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ptoria brown spot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3초

대두 갈색무늬병에 의한 수량감소의 평가 (Assessment of the Soybean Yield Reduction due to Infection of Septoria Brown Spot, Septoria glycines Hemmi)

  • 오정행;권신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14
    • /
    • 1983
  • 2년간에 걸쳐 조사한 대두의 수량감소는 갈색무늬병을 접종한 경우 농약 살포구에 비해 $15.7-16.4\%$ 감소 차였으며 자연감염의 경우에는 $8.2-9.2\%$의 감소를 나타냈다. 갈색무늬병의 감염은 초장, 주당절수(株當節數), 주당분지수(分枝數)에는 큰 영향이 없었으나 주당협수(狹數)와 종실중(種實重)에는 현저한 감소 현상을 보였다. 대두의 수량감소율을 갈색무늬병의 이병율과 정(正)의 상관을 보였으며 그 상관도는 Van der Plank's infection rate (0.156) 보다는 병 진전국선면적(AUBC) 과의 상관도가 높았다$(r=0.388^*)$. 병진전곡선 면적으로 표시된 갈색무늬병의 감염율과 대두수량 감소율과의 관계는 y=4.38+0.5X $(r=0.686^{**},\;df=25)$으로 나타났다.

  • PDF

대두잎의 성숙도가 갈색무늬병의 진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EAF MATURITY ON THE DISEASE PROGRESS OF SEPTORIA BROWN SPOT IN SOYBEAN)

  • 오정행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285-290
    • /
    • 1987
  • 대두 갈색무늬병의 진전은 한 식물체에서 상위엽으로의 진전속도(수직감염율 : vertical progress)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실제로 포장에서의 갈색무늬병 진전은 주로 하위엽에서 발병하기 시작하여 상위엽에 비하여 이병정도가 높은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한 본 실험에서 갈색무늬병의 감염율은 잎의 성숙도와 정의 상관을 보였으며 이러한 유엽저항성은 접종원의 분포와는 무관한 것으로 보였다. 또 상위엽의 엽표면일출액 (leaf diffusate)은 병원균 포자발아 및 관계신장의 억제 정도가 하위엽의 일출액에 비하여 높았으며 이러한 경향은 저항성품종에서 더욱 현저하여 엽일출액의 어떤 발아억제물질이 갈색무늬병의 유엽저항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재래종 대두의 갈문병 저항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Resistance to Septoria Brown Spot(Septoria glycines Hemmi) in Native Soybean Collection)

  • 권신한;오정행;김재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7-53
    • /
    • 1980
  • 대두 갈문병에 대한 저항성 인자원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집재래종대두의 저항성을 검정하고 낙엽률과 수량구성형질간의 관계를 구명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하였다. 1. 본시험에 공시한 수집재래종대두 1428계통의 약60% 이상이 심한 황변현상과 조기낙엽에 이르는 가장 높은 리병성 반응(리병지수 5)을 보였으며 약 9%인 136계통은 병반은 형성하나 병반 주위조직의 황변현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들의 대부분은 녹색종피 계통이었다. 2. 대두 갈문병의 접종시기는 제2~3 복엽기가 효과적이었으며 신엽보다는 성엽에서 병의 진전속도가 빨 간다. 3. 대두 갈문병의 접종 4주 후에 조사한 초생단업의 낙엽률은 비접종구에 비해 약 82% 증가하였으며 황변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연색종피 계통과 황변환상을 나타내는 품종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이들 연색종피 계통을 저항성으로 간징하기는 어려웠다. 4. 대두의 조기낙엽은 초장과 분지수에는 영향이 없었으나 절수, 협수 및 백립중에는 유의성 있는 부의 상관을 보임으로서 수량감소의 중요한 요인이 될것으로 보였다.

  • PDF

Occurrence and Characterization of Leaf Spot Caused by Septoria melissae on Lemon Balm in Korea

  • Yang, Seon-Ah;Choi, In-Young;Ju, Ho-Jong;Lee, Kui-Jae;Galea, Victor;Shin, Hyeon-Dong
    • Mycobiology
    • /
    • 제48권6호
    • /
    • pp.495-500
    • /
    • 2020
  • Leaf spot on lemon balm is frequently observed in Korea, causing considerable damage to crops. In 2014 and 2015, the occurrence of leaf spot was observed in several production greenhouses at Suwon, Gongju, and Namwon in Korea. Symptoms on lower leaves initially developed as small, distinct, discolored lesions, which enlarged progressively turning into dark brown, angular spots surrounded by purplish-brown margins.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equence analysis of actin (ACT),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alpha (EF-1α),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28S nrDNA (LSU), and RNA polymerase II second largest subunit (RPB2), the fungus associated with the lemon balm leaf spot was determined as Septoria melissae.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lemon balm leaf spot caused by S. melissae in Asia as well as in Korea.

대두(大豆)갈색무늬병의 병진전(病進展)과 품종간저항성(品種間抵抗性) 검정(檢定) (Evaluation of Septoria Brown Spot Disease and the Disease Resistance in Soybean Cultivars)

  • 오정행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03-106
    • /
    • 1985
  • 대두(大豆) 갈색무늬병에 대한 저항성(抵抗性)의 포장검정(圃場檢定)에 적합한 생육시기(生育時期)를 결정하고 수집재래종(蒐集在來種)으로부터 저항성인자원(抵抗性因子源)을 찾기 위 하여 본실험(本實驗)을 수행하였던 바, 1. 갈색무늬병에 대한 저항성(抵抗性) 품종간(品種間)에 차이(差異)가 현저하였으며 수직감염율(垂直感染率)과 병반면적율간(病斑面積率間)에는 상관(相關)이 있었다. 2. 병반면적율(病斑面積率)과 병진전곡선면적(病進展曲線面積)과의 상관도(相關度)는 대두(大豆) 생육기중(生育期中) 개화기(開花期)에서 가장 높아 포장에서의 저항성 검정시기는 개화기(開花期)가 적당한 것으로 보였다. 3. 수집재래종(蒐集在來種) 1,428계통의 저항성(抵抗性) 검정결과(檢定結果) 고도저항성(高度抵抗性) 계통(系統)은 발견할 수 없었고 중도저항성(中度抵抗性)인 4 계통(系統)을 선발할 수 있었다.

  • PDF

유용 자원식물의 진균성 신병해(V) (New Fungal Disease of Economic Resource Plants in Korea (V))

  • 신현동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2-61
    • /
    • 1998
  • This paper is the fifth report about the fungal diseases of economic resource plants observed newly in Korea. It contains short descriptions on symptoms, occurrence conditions, pathogens, and some phytopathological notes for each of 10 fungal plant diseases. They are identified as leaf spot of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by Septoria lengyelii, leaf spot of Calystegia soldanella by S. convolvuli, leaf spot of Campanula punctata by S. campanulae, leaf spot of Codonopsis lanceolata by S. codonopsidis, leaf spot of Geum japonicum by s. gei, black spot of Oenanthe javanica by s. oenanthes, leaf spot of Oenothera odorata by S. oenotherae, angular leaf spot of Rehmannia glutinosa by S. digitalis, brown spot of Rubus crataegifolius by s. rubi, and leaf spot of Viola verecunda by S. violae-palustris, respectively.

  • PDF

재배양식에 따른 더덕 병해 발생양상 (Incidence of Diseases in Codonopsis lanceolata with Different Cultivation Method)

  • 김주희;최정식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676-681
    • /
    • 1998
  • Disease incidence of Codonopsis lanceolata was surveyed at the major cultivating fields in Chonbuk province in 1996 to 1997. The main diseases of Codonopsis lanceolata were ovserved as leaf spot caused by Septoria codonopsis, anthracnose by Glomerella cingulata, brown leaf spot by Cercospora sp., rust by Coleosporium koreanum, powdery mildew by Erysiphe sp., Fusarium wilt caused by Fusarium oxyporum, and white root rot by Sclerotium rolfsii. Anthracnose, leaf spot and brown leaf spot occurred severely on leaves from early July to late August. They were caused early fallen leaves. Fusarium wilt and white root rot occurred severely on stem and below the soil line in late August. They resulted in withering to death or chlorosis and fallen of leaves. Disease incidence of Codonopsis lanceolata was also substantially different in occurrence with a method of cultivation in late growth stage. Fusarium wilt and white root rot were more severe with a method of no support cultivation than those with a method of support cultivation with a stick. Fusarium wilt occurred 48.8% in a method of no support cultivation but 3.1% in a method of support cultivation with a stick. And white root rot occurred 18.9% in a method of no support cultivation but 0.3% in a method of no support cultivation with a stick. Thus, it proved that soil-borne diseases could be controlled support cultivation with a stick.

  • PDF

분생포자수 및 영양상태가 대두갈색무늬병균의 분생포자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nidial Number and Nutrition on the Germination of Conidia in Septoria glycines)

  • 오정행;정후섭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1-67
    • /
    • 1984
  • 대두갈색무늬병균의 포자발아(分生胞子發芽) 미치는 외부영양공급(外部營養供給) 및 self-inhibitor의 영향(影響)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갈색무늬병균의 포자발아율은 감자한천배지 및 대두잎조각을 첨가한 증류수에서는 양호하였으나 살균된 증류수에서는 극히 불량하였다. 2. 갈색무늬병균의 포자발아에는 탄소원의 외부공급이 절대 필요한 것으로 보였으며 인산, 가리 등은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보였다. 3. 탄소원으로서는 가용성 전분이 가장 효과적이었고 다음이 포도당, 유당 등이었으며 포도당의 경우 $5\times10^{-2}mol$ 농도에서 가장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4. 포자발아율은 포자밀도가 높을수록 현저히 감소하여 포자농도 $10,000conidia/mm^2$ 이상에서는 거의 발아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self-inhibitor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였다. 5. 기질(基質)을 세척한 포자의 발아율은 세척하지 않은 포자의 발아율에 비해 낮았으며 이러한 현상은 포자농도가 $2,000conidia/mm^2 $ 이상으로 증가할 때 더욱 현저하였고 건조된 한천배양기위에는 발아율 감소가 현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