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rratia marcescens

검색결과 174건 처리시간 0.031초

자몽 종자 추출물의 항균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Grapefruit Seed Extract)

  • 박헌국;김상범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26-531
    • /
    • 2006
  • 자몽 종자 추출물의 항균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그람 양성균인 Bacillus cereus, Bacillus subtilis, Listeria monocytogenes와 그람 음성균인 Escherichia coli, Salmonella enteritidis, Serratia marcescem를 대상으로 하여 최소 저해 농도, 생육 저해 활성, 콜로니 형성 저해 활성을 실험하였다. 그람 양성균에 대한 자몽 종자 추출물의 최소 저해 농도는 12.5 ppm정도로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그람음성균의 최소저해 농도는 50ppm 이상으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균주의 증식에 대한 생육 저해 활성을 조사한 결과 Bacillus cereus는 1ppm 이하, Bacillus subtilis는 6.25 ppm, Listeria monocytogenes는 1ppm 이하, Escherichia coli는 6.25 ppm, Salmonella enteritidis는 25 ppm Serratia marcescem는 25pp부터 생육이 저해되었다. 그람 양성균의 콜로니 형성 저해활성은 Bacillus cereus는 93.9%, Bacillus subtilis는 94.0%, Listeria monocytogenes는 99.9%, 그람 음성균의 콜로니 형성 저해 활성은 Escherichia coli는 4.4%, Salmonella enteritidis는 82.7%, Serratia marcesem는 86.4%로, 그람 양성균에 대해서는 높은 저해 활성을 보였으며, 그람 음성균에 대해서는 비교적 낮은 저해 활성을 보였다.

Evolutionary Operation (EVOP) to Optimize Whey-Independent Serratiopeptidase Production from Serratia marcescens NRRL B-23112

  • Pansuriya, Ruchir C.;Singhal, Rekha S.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5호
    • /
    • pp.950-957
    • /
    • 2010
  • Serratiopeptidase (SRP), a 50 kDa metalloprotease produced from Serratia marcescens species, is a drug with potent anti-inflammatory property. In this study, a powerful statistical design, evolutionary operation (EVOP), was applied to optimize the media composition for SRP production in shake-flask culture of Serratia marcescens NRRL B-23112. Initially, factors such as inoculum size, initial pH, carbon source, and organic nitrogen source were optimized using one factor at a time. The most significant medium components affecting the production of SRP were identified as maltose, soybean meal, and $K_2HPO_4$. The SRP so produced was not found to be dependent on whey protein, but rather was notably induced by most of the organic nitrogen sources used in the study and free from other concomitant protease contaminant, as revealed by protease inhibition study. In addi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using different sets of EVOP design with each factor varied at three levels. The experimental data were analyzed with a standard set of statistical formula. The EVOP-optimized medium, with maltose 4.5%, soybean meal 6.5%, $K_2HPO_4$ 0.8%, and NaCl 0.5% (w/v), gave a SRP production of 7,333 EU/ml, which was 17-fold higher than the unoptimized media. The application of EVOP resulted in significant enhancement of SRP production.

Serratia marcescens Biodegradative, Biosynthetic Threonine Dehydratase와 Acetolactate Synthase의 생합성에 대한 조절

  • 최병범;방선권
    • 한국식품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영양학회 2001년도 동계 학술심포지움
    • /
    • pp.121-121
    • /
    • 2001
  • 최소 배지에 여러 아미노산과 대사 산물을 첨가하여 배양시킨 Serratia marcescens ATCC 25419 세포추출물에서여 biodegradative threonine dehydratase (BDTD), biosynthetic threonine dehydratase (BSTD)와 acetolactate syntase (ALS)의 비활성도를 조사하였다. S. marcescens BDTD와 ALS는 낮은 농도 (0.5-2 mM)의 cAMP에 의해 촉진적 조절을 받으며, 비교적 낮은 농도의 isoleucine (1-4 mM)에 의해서는 S. marcescens BSTD의 생합성이 증가되고 높은 농도의 isoleucine (10-30 mM)에서는 감소되고 비교적 낮은 농도의 valine (2-4 mM)에 의해서 S. marcescens ALS의 생합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보아 S. marcescens ATCC 25419에서 branched chain 아미노산 생합성 과정의 조절 양상은 Escherichia coli K-12와는 달리, isoleucine의 생합성 과정은 BSTD에 의해 조절되고, valine의 생합성 과정은 ALS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의 죽은 유충에서 분리한 Serratia marcescens 균주의 생물활성 (A Biological Activity of Serratia marcescens Strains Isolated from Dead Larva of the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Plutellidae, Lepidoptera))

  • 전준학;진나영;이유경;이보람;윤영남;유용만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2-158
    • /
    • 2016
  • 배추좀나방의 죽은 유충을 사육상자에서 발견하여 죽은 원인을 조사 하였다. 죽은 유충으로부터 세균을 분리하여 생물검정으로 균주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세균의 형태 및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Serratia marcescens로 동정되었다. 생물검정을 위하여 S. marcescens균주를 LB배양액으로 배양하여 증식하였다. 배양액을 100배로 희석하였을 때, 배추좀나방 3령 유충에 처리한 결과, 처리 2일 후에 100%의 사충률을 보였으며, 상청액만으로 처리하였을 경우에는 10배 희석액에서 86.6%의 사충률을 나타냈다. 또한 파밤나방유충에 접촉독성은 20%의 사충율을 나타냈고, 섭식독성은 8%의 효과를 보였으며, 접촉독성과 섭식독성을 동시에 수행하였을 경우에는 28%의 사충률을 보였다. 또한 국내 5개의 주요 식물병원성균에 대한 항균활성 검정에서 Fusarium oxysporum에 대해서는 4.7%, Rhizoctonia solani은 11.3%, Phytophthora capsici은 15.7%,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은 20% 그리고 Sclerotinias clerotiorum은 42.6%의 control value를 보였다. 또한 S. marcescens 균주에 대하여 단백질과 chitin분해능력을 검토하였다.

Serratia marcescens에서 글리옥실산이 Prodigiosin 생합성에 미치는 연구 (Studies on the Effect of Glyoxylate on the Biosynthesis of Prodigiosin in Serratia marcescens)

  • 최병범;방선권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75-479
    • /
    • 1997
  • 최소 배지에 여러 아미노산과 대사 산물을 첨가하여 혐기성 조건하에서 배양시킨 Serratia marcescens ATCC 25419 세포 추출무에서 prodigiosin의 생합성을 조사한 결과 아미노산과 대사 산물들은 prodigiosin 생합성을 대조군보다 50-80% 정도 감소시켰다. 글리옥실산은 1-3mM에서 prodigiosin의 생합성을 대조군보다 20-40% 정도 증가시켰고, 특히 5mM의 농도에서는 최대 122% 증가시켰으나, 20-30mM에서 prodigiosin의 생합성을 50-90% 정도 감소시켰다. 한편, 혐기성과 호기성 조건의 피루브산과 $\alpha$-케토부티르산은 호기성 조건의 글리옥실산과 함께 조사한 모든 농도(0.5-30mM)에서 prodigiosin이 생성되지 않았으며 또한, 혐기성 조건하에서 높은 농도(20mM 이상)의 글리옥실산은 S. marcescens의 성장을 현저하게 억제시켰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글리옥실산은 피루브산과 $\alpha$-케토부티르산과는 다르게 낮은 농도(1-5mM)에서는 S. marcescens의 1, 2차 대사물질로 작용하여 prodigiosin 생합성을 증가시키지만, 높은 온도(20mM 이상)에서는 S. marcescens의 성장을 억제시켜 2차 대사물질인 prodigiosin의 생합성도 억제된다고 사료된다.

  • PDF

대장균에서 Serratia marcescens 58KD 키티나아제의 발현과 분비 (Expression and Secretion of Serratia marcescens 58 KD Chitinase in Escherichia coli)

  • 장규일;강송옥;신용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511-518
    • /
    • 1992
  • Serratia marcescens ATCC 27117에서 부터 클로닝한 58KD 키티나아제 유전자를 subcloning 하여 2.6Kb DNA 삽입단편을 가진 플라스미드 pCHI26을 제조하고 대장균에서 발현과 분비를 살펴보았다. 키티니아제 유전자는 대장균에서 자신의 prmoter를 이용하여 매우 낮은 수준(<5mU/m$\ell$)으로 발현되었으며 lac promoter를 이용하는 경우 키티니아제 발현이 증가되어 약 80mU/m$\ell$가 되었다. 발현된 키티니아제는 거의 전적으로 대장균의 periplasm에 위치(약 87.8)하고 있었다. 배양시간에 따라서 세포내 키티니아제 활성을 측정해본 결과 초기정지기까지는 균체 성장과 비례해서 세포내 효소활성이 증가되었으나 정지기부터 세포내 효소활성이 급격히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이 기간 동안 세포의 효소활성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periplasm에 위치한 키티나아제가 대장균의 단백분해효소에 의해서 분해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Serratia marcescens S3-R1이 생산한 효소에 의한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의 특성과 면역조절 활성 (Whey protein hydrolytic properties and its immunomodulation activity by produced enzyme from Serratia marcescens S3-R1)

  • 유재민;렌친핸드;정석근;배형철;남명수
    • 농업과학연구
    • /
    • 제40권3호
    • /
    • pp.221-226
    • /
    • 2013
  • Degrees of hydrolysis by alkaline protease produced from Serratia marcescens S3-R1 is 3.95-6.30% of whey proteins during 5, 15, 30, 60, 90, 120,180, 240 min incubation at $40^{\circ}C$. Proteolytic pattern of the whey proteins showed that various low molecular weight peptides were generated during the incubation periods. The biological function of in Raw 264.7 cells treated with whey protein hydrolytic peptides, anti-inflammatory effect showed exhibit in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NF-${\alpha}$, IL-6, COX-2 and iNOS by PCR analysis. COX-2 and iNOS gene expression inhibited in Raw 264.7 cells on whey protein hydrolysates below 3,000 dalton. The protease from Serratia marcescens S3-R1 showed a potential in production of low molecular weight whey protein hydrolysates which could be used for industrial application.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crp, the Cyclic AMP Receptor Protein Gene of Serratia marcescens KTCC 1272

  • Yoo, Ju-Soon;Kim, Hae-Sun;Chung, Soo-Yeol;Choi, Yong-Lar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0권5호
    • /
    • pp.670-676
    • /
    • 2000
  • Several clones obtained from Serratia marcescens stimulated E. coli TP2139 (${\Delta}lac, \;{\Delta} crp$) cells to use maltose as a carbon source. The crp gene clone, pCKB12, was confirmed to stimulate the $\beta$-galactosidase activity, by Southern hybridization [31].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crp region consisting of 1,979 bp was determined. The sequencing of the fragment led to the identification of two open reading frames: One of these, the crp gene, encoded 210 amino acid and the other encoded a truncated protein. The S. marcescens and E. coli crp genes showed a higher degree of divergence in their nucleotide sequence with 120 changes, however, the corresponding amino acid sequences showed only two amino acid differences. Yet, an analysis of the amino acid divergence revealed that the catabolite gene activator protein, the crp gene product, was the most conserved protein observed so far. Using a crp-lac protein fusion, it was demonstrated that S. marcescens CRP could repress its own expression, probably via a mechanism similar to that previously described for the E. coli crp gene.

  • PDF

파프리카에 발생하는 주요 병원균에 대한 길항미생물, Serratia marcescens-YJK1, 분리와 특성 (The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Antagonistic Microorganisms, Serratia marcescens-YJK1, for Major Pathogens on Paprika)

  • 양수정;김형무;주호종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855-868
    • /
    • 2014
  • 파프리카에 발생하는 병들을 방제하기 위하여 합성농약이 광범위하게 사용되어왔지만 최근에 수많은 농약사용의 부작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 하고 있다. 파프리카 주요병인 잿빛곰팡이병, 줄기 및 과실썩음병, 역병, 균핵병, 시들음병을 방제하기 위한 미생물을 분리하고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지방산분석과 16S rDNA 염기배열은 이 연구에서 분리한 YKJ1가 Serratia marcescens 그룹에 속하는 것을 밝혔다. 특히, YKJ1의 16S rDNA 염기배열은 S. marcescens의 염기서열과 99% 상동성을 보였다. 광학현미경을 통해 YKJ1처리에 의해 병원균의 포자 발아 및 균사 생장이 저해됨을 확인 하였다. YKJ1처리는 팽윤균사와 같은 현저한 형태적 변화와 세포벽의 분해를 유발하였다. 역병균의 경우 유주자낭의 형성이 억제되었다. 본 연구에서 동정한 S. marcescens는 S. marcescens-YKJ1으로 부르고자 한다. 포장실험등과 같은 시험이 차후 더 요구되어지나 파프리카의 주요 병관리를 위한 생물적 방제제의 하나로 가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Serratia marcescens의 Polyphosphate Kinase 유전자 특성 (Characterization of Polyphosphate Kinase Gene in Serratia marcescens)

  • Yang Lark Choi;Seung Jin Lee;Ok Ryul Song;Soo Yeol Chung;Young Choon Lee
    • 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97-402
    • /
    • 2000
  • 본 연구는 인산 축적능이 뛰어난 균주를 분자 육종하여 생물학적 폐수처리 및 토양의 인산 집적을 해결시키는 산업적 유용한 재료로 이용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목표로 하고 있다. Polyphosphate kinase의 ATP의 phosphate를 단리하여 한분자씩 결합시키는 형태로 polyphosphate의 합성반응을 촉매한다. 인산 축적에 관한 대사과정의 분자적 이해를 위하여 Serratia marcescens균주로부터 Southern hybridization방법으로 ppk를 암호하는 유전자를 찾아내어 새조합시킨 pDH3를 구축하였다. pDH3으로부터 ppk를 암호하는 유전자 영역의 4.0 kb 단편을 가진 subclone을 작성하였다.Serratia marcescens의 polyphosphate kinase의 활성은 catabolite repression에 의한 조절을 받았다. 발현멕타에 삽입시킨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대장균에 도입시킨 결과, polyphosphate kinase의 효소활성이 크게 증가됨을 확인 하였다. 또한 대량 발현시킨 결과를 SDS-PAGE를 통하여 75 KDa의 발현산물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