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sory method

검색결과 1,255건 처리시간 0.028초

과추출에 의한 커피의 이취성분 분석 (Analysis of Off-flavor Compounds from Over-extracted Coffee)

  • 이진성;김민선;신호재;박기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48-360
    • /
    • 2011
  • 연속적으로 추출한 커피액을 단계별로 일정량 취하여 관능검사를 실행한 결과 고형분의 함량을 시료별로 동일하게 희석하였음에도 에스프레소 추출의 경우 30 mL 이상, 드립커피에서는 200mL 이상 추출한 경우 향미는 감소하고 이취는 증가하여 과추출이 시작됨을 인지할 수 있었다. 이는 추출 단계별로 고형분 성분의 조성비의 변화가 있음을 의미하며 GC/MS로 성분비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 4-ethylguaiacol은 통계분석 시 이취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유효 향기성분인 동시에 커피의 재료, 배전도, 추출 방식에 상관없이 추출이 경과함에 따라 성분비가 직선에 가까운 상승비를 보이므로 과추출을 나타내는 지표 물질로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Guaiacol과 4-vinylguaiacol은 이취와 통계적으로 높은 연관성을 보인 4-ethylguaiacol에 비해 향기 인지에 큰 영향을 미치는 ordor threshold value가 낮고 피크 면적 %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므로 과추출로 인한 이취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들 성분이 과추출 인지점 이후 증가하는 피크 면적 %를 보이는 것은 세포벽을 구성하는 섬유질의 탄 맛이 일정량 계속 침출되기 때문으로 보인다. 인스턴트커피 및 농축 커피 용액 제조 시 관능검사 결과와 함께 GC/MS로 4-ethylguaiacol의 피크 면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면 용액의 추출수율과 관능적 품질 선호도 즉 경제성과 품질을 최적화할 수 있는 지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황토성분(Illite) 첨가 급여가 비육돈의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llite Supplementation on the Meat Quality of Finishing Pigs)

  • 김천제;이의수;송민석;조진국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2-158
    • /
    • 2000
  • 본 연구는 황토광물 중 대표적인 광물인 illite를 첨가한 사료의 급여가 돈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illite 첨가사료를 급여한 돼지(시험구)와 일반사료를 급여한 돼지(대조구)를 도축하고, 24시간 냉각 후 등식육을 시료로 취하여 4℃ 냉장실에서 7일간 저장하면서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최종육질을 조사하였다. 최종 pH는 대조구가 pH 5.58이었고 시험구가 pH 5.60로 나타나 모두 정상범위의 pH를 보였으며, 두 처리구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압착법에 의하여 측정된 보수력은 시험구가 대조구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가열감량은 시험구가 대조구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다(p〈0.05). 도축 24시간 후와 7일간 저장 후 측정된 전단력은 대조구와 시험구 사이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며, 육색측정 결과 L*-값과 a*-값은 시험구와 대조구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b*-값은 시험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4℃에서 저장하는 동안 발생한 드립감량은 3일까지는 시험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감량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이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NPPC 육질평가 기준표에 의하여 평가한 육색은 대조구와 시험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5). 조기가열육의 풍미, 맛, 연도는 대조구와 시험구사이에 큰 칭가 없었으나, 다즙성은 시험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다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 PDF

후경골 동맥 유리 피판에 의한 수부 전기 화상의 재건 (Reconstruction of Electrical Burned Hand by Posterior Tibial Arterial Free Flap)

  • 최수중;서은민;이창주;장준동;김석우;이상훈;이동훈;서영진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13권1호
    • /
    • pp.14-23
    • /
    • 2004
  • Introduction: The hand and wrist are particularly susceptible to electrical burn. Skin defect with damage or exposure of underlying vital structure requires coverage by skin flap especially in case of the need for late reconstruction. We are reporting 4 cases of electrical burned hand treated by posterior tibial arterial free flap. The commonly used skin flaps such as scapular flap or groin flap are too bulky so that they are not satisfactory in function and cosmetic appearance. So we tried to cover them with a more thin skin flap. Materials and Method: From January 2002 to June 2003, four cases of hand and wrist electrical burn were covered using posterior tibial arterial free flap. All the cases were due to high voltage electrical burn. Age ranged from 31 years to 38 years old and all the cases were male patients. Recipient sites were 2 wrist, one thenar area and one knuckle of 2.3rd MP joint. Additional procedures were flexor tenolysis (simultaneous), FPL tenolysis and digital nerve graft (later) and extensor tendon reconstruction (later). Result: All the flap have survived totally without any complication including circulatory concern about the donar foot. Posterior tibail arterial free flap was so thin that debulking procedure was not required. Conclusion: For skin coverage of the hand & wrist region, posterior tibial arterial free flap have many advantages such as reliable anatomy, easy dissection and easy anastmosis with radial or ulnar artery and possibility of sensory flap. The most helpful advantage for hand coverage is its thinness. So we think this flap is one of the very useful armamentarium for reconstructive hand surgery.

  • PDF

마늘 첨가 막걸리의 품질특성 및 항알레르기 효과 (Quality Properties and Anti-allergic Effect of Makgeolli Added with Garlic)

  • 고유진;강상동;강상태;류충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1호
    • /
    • pp.1592-159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기능성 및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마늘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 마늘 생산 농가의 안정적인 소득과 수급조절 및 건강 기능 증진을 위하여 마늘을 이용한 마늘 첨가 막걸리를 개발하고 품질특성 및 항알레르기 효과를 확인하였다. 사용된 마늘의 수분함량은 62.44%, 총당 15.31%, 회분 1.12%, pH 6.4, 총산은 1.03%로 마늘 첨가 막걸리의 총당, 환원당 함량, 총산 및 아미노산도는 다소 높게 나타났고 알코올 함량에 있어서 대조구에 비해 1%정도로 높게 나타났다. 주요 유기산은 lactic, citric, malic, oxalic 및 succinic acid로 나타났으며 이 중 lactic acid 함량이 203.2%로 대조구에 비해 약 16배 정도로 높게 나타났다. 마늘 첨가 막걸리의 total polyphenol 함량, DPPH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 및 total thiosulfate는 대조구 막걸리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이는 마늘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 황 화합물 등에 의해 함량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MTT 분석 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아 마늘 첨가 막걸리의 세포 독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알레르기 유발 및 예방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histamine 유리량을 측정한 결과 마늘 첨가 막걸리와 대조구 막걸리 모두 histamine 유리억제효과를 보였으며 마늘 첨가 막걸리에서 보다 높은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관능검사 결과 색에 대한 기호도는 특유의 색을 유지하여 대조구에 비해 다소 낮게 나타났지만, 맛, 향 및 전체적인 기호도는 대조구 막걸리에 비해 마늘 첨가 막걸리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마늘 첨가 막걸리는 국내 막걸리 시장의 다양성을 증대시키고 우수한 기능성으로 막걸리 시장의 활성화를 이어 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한국의 전통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 저장성 연구 및 향기성분 분석, 제성기술 확립 등 연구가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두류의 Quick Cooking방법 개발과 이것이 제품 품질에 미치는 영향 (Improved Cooking Methods for Dry Beans and their Effects on Quality of Cooked Products)

  • 이영춘;신동빈;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07-313
    • /
    • 1983
  • 건조 두류의 시료로 선정한 대두와 동부의 cooking time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대두와 동부를 몇가지 선정된 soaking 및 cooking 방법으로 처리하여 cooking time을 비교하고, 이런 처리가 제품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Soaking방법중 대두를 3%SBC 용액에, 동부를 $0.5{\sim}1%SBC$ 용액에 침지한 후 $95{\sim}100^{\circ}C$의 물에서 cooking했을 때 cooking time은 각각 40 분과 10분이였다 이는 control에 비하여 80%의 cooking time 단축에 해당한다. 2. 대두의 cooking방법중 $121^{\circ}C$에서 steam cooking 하는 것이 cooking time 단축에 가장 효과적 이었고 (15분), 동부의 cooking시간은 1%SBC 용액에서 6분, $121^{\circ}C$ steam에서 5분이었다. 3. 최적 텍스쳐에 도달한 각 시료의 품질을 평가한 결과 전체적인 선호도에서 $121^{\circ}C$에서 steam cooking 한 젓이 제일 좋았고, 염용액에서 침지한 시료는 control과 대등했으며, 염용액에서 cooking 한 것은 control 보다 좋지 않았다. 4. 위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두류를 단 시간에 cooking할 수 있는 방법으로 대두는 가압 steam cooking $(121^{\circ}C)$ 또는 3%SBC 용액에서 침지하는 것이 효과적 이었으며, 동부의 경우 $0.5{\sim}1%SBC$ 용액에 침지 또는 가압 steam cooking$(121^{\circ}C)$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PDF

큰느타리버섯의 MA저장중 품질변화 (Changes in Quality of King Oyster Mushroom (Pleurotus eryngii) during Modified Atmosphere Storage)

  • 조숙현;이상대;류재산;김낙구;이동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67-373
    • /
    • 2001
  • 큰느타리버섯의 신선도 연장을 위해 PVC wrap과 20$\mu\textrm{m}$ Polyolefin계열의 PD941 필름을 이용하여 밀봉한 후 저장온도 $0^{\circ}C$, 5$^{\circ}C$, 1$0^{\circ}C$에서 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큰느타리버섯은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호흡속도가 빠르며, 중량감소율은 저장온도 $0^{\circ}C$, 5$^{\circ}C$, 1$0^{\circ}C$에서 Polyolefin계열의 PD941 밀봉포장이 PVC wrap 포장보다 중량감소가 훨씬 적었다. 포장내 가스농도중 $O_2$농도는 PVC wrap포장과 Polyolefin계열의 PD941 밀봉포장이 $0^{\circ}C$, 5$^{\circ}C$, 1$0^{\circ}C$에서 1%이하로, $CO_2$농도는 6~10%를 나타내었다. Hardness, Hunter L값, Hunter b값, 관능평가 결과를 고려할 때 Polyolefin계열의PD941 밀봉포장이 PVC wrap 포장에 비해서 우수하였고, 큰느타리버섯의 저장가능기간은 PVC wrap 포장의 경우 $0^{\circ}C$에서 50일, 5$^{\circ}C$에서 28일, 1$0^{\circ}C$ 12일이 가능하고, Polyoefin계열의 PD941 밀봉포장은 $0^{\circ}C$에서 50일, 5$^{\circ}C$에서 32일, 1$0^{\circ}C$에서 21일이 가능하였다.

  • PDF

전통발효식품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항균 활성 및 발효유 스타터 개발 (Antibacterial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traditional fermented foods and development of a starter for fermented milk)

  • 박종혁;문혜정;오전희;이주희;최경민;차정단;이태범;이민정;정후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712-71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수입되는 발효유 starter를 대체하기 위해 전통발효식품으로부터 유산균을 분리 및 동정하여 이를 이용한 유산균주의 발효유 적합성 및 probiotics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전통발효식품 배추김치, 젓갈 및 장류에서 분리해 낸 유산균주는 11종이며, 이 중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우수한 L. plantarum A, Leu. lactis B 및 L. acidophilus C를 선택하여 항균활성 및 발효유제조 적용연구를 실시하였다. 3종의 균종에 대한 항균활성은 병원성 미생물인 Li. monocytogenes NCTC 11994에 대해서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항균활성이 있는 3종의 유산균주를 사용하여 발효유를 제조한 결과 대조구인 ABT 5보다는 미생물학적 및 이화학적 변화가 유의적으로 차이는 났으나 관능검사 결과 색, 향기, 조직감, 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가 대조구 대비 80% 이상으로 단독 균주임을 감안하면 우수한 관능적 특성을 가지고 있고, 추후 관능적 특성을 높이기 위한 복합균주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된다면 발효유 스타터로서의 이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부추 및 미나리 건조 분말 첨가가 국수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Addition of Leek and Dropwort Powder on the Quality of Noodles,)

  • 김창배;이숙희;김미연;윤재탁;조래광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6-41
    • /
    • 2002
  • 향신채소인 부추, 미나리의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이들의 생리활성을 활용한 기능성 가공식품의 개발을 위해 제조한 국수의 제품질을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추 및 미나리는 열풍건조, 블렌칭 처리후 열풍건조, 찜 후 열풍건조 그리고 동결건조로 나누어 각각 건조후 분말화하였다. 건조분말의 품질평가에서 비타민 C, 클로로필함량, 페놀성 화합물 함량이 열풍과 동결건조 처리구에서 높았고 전자공여능도 높게 나타났다. 국수의 조리 후의 특성에 있어 부추와 미나리분말 첨가국수의 경우 국수 중량 및 부피의 증가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율은 작게 나타났다. 조리후 국물의 탁도는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조리후의 절단강도는 부추국수의 경우 열풍, 데침 처리 분말국수가 대조구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고, 미나리국수의 경우, 찜 건조분말 첨가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첨가량을 증가시킬수록 절단강도는 감소되었다. 분말첨가국수의 항산화성을 측정한 결과 모든 구에서 대조구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열풍건조분말 및 동결건조분말 첨가국수의 관능검사를 한 결과 2.5% 첨가구에서는 대조구와의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고, 5% 첨가구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따라서, 부추와 미나리의 첨가로 항산화성이 향상된 기능성 식품의 개발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열처리에 따른 씀바귀 침출차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ea Thermally Processed from Dried Ixeris dentata Root)

  • 이가순;김관후;김현호;김은수;박혜민;오만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24-531
    • /
    • 2008
  • 씀바귀뿌리를 이용하여 침출차를 제조하고자 건조온도 및 처리조건을 달리하여 유리당, 유기산, cynaroside 및 총폴리페놀성물질 함량, 유리아미노산, 색도 및 관능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총유리당, 유기산, 유리아미노산 및 cynaroside 의 함량은 천일건조한 것이 가장 높았으며 총폴리페놀성 함량은 열풍건조 후 볶음 처리한 것이 가장 높았다. 건조한 씀바귀뿌리의 유리당 중 sucrose, glucose, fructose 및 galactose는 열풍건조에 의하여 감소하였고 천일건조 시 검출되지 않았던 maltose가 열풍건조에 정량되었으며 증숙 후 열풍건조 시 1.67%의 높은 함량을 보여주었다. 씀바귀뿌리 내에 함유되어있는 유리아미노산함량 중 arginine이 669.2 mg%으로 가장 높았고 뒤이어 serine이 379.9 mg%으로 높은 함량을 보여주었다. 씀바귀뿌리 건조분말의 색도는 열풍건조 후 볶음처리를 한 것이 밝기, 적색도 및 황색도 모두 가장 높았으나 열수침출 후의 색도는 적색도와 황색도는 타처리구에 비하여 가장 높았지만 밝기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씀바귀뿌리를 이용한 침출차의 관능검사결과 열풍건조 후 볶음처리한 처리구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저온삼투압탈수법으로 제조(製造)한 반염건(半鹽乾)고등어의 저장안정성(貯藏安定性) (The Quality of Salted and Semi-Dried Mackerel Processed by Cold Osmotic Dehydration during Storage)

  • 이정식;주동식;김진수;조순영;이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22-427
    • /
    • 1994
  • 영양생리적 기능이 우수하며, 식품위생적인 면으로도 안전하여 소비자들의 기호에 맞는 반염건고등어를 제조한 다음, 이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 저온저장 중 품질안정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제조직 후 반염건고등어의 수분함량은 $59.4{\sim}62.4%$의 범위였으나 저온저장 중 전제품이 약간씩 감소하였다. 저장 중 생균수는 저장 5일 초기의 경우 탈수방법의 차이에 관계없이 거의 변화가 없거나 약간 감소하였으나 저장 중기 이후에는 계속 증가를 하였고, 그 증가폭에 있어서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Histamine 함량의 경우 전제품 모두 제조직 후 $2.5{\sim}3.6mg/100g$의 범위였고, 저장 15일째에도 $3.6{\sim}4.1mg/100g$을 수준으로 histamine의 식중독 한계선인 100mg/100g에는 훨씬 못미치는 함량이었다. 저장 중 반염건고등어의 과산화물값, 혼합지방산 조성 및 갈변도 변화의 결과로 미루어 탈수시트로 탈수하여 제조한 반염건고등어가 재래식 건조법에 의하여 제조한 반염건고등어보다 저장 중 지질산화가 억제되었다. 저장일수가 경과할수록 염용성질소의 용해도는 감소하였고, 그 감소폭은 탈수시트로 제조한 반염건고등어가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조한 것보다 적었다. 텍스튜어의 경우 제조방법에 관계없이 저장일수가 경과할수록 경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응집력은 거의 변화가 없거나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이등의 값은 탈수시트로 제조한 반염건고등어가 재래식건조법에 의하여 제조한 반염건고등어보다 높았다. 이화학적 검사 및 관능검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탈수시트로 제조한 반염건고등어가 재래식방법으로 제조한 것보다 품질유지기간이 긴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