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ensor registry

Search Result 27,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Sensor Filtering based on Mobile App Profiles for Enhancing the Processing Performance of Sensor Registry System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의 처리 성능 개선을 위한 모바일 앱 프로파일 기반 센서 필터링)

  • Jeong, Dongwon;Yoo, Hyunseok;Lee, Suk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04a
    • /
    • pp.273-276
    • /
    • 2015
  • 논문에서는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의 성능 개성을 위한 센서 필터링 기법을 제안한다.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은 이질적인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즉시적인 센서 데이터의 의미 해석 및 처리를 위한 시스템이다.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은 다양한 장점을 제공하지만 여전히 처리 성능 측면에서 개선이 요구된다. 이 논문에서는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의 불필요한 센서 데이터를 여과하여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모바일 앱 프로파일을 이용한다. 제안 방법은 기존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의 모바일 기기 측에서 센서 필터링 연산을 수행하게 되며 이를 통해 전체적인 성능을 향상시킨다.

An Experimental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SRS Framework (SRS 프레임워크 성능에 대한 실험 평가)

  • Park, Hyemin;Jeong, D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195-198
    • /
    • 2012
  • 이 논문에서는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의 성능 개선을 위한 실험 평가를 기술한다.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Sensor Registry System, SRS)은 이기종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다양한 유형의 센서 정보(Sensor Information)를 의미 처리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기존 연구에서는 반복적인 SRS와 모바일 기기 간 통신이 전체적인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지닌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데이터 범위 및 센서 메타데이터의 재사용을 고려한 모델(IM-1, IM-2, IM-3)을 제안한다. 기존 모델과 달리 메타데이터의 재사용을 한 결과가 더 좋은 성능을 보인다. 이 연구의 결과는 SRS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좀 더 빠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RS Data Model for IoT Environment (IoT 환경을 위한 SRS 데이터 모델의 설계 및 구현)

  • Lee, Sukhoon;Jeong, Dongwon;Jung, Hyunjun;Baik, Doo-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1235-1238
    • /
    • 2015
  •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Sensor Registry System, CRS)은 이기종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센서 데이터의 일관성 있는 의미 해석을 위하여 센서 메타데이터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최근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패러다임이 대두됨에 따라 센서 네트워크의 개념 및 이용 목적 등이 변화되고 있으며, SRS 역시 이를 반영하여 센서와 연관된 데이터 모델의 개선 및 확장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 논문은 IoT 환경에서 기존 SRS를 개선하기 위하여 Semantic Sensor Network Ontology(SSNO) 기반의 SRS 데이터 모델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IoT 환경에서 SRS의 목적 및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SSNO의 개념들 중 필요 요소와 불필요 요소를 반영하여 제안 모델을 설계한다. 또한 생성된 SRS 데이터 모델을 이용하여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SRS를 웹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한다. 제안하는 SRS 데이터 모델은 기존 모델들에 비해 SSNO 온톨로지를 가장 적합하게 표현하므로 풍부한 의미 처리가 가능하다.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상황인지를 위한 컨텍스트 모델

  • Kim Gang-Seok;Heo Ji-Wan;Song Wa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6.06a
    • /
    • pp.159-163
    • /
    • 2006
  • 최근 도메인에 기반한 개념과 이들 개념간의 관계를 설정할 수 있는 온톨로지 기반 컨텍스트 모델들이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새로운 개념의 추가에 따른 온톨로지 재구성은 시간이나 비용적으로 많은 오버헤드를 초래한다. 즉 하위 레벨에 있는 임의의 데이터 구조가 수정될 때마다 계속 적으로 기존 온톨로지를 변경해야만 한다. 따라서 센서 노드의 동적인 컨텍스트 표현보다 미들웨어와 같은 최상위의 추상적이고 정적인 컨텍스트 표현에 적합하다. 한편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베이스 스테이션 기반 상황인지 기법은 상황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저수준 센싱 정보를 베이스 스테이션으로 전송하는데 많은 에너지를 소모한다. 본 논문에서는 센서 노드에서의 동적인 컨텍스트의 표현과 저수준 센싱 정보의 전송량을 줄이기 위해 메타데이터와 RDF 기반 구조의 변형인 Triple 구조를 결합한 컨텍스트 모델은 제안한다.

  • PDF

Experiment and Evaluation of the App Profile-based Sensor Registry System in a Real-time Environment (앱 프로파일 기반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에 대한 실시간 환경에서의 실험 및 평가)

  • Choi, Hojin;Jeong, D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10a
    • /
    • pp.857-860
    • /
    • 2016
  • 이 논문에서는 모바일 앱 프로파일 기반의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을 실시간 환경에서 실험하고 평가한다. 이기종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은 모바일 기기에 센서 메타데이터를 제공하여 센서 데이터 처리의 즉시성을 제공한다. 하지만 불필요한 센서 데이터까지 처리하여 성능 측면에서 개선사항이 요구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앱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한 센서 필터링 기법을 제안한다. 유효한 센서 식별을 위한 센서의 정보를 프로파일 형태로 모바일 기기에 저장 후 사용하여 불필요한 센서 데이터를 필터링함으로써 전체적인 처리 속도가 개선된다. 기존 연구는 시뮬레이션 평가를 통하여 처리 속도의 향상성을 확인한다. 하지만 실시간 환경을 통한 다양한 상황의 실험이 부족하여, 이 논문에서는 기존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과 앱 프로파일 기반의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을 실시간 환경에 맞춰 구축하고 실험 및 평가한다.

A Development of the Sensor Registry System for Semantic Processing of Sensory Data (센서 데이터의 의미 처리를 위한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 개발)

  • Doo, Migyeong;Ha, Su Wook;Jeong, D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99-102
    • /
    • 2010
  •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존재하는 다양한 센서 간 상호운용성 유지를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서로 이질적인 센서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센서 간 상호운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문제들이 해결되어야 하며, 특히 센서 데이터에 대한 의미를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즉 센서가 제공하는 센서 데이터뿐 아니라 센서의 종류와 측정단위, 관리기관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보다 다양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요구된다. 지금까지 센서 데이터의 의미 처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센서 데이터의 의미관리에 대한 높은 구축비용 문제와 동적인 의미 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을 지닌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앞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다 향상된 의미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ISO/IEC 11179 개념을 적용하여 의미 관리 및 처리 연산을 수행하며, 동적인 의미 관리와 낮은 의미 구축비용을 제공한다는 장점을 지닌다.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the Sensor Registry System based on Mobile App Profiles (모바일 앱 프로파일 기반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의 구현 및 평가)

  • Choi, Hojin;Yoo, Hyunseok;Jeong, Dongwon;Jeon, Keun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04a
    • /
    • pp.945-948
    • /
    • 2016
  • 이 논문에서는 기존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의 처리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모바일 앱 프로파일 기반 센서 필터링 기법을 실험하고 평가한다. 이기종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은 센서 메타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센서 정보의 의미 처리를 즉시적으로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불필요한 센서 메타데이터까지 처리하여 전체적인 처리 속도를 저하시킨다. 이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모바일 앱 프로파일 기반 센서 필터링 기법을 제안한다. 모바일 앱 프로파일을 활용하여 센서 데이터의 유효성을 식별 후 모바일 기기에 센서 메타데이터를 기록한다. 기록된 정보를 재사용하여 불필요한 센서 데이터를 필터링 한다. 불필요한 센서 데이터를 처리 하지 않고, 센서 메타 데이터의 요청 횟수를 줄여 전체적인 센서 데이터 처리 속도를 향상 시킨다. 기존 방법과 제안 방법을 구현 하고 실험하여 제안 방법의 전체적인 처리 속도가 향상됨을 확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