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rratia marcescens

검색결과 174건 처리시간 0.028초

박테리아의 추진을 이용한 마이크로 구조의 조작 (Manipulation of Micro-Structure by Self-Powered Bacteria)

  • 김민준;변도영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A
    • /
    • pp.1433-1436
    • /
    • 2008
  • Flagellate bacteria such as Escherichia coli or Serratia marcescens possess a remarkable motility system based on a reversible rotary motor. We have employed S. marcescens as microactuators in low Reynolds number fluidic environments to move a larger engineering element around. Microstructures fabricated using conventional microfabrication techniques are blotted on the swarm plate, which leaves a bacterial monolayer on the surface of the microstructure. We have investigated microstructures powered by bacteria to determine how cell orientation on the microstructure surface relates to the swarming patterns as well as how the orientation is affected by the blotting process. This study will help to refine directional control of bacterial transporters by exploiting bacterial sensory mechanisms.

  • PDF

Studies on the Adsorption Properties of Korean Kaolin IV The adsorption of bacteria by activated halIoysiste

  • Chung, Kyeong-Soo;Rhee, Gye-Ju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0권4호
    • /
    • pp.228-231
    • /
    • 1987
  • Studies on the adsorption of four kinds of bacteria, Staphylococcus aureus, Sarcina lutea, Escherichia coli and Serratia marcescens by activated Korean Kaoline have been carried out to innovate utilization as adsosrbent preparations. In connection with particle size and size fraction, the adsorption was examined by colony counting and spectroscopy. Korean kaolin was purified from Hadong white species of preminum grade and three size fractions were derived from passage through BS # 100, #200 and # 325 mesh sieves, respectively. These were activated at $105^{\circ}$or $280^{\circ}$ for three hours and at $550^{\circ}C$ for one hou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dsorbing power of Korean kaolin was superior for S. aureus and S. lutea, but E. coli and S. marcescens were not adsorbed by clays. The smaller the particle size, the greater was adsorbing power for Gram-positive bacteria. Threre appears to be justification for its investigations as an ingredient in intestinal adsorbent preparations.

  • PDF

흰점박이꽃무지 사료첨가제로서 새싹보리의 곤충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 효과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Sprouted Barley as a Nutritive Feed Additive for Protaetia brevitarsis and Its Antibacterial Action against Serratia marcescens)

  • 송명하;김낭희;박관호;김은선;김용순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75-480
    • /
    • 2021
  • 국내에서 2016년 흰점박이꽃무지 등 일부 곤충이 식품원료로 등록되면서 곤충사육 농가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곤충사육 농가가 보유하고 있는 사육기술, 병해충 관리기술이 농가별로 차이가 있고, 대량으로 곤충을 사육하면서 높은 사육밀도, 병충해 감염 등으로 인해 곤충이 대량 폐사하게 됨으로써 곤충사육 농가에 심각한 경제적 손실을 입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영양성분을 함유할 뿐만 아니라 항균, 항염증 등의 효과를 가진 새싹보리를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주 먹이원인 발효톱밥에 첨가하여 주 먹이원 첨가제로써 적용 가능성 및 곤충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주 먹이원에 5%와 10% 새싹보리를 첨가했을 때 유충의 증체율이 19.2%와 23.1%로 높았고, 사육 기간이 대조군 대비 단축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새싹보리는 곤충병원성 세균 Serratia marcescens의 성장을 저해하고, 세균에 감염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생존율과 증체율이 건강한 유충의 수준으로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새싹보리를 첨가한 먹이원으로 사육한 유충의 영양성분 분석 결과, 조단백질, 조지방, 구리, 아연, 칼륨 등 미네랄 및 아미노산 함량이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주 먹이원에 새싹보리를 첨가한다면 단기간에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곤충병원성 세균 감염에 의한 폐사를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어 안정적인 곤충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콘택트렌즈 재질 및 침착 단백질에 따른 균 흡착 정도와 다목적용액의 살균력 비교 (Comparisons of Adherence Level of Micro-organisms According to Contact Lens Materials and Protein Deposition and Disinfection Efficacy of Multipurpose Solution)

  • 성형경;김소라;박미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5-42
    • /
    • 2015
  • 목적: 콘택트렌즈 재질 및 렌즈에 침착된 단백질 종류에 따른 균의 흡착력을 비교하고 관리용품의 살균력 차이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방법: FDA 평가기준 및 방법인 Disinfection Efficacy Testing의 Part 2. Regimen Procedure For Disinfecting Regimens에 따라 균 흡착 및 관리용품의 살균력 측정실험을 실시하였다. 결과: 포도상구균을 제외한 녹농균, 세라티아균, 칸디다균은 etafilcon A 렌즈에 더 많이 흡착되었으며, 4종의 다목적용액은 칸디다균을 제외한 모든 균에서 거의 완벽한 살균력을 나타냈다. 눈물 단백질을 침착시킨 렌즈에서 세라티아를 제외한 모든 균은 알부민 침착 렌즈에서의 흡착이 많았으며, 다목적용액의 살균력은 라이소자임 침착 렌즈에 흡착된 균보다 알부민 침착 렌즈에 흡착된 균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균의 종류에 따라 다목적 용액의 살균력이 달랐다. 결론: 균의 종류, 콘택트렌즈 재질, 침착된 눈물 단백질의 종류가 콘택트렌즈에 흡착되는 균의 양에 영향을 주며, 눈물 단백질의 침착은 다목적용액에 의한 살균력에 변화를 초래할 수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살균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의해 콘택트렌즈 위생상태가 달라지며 부작용 발생 여부가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제안한다.

Serratia 배양에 의한 Serrapeptase 생성의 유도와 억제에 관한 연구

  • 노용택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08-413
    • /
    • 1997
  • It was studied in order to improve the yield of serrapeptase production in fermentation that organic nitrogen sources play important roles not only as inducer, repressor and activator, but also nitrogen sources. From the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Na-caseinate on the induction of serrapeptase production, it was elucidated that real inducer was leucine and strong repressor was cysteine, which were produced through hydrolysis of proteins. Serrapeptase production was strongly induced by Na-caseinate in culture time 12 hrs, but was weakly induced before and after that time. Therefore fed batch culture where partial amount of Na-caseinate is added in 12 hrs, is better than batch culture where total amount of Na-caseinate is added at the beginning. Cysteine, methionine, MgSO$_{4}$, and so on, sulfur-containing materials, repressed the serrapeptase production. In the addition of mineral salts, chlorinated salts is better than sulfated salts because of sulfur repression. The synergic effect of soybean meal with Na-caseinate on the serrapeptase production resulted from Mn$^{2+}$ contained in soybean meal, of which the optimal concentration is 4 mM in enzyme production.

  • PDF

세라티아 배양에 의한 세라티오펩티다아제의 생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Serratiopeptidase from Serratia Culture)

  • 노현수;박호진;이병룡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07-212
    • /
    • 1992
  • 세라티아 균주의 배양으로부터 소염제로 사용되는 세라티오펩티다아제의 생산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여러가지 탄소원, 질소원 및 유도제가 효소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는데, 탄소원은 효소의 생산이나 세포성장에 좋지 못한 기질이었으며, 특히 citrate의 경우 균체성장량은 포도당과 거의 동일하였으나, 세라오펩티다제의 생산에 저해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세라티오펩티다아제는 아미노산인 leucine을 첨가해 주었을 때 그 생산되는 양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leucine의 최적 농도는 0.03였다.

  • PDF

Synthesis of Some Quinoxaline Derivatives Containing Indoline-2,3-dione or Thiazolidinone Residue as Potential Antimicrobial Agents

  • Gendy, Adel-A. El;Meligie, Salwa-El;Afaf-K. El-Ansary;Aly-M. Anmedy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8권1호
    • /
    • pp.44-47
    • /
    • 1995
  • The synthesis of osme quinoxaline derivatives containing indoline-2, 3-dione or thiazolidlinone residue is described. The synthesized derivatives were sureened in vitro for their growth inhibitory activity against six species of bacteria, viz.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faecalis,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uginosa, Serratia marcescens and Mycobacterium semegmatils. Most of the compounds exhibited antimicrobial activity especially those having indoline-2, 3-dione moiety.

  • PDF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의 바이오제닉 아민 분해능에 영향을 미치는 배양 조건 (Incubation conditions affecting biogenic amines degradation of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 임은서
    • 미생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273-28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이 생산한 항균물질에 의한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균의 제어 효과와 박테리오신 및 유기산의 항균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배양 조건을 조사하였다. Lactobacillus plantarum FIL20 (64 AU/ml) 및 Lactobacillus paracasei FIL31 (128 AU/ml)의 박테리오신 용액은 Serratia marcescens CIH09과 Aeromonas hydrophilia RIH28에 각각 강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고 FIL20과 FIL31 균주로부터 얻은 배양 상등액 내에 유산 함유량은 각각 $107.3{\pm}2.7mM$$129.5{\pm}4.6mM$로 나타났다. 따라서 L. plantarum FIL20과 L. paracasei FIL31이 생산한 박테리오신 용액(200 AU/ml) 및 배양 상등액($200{\mu}l/ml$)의 처리에 의해 S. marcescens CIH09 및 A. hydrophilia RIH28의 균수 및 히스타민과 티라민의 생성량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P < 0.05). 초기 pH (5.0)와 배양 온도($15^{\circ}C$)가 낮은 조건 하에서 CIH09 균주가 생산한 히스타민과 티라민의 생성량은 L. plantarum FIL20이 생산한 박테리오신 용액이나 배양 상등액 처리에 의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또한 식염 5% 혹은 아질산 칼륨($200{\mu}g/g$)과 FIL20 유산균의 항균물질을 혼용한 경우 바이오제닉 아민을 생성하는 세균의 균수와 유해 아민 함량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P < 0.05). 결론적으로 L. plantarum FIL20과 L. paracasei FIL31의 박테리오신 및 유기산 용액은 허들 테크놀로지에 적용하여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생물학적 보존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콘택트렌즈 관리용품의 살균력 효능 검사법 비교 (Comparison of Evaluation Methods for Disinfection Efficacy of Contact Lens Care Products)

  • 성형경;변현영;김소라;박미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9-67
    • /
    • 2014
  • 목적: 콘택트렌즈 관리용품의 살균력 효능 검사법 기준 개발을 위하여 막여과법(Membrane filtration method)과 희석중화법(Dilution-neutralization method)의 살균력 검사 결과를 비교하고 시판되고 있는 콘택트렌즈 관리용품의 살균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세라티아균(Serratia marces cens), 칸디다균(Candida albicans)을 대상으로 하여 FDA(Food and Drug Administration)기준인 막여과법과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새롭게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할 희석중화법의 살균력 효능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총 20종 다목적 용액의 살균력을 측정하였다. 결과: 살균효과가 강한 살균 성분 및 관리용품의 효능은 막여과법과 희석중화법 모두 동일한 결과를 나타냈다. 살균효과가 약한 관리용품의 경우는 막여과법 검사시에는 균이 뭉쳐있어 정확한 균 수 측정이 불가능하였으나 희석중화법 검사시는 정확한 균 수 측정이 가능해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판되고 있는 관리용품 중에는 살균력 기준을 통과하지 못한 제품이 존재하였으며 특히 세라티아균과 칸디다균에 대한 살균력이 약한 경우가 많았다. 결론: 막여과법에 비해 희석중화법이 소량의 샘플로 더 정확하게 균수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결과 확인이 빨라 살균력 효능 검사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광범위한 항균활성을 보이는 토양 유래 Streptomyces 속 방선균의 분리 및 특성 연구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treptomyces spp. from Soil Showing Broad Spectrum Antibiotic Activity)

  • 박세욱;배태옥;김승범
    • 미생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70-274
    • /
    • 2012
  • 토양시료로부터 광범위한 항생작용을 보이는 방선균 3개 균주를 분리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분리주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 비교 분석을 통해 3개 분리주는 모두 Streptomyces 속에 속하고, S. tanashiensis, S. nashivillensis 및 S. rubiginosohelvolus와 근연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독립적인 계통을 형성하여 신종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항균활성 검정 결과 세 균주는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등의 그람 양성세균, Salmonella typhi, Enterobacter cloacae, Serratia marcescens, Pseudomonas aeruginosa 등의 그람 음성 세균, 그리고 Candida tropicalis 및 Candida krusei 등의 진균류에 대해 각각 서로 다른 길항작용을 보였다. 또한 세 균주 간에는 생리학적 활성에도 차이가 나타나 각 균주가 서로 다른 항생물질을 분비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