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sor registry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5초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이용한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 확장 (Extending Sensor Registry System Using Network Coverage Information)

  • 정현준;정동원;이석훈;백두권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4권9호
    • /
    • pp.425-430
    • /
    • 2015
  •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Sensor Registry System, SRS)은 이기종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센서 데이터의 즉각적 활용 및 끊김 없는 해석을 위해 사용자에게 센서 메타데이터를 제공한다. 하지만 기존 SRS는 네트워크 연결이 지원되지 않거나 신호가 불안정한 경우에 센서 메타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없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네트워크 커버리지 정보를 이용한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 확장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예측한 경로와 네트워크 커버리지에 대한 오픈 데이터(통신사, 신호 강도, 통신 타입)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불안정한 네트워크 지역에 도착하기 전에 해당 지역의 센서 메타데이터를 추가로 송신한다. 이 논문에서 제안한 확장된 SRS는 사용자에게 보다 안정적으로 센서 메타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응용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센서 메타데이터 영역화 및 재사용성 기반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 성능 향상 방법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Sensor Registry System based on Sensor Metadata Reusability and Scoping)

  • 정동원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75-82
    • /
    • 2012
  •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은 이기종 센서 네트워크에 독립적으로 센서 데이터 의미를 해석하고 처리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그러나 기존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 구조는 정적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즉, 이용할 데이터 영역을 고려하지 않고 불필요한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전체적인 처리 성능을 저하시킨다. 이 논문에서는 기존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 구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센서 메타데이터 영역화와 재사용성에 기반한 성능 개선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은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센서 메타데이터의 영역을 상황 맞게 결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센서 메타데이터의 재사용성을 지원함으로써 전체적인 성능을 향상시킨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에서는 성능 비교 평가를 통해 제안 모델의 장점을 보인다.

  • PDF

IoT 환경을 위한 센서 레지스트리 데이터 모델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ensor Registry Data Model for IoT Environment)

  • 이석훈;정동원;정현준;백두권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5권5호
    • /
    • pp.221-230
    • /
    • 2016
  •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패러다임이 대두되며 센서의 개체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센서 네트워크 및 센서 플랫폼 기술들이 변화되고 있다. 센서 플랫폼 중 하나인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Sensor Registry System, SRS)은 이기종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센서 데이터의 일관성 있는 의미 해석을 위하여 센서 메타데이터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하지만 기존의 SRS는 IoT 환경에 적합한 데이터 구조를 지니고 있지 않다. 따라서 이 논문은 IoT 환경에서 센서 정보들을 관리하고 등록하기 위하여 센서 레지스트리 데이터 모델을 제안한다. 기존의 SRS를 개선하기 위하여 시맨틱 센서 네트워크 온톨로지(Semantic Sensor Network Ontology, SSNO)을 분석하고, 이에 기반한 메타모델을 설계한다. 또한 설계한 메타모델을 이용하여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로 구축하고 SRS를 웹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한다. 이 논문은 제안하는 센서 레지스트리 데이터 모델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SSNO 및 센서 온톨로지 예제들을 변환하여 제안 모델에 적용한다. 평가 결과 제안 모델이 기존 연구들보다 더 풍부한 의미 표현이 가능함을 보인다.

센서 정보의 안정적인 이용을 위한 경로 예측 기반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 (A Path Prediction-Based Sensor Registry System for Stable Use of Sensor Information)

  • 정동원;두미경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2권2호
    • /
    • pp.255-263
    • /
    • 2015
  •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은 이기종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센서 데이터의 즉시적 활용 및 끊김 없는 해석을 위해 개발되었다. 그러나 기존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은 불안정한 네트워크 상황에서 센서 데이터 해석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며, 이로 인해 센서 데이터의 손실, 처리 결과의 부정확성, 서비스 품질 저하 등의 문제를 야기한다. 이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관점에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여 사전에 센서 정보를 이동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불완전한 네트워크 접속 시점에 안정적으로 센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확장된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을 제안하고 실험 및 평가 결과를 보인다. 이 논문에서 제안한 확장된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은 센서 정보의 안정적 활용성 증가와 더불어 센서 기반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킨다.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을 위한 개선된 센서 필터링 기법 (Improved Sensor Filtering Method for Sensor Registry System)

  • 천하오티엔;정현준;이석훈;온병원;정동원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7-14
    • /
    • 2022
  •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Sensor Registry System, SRS)은 이기종 센서 네트워크에서 의미적 상호운용성 유지를 위해 개발되었다. SRS는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주변 센서와 모바일 기기와의 연결 여부를 확인하며, 연결이 되었을 때 센서의 메타데이터를 제공한다. 성공적으로 연결되는 주위의 센서를 식별하는 과정을 센서 필터링이라고 정의한다. 이러한 센서 필터링의 성능 개선이 SRS 연구의 핵심 주제 중 하나이다. 실제 상황에서, GPS에서 제공된 잘못된 위치 정보로 인해 센서 필터링이 실패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지리적 임베딩과 뉴럴 네트워크 기반 경로 예측을 이용한 새로운 센서 필터링 방법을 제안하고 몬테카를로 접근방법을 통해 서비스 제공률을 평가한다. 실증 연구에서, 제안 방법이 위치 정보 이상 문제를 개선하고 SRS 센서 필터링에 효과적인 모델임을 보였다.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센서 필터링을 위한 LSTM 기반 모델 (LSTM-based Model for Effective Sensor Filtering in Sensor Registry System)

  • 천하오티엔;정현준;이석훈;온병원;정동원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2-14
    • /
    • 2021
  •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은 센서와 디바이스 간 상호운용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센서에 대한 의미적 메타데이터를 제공한다. 하지만 모바일 디바이스의 GPS가 잘못 수신되면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은 잘못된 센서 정보를 받게 되며 센서와 연결할 수 없다는 문제를 지닌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바일 장치와 센서 간의 성공적인 요청확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리적 임베딩 및 LSTM 기반 경로 예측을 기반으로 한 이중 협업 전략을 제안하고 몬테카를로 방법을 이용하여 평가한다.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방법이 위치 이상 문제를 개선하고 효과적인 멀티캐스팅 메카니즘임을 보였다.

  • PDF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 아키텍처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Alternative Sensor Registry System Architectures)

  • 정동원;두미경;박혜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년도 제45차 동계학술발표논문집 20권1호
    • /
    • pp.109-112
    • /
    • 2012
  • 이 논문에서는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을 위한 다양한 아키텍처에 대해 기술한다.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은 이기종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다양한 센서에서 수신한 센서 정보를 모바일 기기에서 직접 해석하여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기존 연구에서 제안한 아키텍처는 모바일 기기가 센서 데이터 및 센서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서버에 반복적으로 요청하여 처리한다. 이러한 아키텍처는 성능 저하를 초래할 수 있으며, 또한 센서 웹 정보를 활용을 고려하지 않은 아키텍처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성능과 센서 웹 정보 활용이 가능한 다양한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 아키텍처를 제안하고, 각각의 특징에 대하여 서술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상황에 따라 적합한 시스템 아키텍처 설계 및 구현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USN응용 서비스를 위한 이벤트 및 서비스 레지스트리 시스템 (Event and Service registry system for USN Application Services)

  • 염성근;김용운;유상근;김형준;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1459-1466
    • /
    • 2009
  • 유비쿼터스(Ubiquitous) 환경에서는 다양한 공간에 RFID, 센서 네트워크 등으로부터 지속적이고, 주기적으로 사용자 및 사물에 관한 다양하고 방대한 양의 센서 데이터 정보가 발생한다. 이러한 센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많은 제공자들 중에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를 찾을 수 있어야 하며, 해당 서비스를 사용 시,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받아야 한다. 그러나 현재의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응용 서비스 환경에서는 이런 일련의 서비스들을 검색할 수 있는 레지스트리가 거의 없으며, 있더라도 비즈니스 위주의 UDDI(Universal desccription discovery, and integration)만이 존재한다. 또한, 서비스를 사용시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지만, 현재의 서비스들은 하나의 조건 또는 이벤트에 따른 서비스만 제공한다. 따라서 여러 조건이나 이벤트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룰 기반의 서비스 이벤트 처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 UDDI를 참고한 센서 서비스 검색을 위한 서비스 레지스트리 시스템 및 WS-ECA(Web Service Event Conditon Action)와 같은 웹서비스(Web Service) 기반의 이벤트 룰을 참고한 USN 응용 서비스를 위한 이벤트처리 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USN 응용을 위한 이벤트 및 서비스 레지스트리 설계 및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Event and Service registry engineering for USN application)

  • 염성근;김용운;유상근;김형준;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B
    • /
    • pp.327-330
    • /
    • 2008
  • 최근 컴퓨터 네트워크 및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유비쿼터스(Ubiquitous) 환경이 구체화되면서 미래의 기술 산업을 주도할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이런 유비쿼터스 서비스의 실현을 위해서는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를 통한 주변 환경의 상황 및 위치인식과 같은 기술이 요구되며 센싱 된 데이터는 가공되어 응용 서비스에 전달되어져야 한다. 또한 USN 센서 데이터는 사용 시 특정 이벤트에 관련된 여러 조건이 표현 가능해야 하며, 이를 위해 이벤트의 등록 및 검색 룰의 생성 규칙이 필요하다. 그리고 수많은 센서 데이터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서비스 제 공자들이 표준화된 레지스트리에 자신의 서비스를 등록하고, 이용자는 서비스 레지스트리를 검색하여 이용 할 수 있어야 한다. 현재 이를 위한 웹 서비스의 표준으로 WS-Eventing과 UDDI가 있지만, USN 응용 서비스를 위한 이벤트 및 레지스트리로서 불필요하거나 부족한 점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WS-ECA를 같은 웹 서비스 기반의 이벤트 룰을 참고한 USN 응용 서비스를 위한 이벤트 정의 표준화와 서비스 레지스트리의 구조와 API의 표준화 연구를 위한 이벤트 및 서비스 레지스트리 기술의 연구를 바탕으로 설계 및 구현을 하였다.

  • PDF

USN 응용 서비스를 위한 이벤트 및 서비스 레지스트리 (Event and Service Registry for USN application services)

  • 염성근;김용운;유상근;김은숙;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A
    • /
    • pp.853-856
    • /
    • 2008
  • 최근 컴퓨터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실현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USN 센서 데이터는 이용 시 특정 이벤트에 관련된 여러 조건이 표현 가능해야 하며, 이를 위해 이벤트의 등록 및 검색 룰의 생성 규칙이 필요하다. 또한 수많은 센서 데이터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서비스 제공자들이 표준화된 레지스트리에 자신의 서비스를 등록하고, 이용자는 서비스 레지스트리를 검색하여 이용 할 수 있어야 한다. 현재 이를 위한 웹 서비스의 표준으로 WS-Eventing과 UDDI가 있지만, USN 응용 서비스를 위한 이벤트 및 레지스트리로서 불필요하거나 부족한 점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USN 응용 서비스를 위한 이벤트 정의 표준화와 서비스 레지스트리의 구조 및 API의 표준에 대해 연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