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rological evaluation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37초

PoulShot® MG-F 백신의 마이코플라즈마 감염증에 대한 산란계 농장에서의 야외 효능 평가 (Evaluation of Efficacy of PoulShot® MG-F Vaccine against Mycoplasma gallisepticum Infection in the Layer Farms)

  • 전은옥;우창곡;원호근;모인필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81-19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Mycoplasma gallisepticum F 주 생독 백신(PoulShot$^{(R)}$ MG-F)의 안전성과 효능을 평가하였다. 충청북도 진천과 경기도 안성 지역의 산란계 농장을 선정하여, 백신과 야외주 공격 접종에 따른 혈청 역가 변화, 상부 호흡기에서의 마이코플라즈마균 재분리, 조직학적 병변과 백신 접종군 및 백신 미접종군 간의 산란율 및 오파란율의 차이를 농장별로 평가하였다. 백신 접종에 의한 혈청 역가 변화는 백신 접종 후 3주부터 확인되었으며, 농장에 따라 접종 후 23주에서 31주까지 지속됨으로써 백신 항체가 오랫동안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부 호흡기에서 MG-F 재분리 및 PCR에 의한 유전자 검출도 백신 접종 후 31주까지 양성이었다. 이러한 항체 및 항원의 지속적인 검출은 상부 호흡기에 MG-F 백신주의 집락 형성이 오랫동안 지속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동일한 방법으로 백신 접종군에 대한 야외주 공격 접종 후 상부 호흡기에서의 백신주 집락 형성을 분석한 결과, 공격 접종 후 3주까지 백신주의 집락 형성율이 야외주보다 동등하거나 높은 것으로 확인됨으로써 야외주 공격에 대한 백신주의 방어력이 입증되었다. MG-F의 안전성과 생산성 측면에서의 효능을 야외 농장에서 검증하기 위하여 두 실험 농장에서 백신 접종군과 백신 미접종군간의 산란율 및 오파란율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MG-F 접종에 따른 임상적 부작용과 산란율 하락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백신 접종군의 오파란율이 백신 미접종군보다 평균 1~3% 낮은 것으로 분석됨으로써 백신 접종에 의한 난질 개선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PoulShot$^{(R)}$ MG-F 생균백신을 산란계에 접종하였을 때 임상적으로 안전하였으며, 오랜 기간 야외 감염에 방어할 수 있는 항체 형성과 상부 호흡기에서의 지속성이 확인됨으로써 마이코플라즈마 야외 감염을 효율적으로 방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폐결핵 진단을 위한 STAT-PAK ULTRA FAST$^{(R)}$와 ICT Tuberculosis$^{(R)}$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STAT-PAK ULTRA FAST$^{(R)}$ and ICT Tuberculosis$^{(R)}$ for Serologic Diagnosis of Tuberculosis)

  • 김근화;박희선;김명훈;강동원;이규승;고동석;서재철;정성수;김주옥;김선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3호
    • /
    • pp.311-320
    • /
    • 1999
  • 연구 배경 : 최근 전세계적으로 결핵이 증가하며 새로운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특히 결핵의 유병률이 높은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민감도가 높으며 간편한 검사방법 이 필요하다. M. tuberculosis 항원을 사용한 rapid membrane based assay 검사 방법으로 최근에 폐결핵 환자의 결핵항원 특이 항체를 검출한다고 알려진 상용화된 2 가지 kit를 이용하여 폐결핵의 혈청학적 진단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8년 3월부터 9월까지 충남대학교 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받은 호흡기 환자 총 4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객담 도말 양성의 활동성 폐결핵 22예와 비활동성 폐결핵 14예 그리고 대조군으로 비결핵성 호흡기 질환 9예를 대상으로 하여 STAT-PAK ULTRA FAST$^{(R)}$ 및 ICT tuberculosis$^{(R)}$ 검사를 실시하여 결핵 혈청 검사의 유용성을 알아보고 자하였다. 결과: STAT-PAK ULTRA FAST$^{(R)}$의 경우에는 폐결핵과 비활동성 폐결핵의 비교에서 민감도는 77.3%, 28.6%, 양성 63.0%, 음성 예측도는 44.4%, 위양성률은 71.4%, 위음성률은 22.7% 이었고, 활동성 폐결핵과 비결핵성 호흡기 질환의 비교에서는 민감도는 77.3%, 특이도는 33.3%, 양성 예측도는 73.9%, 음성 에측도는 37.5%, 위양성률은 66.7%, 위음성률은 22.7% 이었다. ICT tuberculosis$^{(R)}$의 경우에는 활동성 폐결핵과 비활동성 폐결핵의 비교에서는 민감도는 54.5%. 특이도는 57%, 양성 예측도는 66.7%, 음성 예측도는 44.4%, 위양성률은 42.9%, 위음성률은 45.4 %이었고, 활동성 폐결핵과 비결핵성 호흡기 질환에서는 민감도는 54.5%, 특이도는 100%, 양성 예측도는 100%, 음성 예측도는 47.4%. 위양성률은 0%, 위음성률은 45.4%이었다. 폐결핵의 중증정도(extent) 와 양성율은 상기 2가지 kit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결론: 따라서 상기 2가지의 kit는 항체 반응이 다양하여 임상적으로 폐결핵의 진단에 이용하는 것에는 문제가 있다고 생각되며, 일단 양성반응을 보인 환자의 경우, 항결핵제 투여에 따른 추적 검사에서 항체가의 변화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Helicobacter pylori Status of Gastric Cancer in Thailand

  • Vilaichone, Ratha-Korn;Panarat, Wirat;Aekpongpaisit, Surasak;Mahachai, Vorach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0호
    • /
    • pp.9005-9008
    • /
    • 2014
  • Background: Gastric cancer is the second leading course of cancer death worldwide and H. pylori infection is an important risk factor for gastric cancer development. This study was design to evaluate the clinical, pathological features, survival rate and prevalence of H. pylori infection in gastric cancer in Thailand. Materials and Methods: Clinical information, histological features, endoscopic findings and H. pylori status were collected from gastric cancer patients from Thammasat university hospital during June 1996-December 2011. H. pylori infection was assessed by histological evaluation, rapid urease test and serological test. Clinical information, endoscopic findings and histopathology of all patients were recorded and compared between patients with active or non-active H. pylori infection. Results: A total of 100 gastric cancer patients (55 men and 45 women with mean age of $55{\pm}16.8year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Common presenting symptoms were dyspepsia (74%), weight loss (66%), anemia (63%) and anorexia (38%). Mean duration of symptoms prior to diagnosis was 98 days. Overall prevalence of H. pylori infection was 83% and active H. pylori infection was 40%. 1-year and 5-year survival rates were 43% and 0%.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ctive H. pylori infection in different locations (proximal vs non-proximal: 47.1% vs 48.5%; P-value = 0.9, OR=0.9; 95%CI=0.3-3.1) and histology of gastric cancer (diffuse type vs intestinal type: 47.4% vs 50%; P-value = 0.8, OR=0.9, 95%CI=0.3-2.7). However, linitis plastica was significantly more common in non-active than active H. pylori infection (27.9% vs 0%; P-value<0.0001, OR=13.3, 95%CI=3.2-64.5). Moreover, gastric cancer stage 4 was higher in non-active than active H. pylori infection (93% vs 50%, P-value<0.001). Conclusions: Prevalence of H. pylori infection in Thai gastric cancer patients was high but active infection was low. Most gastric cancer patients presented in advance stage and had a grave prognosis. Screening for gastric cancer in high risk individuals might be an appropriate tool for early detection and improve the treatment outcome for this particular disease in Thailand.

Application of tylosin antibiotics to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fected with Streptococcus parauberis

  • Joo, Min-Soo;Hwang, Seong Don;Choi, Kwang-Min;Kim, Yoon-Jae;Hwang, Jee Youn;Kwon, Mun-Gyeong;Jeong, Ji-Min;Seo, Jung Soo;Lee, Ji Hoon;Lee, Hee-Chung;Park, Chan-Il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3권8호
    • /
    • pp.20.1-20.18
    • /
    • 2020
  • Backgroun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s an economically important aquaculture species in Korea. Olive flounders have been heavily damaged by streptococcal infections every year and are treated with antibiotics. However, antibiotic abuse is causing the emergence of resistant strains, and to overcome this, research has shown that new antibiotics must be applied. Tylosin is a relatively safe antibiotic and has good activity against Gram-positive bacteria and mycoplasma. We studied the therapeutic effects and side effects of tylosin on Streptococcus parauberis-infected olive flounder. Methods: After artificial infection of olive flounder with S. parauberis SPOF18J3, an appropriate dose of tylosin was confirmed by intramuscular injection (I.M.) at 2.5, 5, 10, and 15 mg/kg, and oral administration at 10 and 20 mg/kg. After I.M. and oral administration dosing of tylosin, side effects were confirmed by serological analysis, histopathological analysis, and median lethal dose (LD50) analysis at both an appropriate concentration and a high concentration.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Tukey's test (p < 0.05). Results: The appropriate I.M. and oral administration concentration of tylosin administered to olive flounder infected with S. parauberis SPOF18J3 was found to be 10 mg/kg.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nd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levels were showed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s. The histopathologic results showed mild inflammatory responses in muscle and tubular vacuolization and tubular atrophy appeared,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The LD50 was confirmed to be 461 mg/kg. Conclusion: In this study,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was provided by verifying the treatment effects and side effects of tylosin in olive flounder infected with S. parauberis, which can be applied directly to aquaculture sites. In addition, these results may be used as a reference for evaluation required upon request to obtain approval for tylosin antibiotics as fishery antibiotics in Korea. After approval, it is possible that a fishery disease manager will be able to prescribe and sell the antibiotic tylosin.

국내에서 유행하는 CPV-2a 분리주에 대한 CPV-2와 CPV-2b 백신의 방어효능 평가 (Evaluation for Protective Effect of CPV-2 and CPV-2b Vaccines against a Korean CPV-2a Isolate in Pups)

  • 정석영;이준석;김현태;김두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361-366
    • /
    • 2014
  • 본 연구는 상용화되어 판매되고 있는 CPV-2 백신과 CPV-2b 백신이 국내에서 주로 유행하고 있는 CPV-2a 분리주에 대해 방어능력을 가지는 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CPV에 대한 예방접종을 실시하지 않은 생후 9주령의 잡종 강아지 20두를 예방접종 미실시군(대조군) 4두와 예방접종군 16두로 편성하였다. 예방접종 군의 강아지 8두씩은 3주 간격으로 3회에 걸쳐 CPV-2 또는 CPV-2b 백신을 각각 예방접종하였다. 3차 예방접종 2주 후에 모든 강아지에 $1{\times}10^6\;TCID_{50}$의 CPV-2a (VR00174 strain) 바이러스를 경구접종하였으며 강아지들의 임상증상, CPV의 변 내 배출, CPV에 대한 혈청학적 반응에 대하여 2주 동안 관찰하였다. 국내 분리 CPV-2a를 공격접종한 후에, 예방접종을 실시한 모든 강아지에서는 어떠한 임상증상도 나타나지 않았지만 예방접종을 실시하지 않은 강아지들은 식욕부진, 우둔, 구토, 점액 또는 혈액성 설사를 나타내었으며 2두는 공격접종 6일째에 폐사하였다. 예방접종을 실시하지 않은 강아지들에서는 공격접종 4일 후부터 변에서 CPV가 검출되었지만 예방접종을 실시한 강아지에서는 변에서 CPV가 검출되지 않았다. 그리고 예방접종 실시한 강아지들은 1차 예방접종에 의하여 방어수준 이상으로 CPV에 대한 항체를 형성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 국내에서 시판 중인 CPV-2와 CPV-2b 백신이 최근 국내에서 주로 분리되는 CPV-2a에 대하여 교차 방어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haracterization and evaluation of liver fibrosis grade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virus infection and normal transaminases

  • Cristina, San Juan Lopez;Marta, Casado Martin;Mercedes, Gonzalez Sanchez;Almudena, Porcel Martin;Alvaro, Hernandez Martinez;Luis, Vega Saenz Jose;Tesifon, Parron Carreno
    • 대한간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84-391
    • /
    • 2018
  • Backgrounds/Aims: The objective of our study was to determine the epidemiological, laboratory, and ser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virus (HBV) infection and normal transaminases. The study also aimed to evaluate liver damage by measuring the liver fibrosis (LF) grade and to identify possibl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of fibrosis. Methods: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was conducted in patients with chronic HBV infection and classified as inactive carriers or immune-tolerant. Epidemiological variables of age, sex, immigrant, alcohol consumption, and body mass index (BMI), as well as virological variables (HBV DNA) and transaminase level were collected throughout the follow-up. The LF grade was evaluated by transient elastography. The cutoff value for significant fibrosis (SF) was liver stiffness ${\geq}7.9kPa$. Results: A total of 214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and 62% of them had a BMI ${\geq}25kg/m^2$. During follow-up, 4% of patients showed transaminase elevation (<1.5 times normal). Most patients had a viral DNA level <2,000 IU/mL (83%). Data on LF were available in 160 patients; of these, 14% had SF, 9% F3, and 6% F4. The variables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of SF were transaminase alteration during follow-up, as 23% of patients with SF had elevated transaminases versus 3% of patients without SF (P<0.005), and BMI, as the vast majority of patients with SF (88%) had a BMI ${\geq}25kg/m^2$ versus 56% of patients without SF (P<0.05). Conclusions: In patients with chronic HBV infection and normal transaminases, liver damage does not seem to be related to DNA levels, alcohol consumption, or immigrant status. SF seems to be associated with transaminase alteration during follow-up and elevated BMI. It is therefore recommended to measure LF grade with validated non-invasive methods in such patients.

만성 B형 간질환에서 간염 B virus 표식자 발현에 따른 DNA의 검출 (Detection of Serum Hepatitis B Virus DNA According to HBV Markers in Chronic Hepatitis B Liver Disease)

  • 이동준;최진수;김준환;이헌주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4권1호
    • /
    • pp.155-167
    • /
    • 1997
  • 본 연구는, HBV의 증식 및 감염력을 파악하는데 가장 중요한 표지자로 알려진 HBV DNA를 최근 임상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PCR법을 사용해 검출함으로써 기존의 dot blot법과 PCR법을 비교하고, 만성 간질환 환자에서 HBV의 e항원, 항체체계에 따른 HBV DNA의 검출율을 PCR법을 이용하여 알아봄으로써 HBV의 증식 및 감염력을 파악하고자 무증상 HBsAg 보유자 17명(HBeAg 양성 9명, anti-HBe 양성 8명), 만성 B형 간염 환자 91명(HBeAg 양성 50명, anti-HBe 양성 41명), 간경변증 한자 57명(HBeAg 양성 21명, anti-HBe 양성 36명), 원발성 간세포암 환자 27명(HBeAg 양성 10명, anti­HBe 양성 17명)을 대상으로 HBV DNA의 검출빈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Dot blot법의 경우 HBeAg 양성인 환자군, anti-HBe 양성인 환자군에서의 HBV DNA의 검출율은 각각 58.9%, 34.3% 이었고, PCR법에 의한 검출율은 상기군에서 각각 72.2%, 53.9%였다. HBeAg 음성인군에서의 PCR법에 의한 HBV DNA 검출율은 무증상 HBsAg 보유자의 경우 25.0%, 만성 B형 간염 환자군의 경우 61.0%, 간병변증 환자군의 경우 52.8%, 원발성 간세포암 환자군의 경우 52.9%였다. 무증상 HBsAg 보유자에서 HBeAg 양성인 군과 음성인 군간의 HBV DNA 검출율은 각각 77.8%, 25.0%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나머지 군에서는 HBeAg 양성인 군과 음성인 군간의 HBV DNA 검출율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PCR을 이용할 경우 기존의 dot blot보다 훨씬 예민하게 HBV DNA를 검출할 수 있고, HBsAg 양성인 만성 간질환 환자의 대부분에서는 HBeAg 및 anti-HBe 표식자 체계와는 무관하게 바이러스의 증식이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PCR법이 무증상 HBsAg 보유자의 예후를 알 수 있는 지표로서 유용성에 대한 가능성을 의미하나 확실한 의의를 알기 위하여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3년간(1996~1998) 초등학생의 A군 연쇄구균 보균율과 혈청학적 분류에 관한 연구 (Serial Survey on Group A beta-Hemolytic Streptococcal Carrier Rate and Serotyping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1996~1998)

  • 김지현;김주예;강현호;차성호;이영희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7권1호
    • /
    • pp.143-151
    • /
    • 2000
  • 목 적 : A군 연쇄상구균은 소아영역에서 상기도 감염의 중요한 원인이며, 부적절한 치료시 류마티열 및 급성 신사구체염을 유발시키는 중요한 세균이다. A군 연쇄상구균의 세포벽을 구성하고 있는 T단백질의 항원성 분류는 연쇄구균감염의 역학적 상황을 이해하는데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지난 3년동안 우리나라 초등학생 연쇄구균 보균자에게서 분리된 A군 연쇄상구균의 T단백 분류를 통해 그 역학적 동태를 알고자 하였다. 방 법 : 1996년 3월부터 5월까지 울진, 서울, 오산, 군산의 정상 초등학생 1,19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울진에서는 1996년, 1997년, 1998년 3년동안 배양검사를 시행하였으며, 1996년 오산에서는 같은 초등학교에서 3회에 걸쳐 배양검사를 시행하였다. 대상 아동으로부터 소독된 면봉으로 편도와 인두를 세게 문질러 검체를 획득하여, 면양혈액한천배지에 접종 후 희석하여 37.2도에서 하룻밤 배양 후 얻은 베타용혈균을 Streptex를 이용하여 grouping하였으며, 분리된 A군 연쇄상구균의 T혈청형 분류를 시행하였다. 결 과 : 1996년 울진, 서울, 오산, 군산의 1,192명의 초등학생 중 15.0%인 179명에서 A군 연쇄상구균이 배양되었으며, 지역별 보균율은 울진 18.6%, 서울 2.7%, 오산 26.0%, 군산 12.3%였다. 1996년 보균자 179명중 T혈청형 분리율은 52.2%였으며, 지역별로는 울진 68.7%, 서울 83.3%, 오산 24.7%, 군산 83.8%였다. 1996년 지역별로 흔하게 분리된 T혈청형은, 울진에서는 NT, T1, T3순이었고, 서울은 T12, T25, 오산은 NT, T6, T28, 군산은 T25, T4, NT, T5순이었다. 울진의 연도별 보균율은 1996년 16.0%, 1997년 7.1%, 1998년 13.0%였으며, 분리된 T혈청형은 1996년에는 NT, T1, T3, T25순이었고, 1997년 NT, T1, T12, T25 순이었으며, 1998년에는 T12, NT, T4순이었다. 1996년 오산 지역에서 3회에 걸쳐 시행한 배양검사에서, 분리된 T혈청형은 1차에서는 NT가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나, 2차에서는 T6, T1, T4 순이었고, 2차에서와 같은 대상을 2주간격을 두고 시행한 3차에서는 T8/25, T12, T1순이었다. 같은 학생을 대상으로 2주간격으로 시행한 배양검사에서 1차에서 23명의 소아에서 양성이 나왔으며, 2차에서는 27명에서 양성이 나왔으며, 이중 1, 2차에서 모두 양성이 나온 사람은 16명이었다. 이 16명중 T혈청형이 1, 2차에서 동일하게 나온 사람은 4명(25.0%)이었다. 결 론 : 배양된 균의 세포막 단백질의 분석을 통해 연쇄구균의 혈청학적 타입을 분석 및 이 균과 관련된 역학을 파악하는 것이 궁극적으로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근본이 될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주기적으로 병원균에 대한 역학적 검사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폐흡충증 환자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Study of Pulmonary Paragonimiasis)

  • 최진원;박익수;신동호;박성수;이정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3호
    • /
    • pp.274-282
    • /
    • 1993
  • 연구배경 : 국내에서 폐흡충의 발생은 과거에 비하여는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나, 국내의 일부 가정에서 감염된 민물게로 게장을 만들어 먹음으로 아직도 이 질환이 산발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환자 진단시 그 환자와 같이 음식을 먹은 병력이 있는 가족 구성원들도 역시 이환 가능성이 높으므로 비록 그 당시 증상이 없더라도 이들에 대한 검사 및 치료도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방법 : 폐흡충증으로 확진된 환자 74예를 대상으로 환자의 성별 및 연령분포, 과거력 및 임상증상, 검사실 소견, 방사선학적 소견등을 분석하였으며, 치료후에도 추적이 가능하였던 13예의 환자에서는 특이 항체(ELISA)의 변동을 관찰하였다. 또 가족적으로 진단된 가족 구성원들간의 임상증세 및 방사선학적 소견등에 유사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보았다. 결과 : 남녀비는 약 2.2:1 이었다. 가장 많은 연령층은 40~49세였다. 민물게장을 먹은 병력은 총 대상 환자 중 58예 (78%)에서는 뚜렷하였고, 7예(10%)에서는 불명확하였으나, 9예(12%)에서는 이를 먹은 기억은 없다고 하였다. 내원시 환자의 증상은 63예(85%)에서는 호흡기 증상을 호소하였고, 11예(15%)에서는 호흡기 증상은 없었다. 폐흡충 충란은 피검예 74예중 29예(39%)에서 발견되었으며 45예(61%)는 충란을 발견하지는 못하였다. 환자 74예중 53예(72%)에서 비정상적인 흉부 X-선소견을 보였고, 21예(28%)에서는 정상 소견으로 판독되었다. 흉부 X-선의 비정상적인 소견중 폐실질성 병변은 40예(75%), 늑막성 변화는 33예(63%)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 폐흡충증으로 확진된 7예의 환자들의 가족에서 환자와 함께 민물게장등의 음식을 먹은 가족구성원 13예에 모두에서 피내반응검사와 혈청 특이항체 양성소견을 보여, 이들이 환자와 같이 폐흡충증에 이환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PDF

B형 간염 바이러스 만성 감염 소아의 추적 관찰 (Follow-up of Children with Chronic Hepatitis B Virus Infection)

  • 황성현;김종현;강진한;허재균;이경일;오진희;이승희;고대균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1권1호
    • /
    • pp.73-80
    • /
    • 2004
  • 목 적 : 소아 HBV 만성 감염 환자들에 대한 연속적인 임상적 소견, 생화학 검사 및 혈청학적 표지자의 변화를 분석하여 이들간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방 법 : 1995년 7월 1일부터 2000년 6월 30일까지 5년간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소아과를 방문하여 6개월 이상 추적이 가능하였던 HBV 만성감염 소아 9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모두는 HBV 표지자인 HBsAg, anti-HBs, HBeAg, anti-HBe, anti-HBc IgG와 간기능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첫 내원시 대상 모두가 무증상이었고 HBV 만성 감염의 가족력이 83%에서 있었다. HBeAg 양성이 81%, HBeAg 음성, anti-HBe 양성이 16%, HBeAg, anti-HBe 모두 음성인 경우가 3%로 성별간의 차이는 없었고, 대상군의 연령을 0~5, 6~10, 11~15세로 나누었을 때 HBeAg 양성은 각각 90%, 96%, 61%로 10세 이하의 양성률이 11~15세에 비해 의미있게 높았다(P=0.001). 혈청 ALT치는 40 IU/L 이하, 41~80 IU/L, 81~200 IU/L, 201 IU 이상인 경우가 각각 64%, 17%, 10%, 9%이었고 HBeAg 양성군이 음성군에 비해 ALT의 비정상인 경우가 의미있게 많았다(P=0.036). HBeAg에서 anti-HBe로 전환된 경우가 73명 중 11명에서 발생하였고 이들 모두에서 anti-HBe의 전환 전에 ALT치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HBeAg 및 HBsAg의 연간 자연소실율은 각각 9.7%, 0.6%이었다. 결 론 : HBV 표지자 및 생화학적 검사치의 변화양상을 숙지하는 것은 이와 관련된 연구를 시행할 때 대상을 선정하고 또한 질환에 대한 치료 여부, 치료제의 선택 및 효과를 검토할 때 필요한 사항이며 각 개인의 HBV 만성 감염의 악화 예후인자를 찾기 위하여 증상이 없더라도 보유자에 대한 계속적인 관찰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