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ensory method

검색결과 1,253건 처리시간 0.229초

아동감각처리척도(Sensory Processing Scale for Children: SPS-C)의 구성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 (A Study for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ensory Processing Scale for Children (SPS-C))

  • 김경미;신현희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21
    • /
    • 2016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개발된 아동감각처리척도(Sensory Processing Scale for Children: SPS-C)의 구성타당도와 내적일치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2014년 11월부터 2016년 6월까지 감각처리 문제가 있는 만 3~5세 아동 117명을 대상으로 SPS-C 평가를 시행한 자료를 바탕으로 요인 분석과 내적 일치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요인분석 결과, 청각, 시각, 촉각 영역은 각각 높은 요인 부하량으로 묶였으며, 전정감각과 고유수용성감각은 두 영역의 요인 부하량이 중복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내적 일치도 검증 결과 전체 척도의 내적 일치도는 .728이었으며, 각 영역별 내적 일치도는 .323~.636 수준의 신뢰도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SPS-C의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되었으며,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및 표준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가스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식물성 기름의 향미품질의 분석 (Analyses of Flavor Qualities of Vegetable Oils by Gas Chromatography)

  • 윤석후;김종군;민병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355-360
    • /
    • 1985
  • 콩기름, 경화콩기름 및 옥수수기름을 형광하에서 산화시켜. 향미품질을 관능검사및 가스크로마토 그라피(GC)로 분석하였다. 관능검사의 경우, 10점 Hedonic scale을 사용하여 8개의 각기 다른 연구소에서 시행하였는데, 총 평가원의 수는 95명이었다. 관능검사에 의한 기름의 향미 품질값과 GC에 의한 계산된 향미품질 값 사이치 상관계수는 0.10$\sim$0.99사이에 나타났으나. 대부분의 경우 상관계수 0.9이상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총평가원의 관능검사에 의한 향미품질값과 GC에 의한 향미품질값의 상관계수는 콩기름 0.96, 경화콩기름 0.97 및 옥수수기름 0.97이었다 가스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향미품질값의 계산은 2.4-decadienal 이성체의 합계를 근거로 하였다. 이 상관관계 연구는, 식용유의 향미성분에 의한 품질검사가 GC분석, 관능검사및 통계처리가 적합할 경우, 실제 공정에 필요한, 유용한 방법으로 쓰일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 PDF

감각통합치료와 가정프로그램 중재병행이 다운증후군 아동의 시각적 주의력에 미치는 효과: 단일사례연구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y and Home-Based Sensory Integration on Visual Attention in Children with Down Syndrome)

  • 손지원;이혜림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23
    • /
    • 2023
  • 목적 : 감각통합치료와 가정프로그램의 중재병행이 다운증후군 아동의 시각적 주의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다운증후군 아동 1명의 대상으로 개별실험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감각통합치료 중재는 주 1회씩 16주간, 가정프로그램은 주 4회씩 16주간 시행하였다. 대상 아동에게 중재 후 시각적 주의력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 중재 후 물체 주시, 물체 수평적 추시, 물체 수직적 추시 시간은 기초선 기간에 비해 평균값이 상승하였다. 중재 기간에 관찰된 물체 주시, 물체 수평적 추시, 물체 수직적 추시가 기초선 기간의 ±2 표준편차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감각통합치료와 가정프로그램의 중재병행이 다운증후군 아동에게 시각적 주의력과 시지각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효과적인 중재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감각통합기능장애에 대한 집중치료프로그램의 효과 : 사례보고 (Single Case Study: The Positive Impact of the Intensive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for the Sensory Defensiveness)

  • 박지훈;노종수;이향숙;차정진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63-76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감각통합기능장애를 가진 아동을 대상으로 2주간에 걸친 집중치료프로그램을 제공하였을 때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며, 사후 평가를 통하여 감각통합기능의 유지 여부를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단일사례연구로써 2주간 9회기 1회기에 40분씩 치료접근을 실시하고, 가정에서 Sensory diet와 더불어 Wilbarger Protocol을 실시하였다. 초기평가와 1차 재평가 사이의 시간은 15일이며 5개월 후 2차 재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집중치료프로그램 적용 후 아동은 전반적인 감각영역에서 감각방어가 감소되었고, 자기조절(수면, 각성)이 향상되었다. 또한 실행과 시-지각에서도 향상을 보였으며, 정서적 안정과 일상생활에서도 향상을 보였다. 프로그램 적용 5개월 후 감각조절능력, 안정적인 수면은 유지되고 시-지각에서도 지속적인 발달을 보였지만 정서적인 안정은 지속되지 않았다. 결론: 집중치료프로그램이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집중치료프로그램 적용 후 치료적 접근이 없어도 대부분의 감각영역에서 감각조절능력을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성인의 수면의 질 향상을 위한 감각통합중재의 효과: 단일사례 연구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for the Improvement of Sleep Quality in Adults: A Single-Subject Experimental Design)

  • 홍초롱;유은영;박지혁;박혜연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7
    • /
    • 2019
  • 목적 : 본 연구는 감각통합중재가 감각방어가 있는 성인의 수면의 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감각방어가 있는 비숙면군 성인 3명을 대상으로 연구 설계는 단일대상연구(single subject research)중 다중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기초선 기간은 대상자 1은 4회기, 대상자 2는 7회기, 대상자 3은 14회기로 하였고, 중재기간은 총 4주로 주 3회씩 총 12회기 개별 감각통합치료를 제공하였다. 모든 회기에는 총 수면시간, 수면 잠복기, 밤 중 깨기 횟수를 측정하였고 중재 전 후로 수면의 질 변화, 감각방어를 포함한 감각통합능력의 변화와 대상자의 수면 만족도 변화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 감각통합중재 적용 후 총 수면시간, 수면잠복기, 밤 중 깨기 횟수를 시각적으로 분석한 결과 모든 대상자에게서 눈에 띄는 향상은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중재 전 후 평가에서 수면의 질과 대상자가 직접 보고한 수면 만족도가 큰 폭으로 향상되었다. 또한 모든 대상자의 감각통합운동능력은 큰 폭의 향상을 보였다. 그러나 감각처리영역에서 일부 대상자는 눈에 띄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성인에게 감각통합중재를 적용했다는 것과 감각통합치료를 수면장애치료를 위한 새로운 중재방법으로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비만체형을 위한 기본 Bodice 원형연구 -중년기 부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Basic Bodice Pattern for the Fatty Body -The subject of middle-aged women-)

  • 한애미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5-26
    • /
    • 198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pattern drafting method which would be suitable to their physical characteristics for the fatty body of 40∼55 aged Korean women who are more than 1.5 Rohrer's Index and 90㎝ bust girth. The study was composed as follows; 1. Body measurement and statistical analysis: One hundred and thirty women were measured on 29 items. Thirty-four items including 29 measured items and 5 calcutated item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1) Mean, standard deviation, variance, maximum, minimum, range were computed. 2)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each items were computed. 2. Development of new bodice pattern drafting method: Measurement items necessary to draft new bodice pattern were bust girth, center back waist length, shoulder width, back width, chest and neck base girth. The new pattern was examined through three wearing tests for completion. 3. Evaluation of the new pattern drafting method: The new pattern was objectively evaluated by the sensory test. The sensory evaluation was applied to evaluate the new pattern for the fatty body women by comparint it with the conventional patterns. The results of sensory tests of the new pattern are as follows: 1) The composite reliability coefficient is 0.7698, and the reliability of sensory test shows high. 2) According to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result of the 23 items on the questionaire, all the item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α 0.01) between the two, with the new pattern having higher scores. The new pattern is better conventional pattern as the average mark of the former is 3.901 but that of latter is 2.926. The new pattern drafting method proved to be superior to the conventional one especially in the fitness at the center front neck point, shoulder point, side line, armscye depth, position of bust point, chest width line, under arm dart and the shoulder line.

  • PDF

Innervated Cross-Finger Pulp Flap for Reconstruction of the Fingertip

  • Lee, Nae-Ho;Pae, Woo-Sik;Roh, Si-Gyun;Oh, Kwang-Jin;Bae, Chung-Sang;Yang, Kyung-Moo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9권6호
    • /
    • pp.637-642
    • /
    • 2012
  • Background Fingertip injuries involving subtotal or total loss of the digital pulp are common types of hand injuries and require reconstruction that is able to provide stable padding and sensory recovery. There are various techniques used for reconstruction of fingertip injuries, but the most effective method is functionally and aesthetically controversial. Despite some disadvantages, cross-finger pulp flap is a relatively simple procedure without significant complications or requiring special technique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90 patients with fingertip defects who underwent cross-finger pulp flap between September 1998 and March 2010. In 69 cases, neurorrhaphy was performed between the pulp branch from the proper digital nerve and the recipient's sensory nerve for good sensibility of the injured fingertip. In order to evaluate the outcome of our surgical method, we observed two-point discrimination in the early (3 months) and late (12 to 40 months) postoperative periods. Results Most of the cases had cosmetically and functionally acceptable outcomes. The average defect size was $1.7{\times}1.5$ cm. Sensory return began 3 months after flap application. The two-point discrimination was measured at 4.6 mm (range, 3 to 6 mm) in our method and 7.2 mm (range, 4 to 9 mm) in non-innervated cross-finger pulp flaps. Conclusions The innervated cross-finger pulp flap is a safe and reliable procedure for lateral oblique, volar oblique, and transverse fingertip amputations. Our procedure is simple to perform under local anesthesia, and is able to provide both mechanical stability and sensory recovery. We recommend this method for reconstruction of fingertip injuries.

당뇨병 환자에서의 안쪽 발바닥 감각신경의 신경전도검사: 세 가지 다른 방법의 비교 (Medial Plantar Sensory Nerve Conduction Studies in Diabetics: Comparision of Three Different Methods)

  • 권혁환;이동국;석정임;한우호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12권1호
    • /
    • pp.16-20
    • /
    • 2010
  • Background: The medial plantar nerve (MPN) is a distal branch of the posterior tibial nerve, and various methods of nerve conduction study for MPN have been introduced so far. Hemmi et al described a new method (Hemmi's method) for recording medial plantar sensory nerve action potentials (SNAPs), which is considered as a simple and reliable method for measuring medial plantar SNAPs. This study was aimed to establish the normal values for the MPN conduction study among Koreans and to compare the sensitivities of three different methods for MPN conduction study (Hemmi, Oh, and Saeed's method) in detecting evidence of peripheral neuropathy among diabetic patients. Methods: In 27 healthy subjects, MPN conduction study using Hemmi's method was performed and normal values were calculated. In 54 diabetic patients who showed normal routine nerve conduction studies, three different methods for MPN conduction study were performed and diagnostic sensitivity of each method were compared. Results: In normal subjects, the mean medial plantar SNAP amplitude and conduction velocities measured by Hemmi's method were $4.3{\pm}1.0$ uV and $38.3{\pm}6.8$ m/s respectively. Among 54 patients with diabetes who showed normal routine nerve conduction studies, medial plantar SNAP was not obtainable in 28, 31, and 6 patients by Hemmi, Oh and Saeed's method respectively. Conclusions: In terms of the diagnostic sensitivity for detecting diabetic neuropathy, there had been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ree different methods. Our study suggested that MPN conduction study using Hemmi's method is simple and useful screening test for early diabetic neuropathy, and is comparable with Oh's method.

대학생의 감각처리유형과 자존감, 학습능력의 상관관계 연구 (The Correlation of Sensory Processing Type, Self-Esteem and Academic Ability in the College Students)

  • 박초희;김경희;백정은;김진연;오가희;민예지;임가영;천슬기;홍은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33-39
    • /
    • 2012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감각처리유형과 학습 능력, 자존감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0년 10월 3일부터 2011년 4월 1일까지 실시하였고, 연구대상자는 경상남도 C 대학의 작업치료과 학생 총 84명이었다. 설문조사방법을 사용하였고, 설문지 내용은 일반적 사항, 청소년/성인 감각프로파일, 자아존중감 척도, 학점으로 구성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version 15를 사용하여 피어슨 상관분석하였다. 결과 : 감각처리유형의 감각 회피(r=-.25), 감각 민감(r=-.22), 감각 저하(r=-.31)는 자아존중감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감각처리유형 중 감각추구(r=.22)와 학점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아동뿐만 아니라 성인에서도 감각처리능력이 자존감 및 학습능력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나타내어 성인의 감각처리능력을 강조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 PDF

대학생의 기질 및 성격발달에 감각처리가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nsory Processing Patterns on Temperament and Character Traits in Undergraduate Students)

  • 김슬기;강찬미;권진하;김민규;김성현;조유정;김은영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8-47
    • /
    • 2022
  • 목적 : 본 연구는 대학생의 감각처리가 기질과 성격 특성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학생 참가자 107명이 편의표본 추출방법으로 2022년 9월에 모집되어 청소년/성인 감각프로파일(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 AASP)과 기질 및 성격 검사(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TCI)를 작성하였다. 다중회귀모형을 사용하여 기질 척도(자극추구, 위험회피, 사회적 민감성, 인내력) 및 성격 척도(자율성, 연대감, 자기초월)의 각 준거 변인에 대한 감각처리 사분면(저등록, 감각추구, 감각민감, 감각회피) 예언 변인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 감각추구 행동이 빈번할수록 자극추구, 사회적 민감성, 인내력 기질 및 자율성, 자기초월 성격이 높게 나타났고 위험회피 기질은 낮게 나타났다. 저등록 행동이 빈번할수록 위험회피 기질이 높은 반면, 사회적 민감성과 인내력 기질 및 자율성 성격은 낮게 나타났다. 감각민감 행동이 빈번할수록 사회적 민감성 기질이 높았지만 감각회피 행동이 빈번할수록 사회적 민감성 기질이 낮았다. 결론 : 본 연구는 초기 성인기의 감각처리 패턴이 자극추구, 위험회피, 사회적 민감성, 인내력 기질 및 자율성, 자기초월 성격에 영향을 미침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