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parating maps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7초

SUBADDITIVE SEPARATING MAPS BETWEEN REGULAR BANACH FUNCTION ALGEBRAS

  • Sady, Fereshteh;Estaremi, Yousef
    • 대한수학회보
    • /
    • 제44권4호
    • /
    • pp.753-761
    • /
    • 2007
  • In this note we extend the results of [3] concerning subadditive separating maps from A=C(X) to B=C(Y), for compact Hausdorff spaces X and Y, to the case where A and B are regular Banach function algebras(not necessarily unital) with A satisfying Ditkin#s condition. In particular we describe the general form of these maps and get a result on continuity of separating linear functionals.

Location-Based Saliency Maps from a Fully Connected Layer using Multi-Shapes

  • Kim, Hoseung;Han, Seong-Soo;Jeong, Chang-Su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5권1호
    • /
    • pp.166-179
    • /
    • 2021
  •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computer vision research based on the human visual system has been actively conducted. Saliency maps have been used to highlight areas that are visually interesting within the image, but they can suffer from low performance due to external factors, such as an indistinct background or light source. In this study, existing color, brightness, and contrast feature maps are subjected to multiple shape and orientation filters and then connected to a fully connected layer to determine pixel intensities within the image based on location-based weights. The proposed method demonstrates better performance in separating the background from the area of interest in terms of color and brightness in the presence of external elements and noise. Location-based weight normalization is also effective in removing pixels with high intensity that are outside of the image or in non-interest regions. Our proposed method also demonstrates that multi-filter normalization can be processed faster using parallel processing.

CONTINUITY OF HOMOMORPHISMS BETWEEN BANACH ALGEBRAS

  • Cho, Tae-Geun
    • 대한수학회보
    • /
    • 제20권2호
    • /
    • pp.71-74
    • /
    • 1983
  • The problems of the continuity of homomorphisms between Banach algebras have been studied widely for the last two decades to obtain various fruitful results, yet it is far from characterizing the calss of Banach algebras for which each homomorphism from a member of the class into a Banach algebra is conitnuous. For commutative Banach algebras A and B a simple proof shows that every homomorphism .theta. from A into B is continuous provided that B is semi-simple, however, with a non semi-simple Banach algebra B examples of discontinuous homomorphisms from C(K) into B have been constructed by Dales [6] and Esterle [7]. For non commutative Banach algebras the problems of automatic continuity of homomorphisms seem to be much more difficult. Many positive results and open questions related to this subject may be found in [1], [3], [5] and [8], in particular most recent development can be found in the Lecture Note which contains [1]. It is well-known that a$^{*}$-isomorphism from a $C^{*}$-algebra into another $C^{*}$-algebra is an isometry, and an isomorphism of a Banach algebra into a $C^{*}$-algebra with self-adjoint range is continuous. But a$^{*}$-isomorphism from a $C^{*}$-algebra into an involutive Banach algebra is norm increasing [9], and one can not expect each of such isomorphisms to be continuous. In this note we discuss an isomorphism from a commutative $C^{*}$-algebra into a commutative Banach algebra with dense range via separating space. It is shown that such an isomorphism .theta. : A.rarw.B is conitnuous and maps A onto B is B is semi-simple, discontinuous if B is not semi-simple.

  • PDF

Sentinel-2 위성영상과 SRTM DEM을 활용한 연안습지 탐지: 서해안 곰소만을 사례로 (Detection of the Coastal Wetlands Using the Sentinel-2 Satellite Image and the SRTM DEM Acquired in Gomsoman Bay, West Coasts of South Korea)

  • 정윤재;김경섭;박인선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52-63
    • /
    • 2021
  • 기존 연구에서는 연안습지를 탐지하기 위해 위성/항공 영상의 다중분광 밴드로부터 산출한 식생지수 또는 토지피복도를 활용하였으나, 단일 센서만을 활용할 경우 토지피복정보와 지형정보를 동시에 고려하는 것에 한계가 있어 높은 정확도의 연안습지 탐지 및 대규모 연안습지 관리 업무 수행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서해안 곰소만 지역을 촬영한 Sentinel-2 위성영상의 다중분광 밴드와 디지털 지형 모델인 SRTM(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DEM(Digital Elevation Model)을 사용하여 서해안 곰소만의 대규모 연안습지를 다음의 과정을 통해 탐지하였다. 우선 Sentinel-2 위성영상의 Green 및 근적외선 밴드를 활용하여 정규수분지수 영상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정규수분지수 영상에서 픽셀의 밝기값 0.2를 임계치로 설정하여 물과 육지를 구분하는 이진화 영상을 제작하였으며, SRTM DEM에서 픽셀의 밝기값 0을 임계치로 설정하여 해수면 아래와 해수면 위를 구분하는 이진화 영상을 제작하였다. 최종적으로는 두 장의 이진화 영상에 중첩 분석을 적용하여 이진화 영상 기반 연안습지 지도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기술을 활용하여 제작한 이진화 영상 기반 연안습지 지도의 정확도는 94%로서 매우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연안습지가 아닌 내륙습지, 산지습지 등은 탐지되지 않아서 연안습지 관리 업무에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국 지적도에서의 문자분리 및 고품질 벡터화 (Separation of Character Strings and High Quality Vectorization for Korean Cadastral Map)

  • 방극준;홍대식
    • 전자공학회논문지S
    • /
    • 제36S권2호
    • /
    • pp.63-68
    • /
    • 1999
  • 지도에서의 문자와 선성분의 겹침과 선성분의 교차점 및 가지점에서의 벡터화 왜곡문제는 지도 자동입력 기능 구현에서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같은 두가지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즉, 지도영상을 일반적인 방법으로 세선화 한 후 교차점 및 분기점을 중심으로 그 주변을 불확실영역으로 정하고 이 영역을 삭제한 후, 끊어진 선성분은 상호 연결가능 척도를 이용하여 연결하고 연결되진 않는 부분을 문자영역으로 분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특히 제안된 방법은 벡터화 왜곡 및 문자분릴르 동시에 처리함에 따라 수행 속도면에서도 장점이 있으며, 처리과정에서 선성분의 두께산출 등의 적응적 처리과정을 포함함에 따라 대상지도의 입력 해상도에 무관하게 처리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제안된 방법은 일반적으로 직선성분과 문자영역의로 구성되는 경우에 효과적이며 이러한 예에 해당되는 한국 지적도에 적용한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방법의 유용함을 보인다.

  • PDF

조선시대 지방 옥(獄) 구조에 관한 고찰 - 발굴 유적과 고지도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ructure of a Local Prison in the Joseon Dynasty Based on the comparison of excavation sites and antique maps)

  • 이은석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4권4호
    • /
    • pp.246-259
    • /
    • 2021
  • 조선시대 지방 읍성에 대한 연구는 다방면에서 많은 성과가 있었으나, 그 내부 관청 건물의 하나인 옥(獄)에 대해서는 고고학적인 연구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았다. 죄인들이 머무는 옥사의 배치나 구조, 옥리(관헌)들이 사무를 보거나 숙직 근무를 서는 집무소, 탈출을 방지하는 담장의 구조 등에 대해서는 1997년 경주에서 옥이 처음 발굴된 이후 연구의 필요성이 계속 제기되어 왔으나 비교 대상이 없어 답보 상태였다. 그러나 그 후 발굴된 연일옥 자료와 공주옥 등의 사진을 비교 분석해 본 결과 조선 전기부터 말기까지 축조된 옥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세종은 전국의 죄수들을 잘 관리하도록 1426년 표준적인 설계도인 안옥도(犴獄圖)를 배포하였고, 동·하절기 처우 개선 등을 위해 1439년 한 차례 수정하기도 하였다. 1421년부터 1743년까지 운영된 연일옥은 조선 전기부터 중기까지의 옥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데, 조선 후기까지 운영된 경주옥과 비교할 때 원형 담장, 동서 옥사의 배치와 구조 등 그 형식이 매우 유사하며 규모만 작을 뿐이다. 이러한 구조는 조선 말기 사진으로 남아 있는 공주옥까지 계속 그 형식이 유지되고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조선시대 옥은 타원형의 담장과 남녀를 구분하여 수용하는 건물이 나누어져 있었고, 담장의 높이는 약 3m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옥사는 동쪽이 남자, 서쪽이 여자 옥사로 구분되며 지붕으로 탈출이 어려운 기와집 구조였다. 원형 담장 앞에는 옥리(押牢)들이 근무하는 초가 지붕의 집무소가 있었는데, 2중의 옥문을 통해야만 옥의 출입이 가능하였다. 조선시대 왕들은 인본주의 유교 사상을 구현하고자 미결수들이 머무는 옥의 환경을 개선하고 남녀를 구분하여 수감토록 한 것이 건축물의 배치에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