 모두에서 CK가 증가될 수 있는 질환의 증거는 없었으며, 회복기에 정상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AST나 ALT, LDH의 농도가 높을 수록 CK의 농도가 증가하는지 확인하였으나 연관성은 없었다. 3명의 환아에서는 CK가 1,000 IU/L이상 증가되어 있었는데, 이들에서 급성 신부전이나 경련, 근육통 등의 소견은 없었다. 결 론: 로타바이러스 위장관염 환아들에서 AST/ALT가 증가할 수 있음은 이미 알려져 있으나 그 기전은 아직 이해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ST 나 ALT의 증가 외에도 CK가 증가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나 어떤 기전에 의하는지, CK가 증가할 수 있는 특정 조건이 있는지는 알 수 없었다.

  • PDF

Cholesterol Lowering Effect of Lactobacillus plantarum Isolated from Human Feces

  • Ha Chul-Gyu;Cho Jin-Kook;Lee Chi-Ho;Chai Young-Gyu;Ha Young-Ae;Shin Shang-H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8호
    • /
    • pp.1201-1209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solate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LAB) that produce bile salt hydrolase (BSH), and to evaluate its effects on serum cholesterol level. One-hundred-twenty bacterial colonies were initially isolated from human feces, and five strains were selected after screening based on their resistance to acids, tolerance against bile salts, and inhibitory activity on Escherichia coli. The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 with the highest level of BSH activity was identified using 16S rRNA sequences, and was named L. plantarum CK 102. L. plantarum CK 102 at a level of 1.36$\times$10$^8$cfu/ml survived in pH 2 buffer for 6 h and exhibited excellent tolerance for bile salt. Coculturing the strain with E. coli in MRS broth resulted in strong inhibition against growth of E. coli at 18 h. Furthermore, the potential effect of CK 102 on serum cholesterol level was evaluated in rats. Thirty-two rats [Sprague-Dawley (SD) male, 129$\pm$l g, 5 weeks old]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of eight each. For six weeks, Group 1 was fed a normal diet (negative control); Group 2 was fed a cholesterol-enriched diet (positive control); Group 3 was fed a cholesterol-enriched diet plus L. plantarum CK 102 at 1.0$\times$10$^7$cfu/ml; and Group 4 was fed a cholesterol-enriched diet plus L. plantarum CK 102 at 5.0$\times$10$^7$cfu/ml.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serum lipids were analyzed, and weights of the organs were measured. Total blood cholesterol level, triglyceride, LDL-cholesterol, and free-cholesterol values were lower in rats that were fed 1. plantarum CK 102 than in those not fed L. plantarum CK 102. This cholesterol lowering effect implies that L. plantarum CK 102 could be utilized as an additive for health-assistance food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1. plantarum CK 102 isolated could be used commercially as a probiotic.

고지혈증 흰쥐에 청국장 및 상황버섯 청국장이 지질대사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heonggukjang Added Phellinus linteus on Lipid Metabolism in Hyperlipidemic Rats)

  • 고진복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410-415
    • /
    • 2006
  • 청국장 분말이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성숙한(생후 20주령) 숫쥐를 4주간 고지방식이(0.5% 콜레스테롤, 10% 지방)로 고지혈증을 유도한 후 대조군(고지방식이), 청국장군(고지방식이에 단백질원으로 청국장 분말을 첨가한 식이) 및 상황버섯 청국장군(고지방식이에 단백질원으로 상황버섯 청국장 분말을 첨가한 식이 ) 등 3군으로 나누어 5주간 사육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동물의 체중은 대조군이 41.8 g증가함에 비하여 청국장군 및 상황버섯 청국장군은 각 -3.7 g 및 -0.8 g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식이섭취량 및 식이효율은 대조군에 비하여 청국장군들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간과 부고환지방의 무게 및 간조직의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 농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청국장군 및 상황버섯 청국장군이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효과가 나타났다. 혈청의 중성지질,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VLDL-콜레스테롤 농도 및 동맥경화지수는 대조군에 비해 청국장군 및 상황버섯 청국장군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의 비율은 대조군에 비해 청국장군들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변의 무게, 총 지질, 중성지질 및 콜레스테롤 배설량은 청국장군들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고지방식이에 청국장 및 상황버섯청국장 분말을 첨가 섭취시 혈청과 간조직의 중성지질, 총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농도 및 동맥 경화지수를 낮추고,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의 비율을 증가시키는 지질대사의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

폐암에서 혈중 Cytokeratin 8, 18, 19의 진단적 가치 (Diagnostic Value of Serum Cytokeratin 8, 18 and 19 in Lung Cancer)

  • 최창민;김우진;오진영;강영애;유철규;이춘택;김영환;한성구;심영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5권4호
    • /
    • pp.388-394
    • /
    • 2003
  • 배 경 : 지금까지 폐암의 종양표지자로 알려진 것들 중에 최근에는 CK 19뿐만 아니라 폐암에서 많이 발견되는 CK 8, 18에 대해 특이적인 세가지 단클론항체를 이용한 면역방사선계수법(MonoTotal$^{TM}$)이 개발되어 폐암의 진단에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저자들은 Cyfra 21-1에 비교하여 CK 8, 18, 19의 폐암표지자로서의 진단적 가치에 대해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2년 5월 l일부터 2002년 9월 30일까지 서울대학교병원 내과에 입원하여 기관지내시경 또는 객담도말세포검사, 경피적 조직생검으로 확진된 원발성 폐암환자 129명을 폐암군으로 하고 폐암이 배제된 비악성 호흡기 질환자 160명을 환자 대조군으로 연구에 동의한 건강한 성인 57명을 정상 대조군으로 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Cyfra 21-1의 측정은 Fujibebio Diagnostics사(USA)의 immnoradiometric assay kit인 Cyfra$^{TM}$ 21-1을 사용하였고 CK 8, 18, 19의 측정은 IDL biotech사의 2-hour immunoradiometric sandwich test kit인 Monototal$^{TM}$을 사용하였다. 결 과 : 폐암의 조직학적 분류에 따른 Monototal의 혈중평균치(mean${\pm}$SD)는 비소세포폐암이 $412.47{\pm}455.45$ U/L, 소세포폐암이 $237.08{\pm}145.15$ U/L로 환자 대조군 $126.54{\pm}95.72$ U/L, 정상 대조군 $63.68{\pm}31.66$ U/L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p<0.01). Monotoal의 정상범위를 정상 대조군의 가장 높은 수치인 188U/L 이내로 하였을때 비소세포폐암의 민감도는 66.4%, 특이도는 81.9%였다. 병기를 I,II군(32명)과 III,IV군(84명)의 두 군으로 나누어 Monototal의 평균을 비교해 보았을 때 각각 $227.6{\pm}185.2$ U/L, $482.9{\pm}506.4$ U/L로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환자대조군 세부질환별로 Monototal의 평균치를 보면 미만성폐질환 환자군(11명)에서 $298.7{\pm}210.0$ U/L로 환자 대조군 평균치인 $126.54{\pm}95.72$ U/L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측정되었다(p<0.001)(Table 4). 결 론 : cytokeratin 8, 18, 19의 측정은 폐암의 대표적인 종양 표지자중의 하나인 Cyfra 21-1과 비슷한 민감도와 특이도를 보이고 있어 효과적인 종양표지자로 앞으로 사용될 수 있다.

고지방 섭취 암쥐에 청국장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eonggukjane on Lipid Metabolism in Hyperlipidemic Female Rats)

  • 고진복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9권4호
    • /
    • pp.331-337
    • /
    • 2006
  • 청국장 분말이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성숙한 암쥐에 4주간 고지방식이(0.1% 콜레스테롤, 10% 지방)로 고지혈증을 유도한 후 대조군 (고지방식이), 청국장군 (고지방식이에 단백질원으로 청국장 분말을 첨가한 식이) 및 신령버섯 청국장군 (고지방식이에 단백질원으로 신령버섯 청국장 분말을 첨가한 식이) 등 3군으로 나누어 8주간 사육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동물의 체중변화는 대조군은 16.1 g증가에 비하여 청국장군 및 신령버섯 청국장군은 각 1.0 g 및 5.9 g 증가로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식이섭취량 및 식이효율도 대조군에 비하여 청국장군들이 감소되었다. 자궁주위 지방의 무게 및 간조직의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 농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청국장군 및 신령버섯 청국장군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혈청의 중성지질.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농도 및 동맥경화지수는 대조군에 비해 청국장군 및 신려버섯 청국장군이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의 비율은 대조군에 비해 청국장군들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변의 무게, 수분함량 및 총 지질 배설량은 청국장군들이 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혈청 단백질 및 혈당 농도는 청국장 및 신령버섯 청국장 섭취에 의한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혈색소 농도는 청국장군들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고지방식이에 청국장 및 신령버섯 청국장 분말 첨가 섭취시 흰쥐의 체중 감소와 혈청과 간조직의 중성지질, 총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농도 및 동맥경화지수를 낮추고,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의 비율이 증가되어 지질대사의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ompound K 측정을 위한 ELISA법 개발 (Development of ELISA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Compound K)

  • 류미나;이해광;성종환;성충기
    • 생약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279-282
    • /
    • 2015
  • In order to quantify compound K(CK), anticancer component of Panax ginseng C. A. Meyer, high titer rabbit polyclonal antibodies (pAbs) were raised against a conjugate of CK and bovine serum albumin coupled by a periodate oxidation method. Coating antigen (CK-OVA) was also prepared by the same method with OVA. As a result of optimization of antiserum dilution (2,000 fold), coating antigen ($25{\mu}g/ml$) and other condition (incubation time, temperature and washing method), ELISA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CK was established. The measuring range extended from 0.5 ng/ml to 25 ng/ml of CK. The antibodies exhibited minor or even no cross reactivities with protopanaxatriol (1.56%) and other tested ginsenosides, $GRb_1$ (0.11%), $GRg_1$ (0.07%) except protopanaxadiol (87.2%) from the structural similarity. And the antibody showed good correlation (r=0.987) between the assay values obtained by this ELISA method and HPLC. Therefore, the ELISA method could be very useful tools for the determination of CK in biological fluids because of their high sensitivity and specifi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