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ensor registry

Search Result 27,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n Efficient USR system design and implementation based on the USN (USN을 이용한 효율적인 USR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Jin, Woo-Jeong;Xiao, Huang;Jeong, Dae-Ryeong;Shin, Geuk-Jae;Jung, Hoe-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0.05a
    • /
    • pp.451-453
    • /
    • 2010
  • The world is rapidly evolving in the future society is based on intelligence. In such circumstances,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to implement the future ubiquitous(Ubiquitous) society have been highlighted as a key infrastructure. For realization of Ubiquitous computing(Ubiquitous Computing), The data recognized from each sensors must be collected on real-time and transferred to applied service so that they may be used as data for providing service to users. USN sensor data on the use for using a numerous sensor data provision service, service provider can publish its service in standardized registry for users to search and use the service registry. However, in previous studies using Web services standards WS-Eventing, and UDDI(Universal Description, Discovery, and Integration) as USR(USN Service Registry) for USN Application Service is unnecessary or insufficient. In this paper, data from sensors that provide information to service providers register their services and use the information for service users to explore and views on the registry of the system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 PDF

Performance Evaluation of App Profile-based Sensor Registry System considering User Mobility and Sensor Density (사용자 이동성과 센서 밀집도를 고려한 앱 프로파일 기반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의 성능 평가)

  • Kim, Jong Hyun;Lee, Sukhoon;Jeong, Dongwo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 /
    • v.17 no.4
    • /
    • pp.87-97
    • /
    • 2019
  • SRS was proposed for immediate processing of the meaning of sensor data on mobile devices independent from specific sensor networks and sensor type. However, each time new sensor data is received, sensor data inspection operations are performed repeatedly, and it cause resulting in low performance. App profile-based SRS has been proposed to resolve the problem. The app profile-based SRS has improved the SRS problem through the profile, but has been tested in a virtual simulation environment. After that the test was experimented in a real-time environment, but has not been tested with a variety of dynamic factors. Therefore, this paper experiment considering such as user mobility and sensor density in real-time environment. And this paper also evaluate performance of the App profile-based through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s a result, app profile-based SRS is high influence by density and sensor type, and the number of sensor node is not influence.

Improving the Path Prediction-based Sensor Registry System using Grid (격자를 이용한 경로 예측 기반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 개선방안)

  • Jung, Hyunjun;Lee, Sukhoon;Jeong, Dongwon;Baik, Doo-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10a
    • /
    • pp.829-832
    • /
    • 2016
  • 경로 예측 기반의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Path Prediction-based Sensor Registry System, PP-SRS)는 이기종 환경에서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센서 데이터의 즉각적인 활용과 끊김 없는 해석을 위해 사용자에게 센서 정보를 제공한다. PP-SRS는 사용자의 위치를 경로 단편으로 사상하여 표현한다. 그리고 경로 단편기반으로 사용자의 경로를 예측한다. 그러나 도로 정보에 대한 경로 단편을 미리 구성해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성된 도로 정보를 무시한 경로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PP-SRS를 위한 격자를 이용한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이 논문은 기존의 경로 단편 표현방법과 제안하는 격자 기반 경로 표현방법에 대하여 비교한 후 PP-SRS에 개선 방법에 대하여 서술한다.

Three-Edge Pattern based Path Prediction Algorithm for Sensor Registry System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을 위한 3-간선 패턴 기반 경로 예측 알고리즘)

  • Lee, Sukhoon;Jeong, Dongwon;Jung, Hyunjun;Baik, Doo-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04a
    • /
    • pp.798-801
    • /
    • 2015
  •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SRS, Sensor Registry System)은 이기종 센서 네트워크에서 끊김 없는 의미 처리를 위하여 사용자에게 센서 정보를 제공한다. 불안정한 네트워크 상황에서의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빠른 근거리 사용자 이동 경로 예측 알고리즘(FCR, Fast and Close-Range Prediction) 기반의 SRS가 연구되었다. 이 연구는 경로 예측 기반의 SRS에서 이용되는 FCR 알고리즘이 지니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3-간선 패턴(TEP, Three-Edge Pattern) 기반의 경로 예측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TEP 알고리즘은 경로를 그래프로 표현할 때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이전 간선, 현재 간선, 다음 간선으로 패턴화 하여 학습하고, 이 패턴을 기반으로 하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예측한다. 또한 실험 및 비교 평가에서, TEP 알고리즘이 FCR 알고리즘에 비해 높은 정확성을 지님을 보인다.

Accuracy Evaluation of Path Prediction for Network Coverage-based Sensor Registry System (네트워크 커버리지 기반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의 경로 예측 정확성 평가)

  • Jung, Hyunjun;Jeong, Dongwon;Lee, Sukhoon;Baik, Doo-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1242-1243
    • /
    • 2015
  •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Sensor Registry System, SRS)은 이기종 환경에서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센서 데이터의 즉각적 활용 및 끊김 없는 해석을 위해 사용자에게 센서 메타데이터를 제공한다. SRS에서 센서 메타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송신하기 위하여 경로 예측 기반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하지만 네트워크 연결이 지원되지 않거나 신호가 불안정한 경우에 센서 메타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없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커버리지 기반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기반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과 경로 예측 기반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을 비교평가 한다. 또한 통신사별로 경로예측 정확도를 측정한다. 성능 측정의 통계적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실험 데이터를 10-묶음 교차검증을 수행한다.

Implementation of the Metadata Registry-based Framework for Semantic Interoperability of Application in Ubiquitous Environment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의미 상호운용성을 위한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 기반의 프레임워크 구현)

  • Kim, Jeong-Dong;Jeong, Dong-Won;Kim, Jin-Hyung;Baik, Doo-Kwo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16 no.1
    • /
    • pp.11-19
    • /
    • 2007
  • Under ubiquitous environment, applications can gather and utilize various sensing information. There are many issues such as energy management, protocol standardization, independency on sensor fields, and security to be resolved for the complete ubiquitous computing. Especially, the independent information access in the sensor field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to maximize the usability of sensors in various sensor fields. However, existing frameworks are not suitable for the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because of data heterogeneity between data elements in sensor fields. Existing applications are dependent to sensor fields and sensors in the existing ubiquitous computing on environment is dependent to the application in the sensor field. In other word, an application can utilize just information from a specific sensor field. To overcome this restriction, many issues from a hardware or software view must be resolved. In this paper, we provide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Metadata Registry-based framework (UbiMDR) of the Ubiquitous environment. This framework can provides the semantic interoperability among ubiquitous applications or various sensor fields. In addition, we describe comparison evaluation between conventional Ubiquitous computing framework and UbiMDR framework with data accuracy of interoperability.

  • PDF

A Design of Device Management System for Factories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무선 센서 망을 이용한 공장 내 장치 관리 시스템 설계)

  • Moon, Sung-Nam;Kim, Young-Ha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7 no.3C
    • /
    • pp.233-240
    • /
    • 2012
  • Unlike traditional factory environment, in an industrial factory network applied wireless sensor network technologies, all procedures of discovery, identification and verification of devices should be performed in an automatic fashion. To address these challenges, we design a management system using the device registry server that we propose in this paper. In the phase of device discovery, the proposed system utilizes properties of routing protocol running in factories. Also, in the phase of identification and verification, the system uses unique and general information of a device stored within the device registration server. Such a way allows management system to reduce implementation complexity and to easily manage devices in a factory applied with a wireless network consisting of heterogeneous devices.

Extending Sensor Registry System Using Network Coverage Information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이용한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 확장)

  • Jung, Hyunjun;Jeong, Dongwon;Lee, Sukhoon;Baik, Doo-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04a
    • /
    • pp.323-326
    • /
    • 2015
  •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 (Sensor Registry System, SRS)은 이기종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센서 데이터의 즉각적 활용 및 끊김 없는 해석을 위해 사용자에게 센서 정보를 제공한다. 불안정한 네트워크 상황에서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이동 경로 예측기반 SRS가 연구되었다. 하지만 네트워크가 지원되지 않거나 신호가 약한 지역에서는 여전히 센서 정보의 끊임 없는 제공이 어렵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네트워크 커버리지의 정보를 이용한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 확장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예측한 경로와 네트워크 커버리지에 대한 오픈 데이터(지역 통신사 정보, 통신 대역폭, 신호 강도, 통신 타입)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불안정한 네트워크 지역에 도착하기 전에 해당 지역의 센서 정보를 추가로 송신한다. 기존의 경로 예측기반 SRS의 센서 정보 송신보다 추가 오버헤드가 발생하지만, 사용자는 끊김 없는 센서 정보를 수신하여 이용 센서 응용 서비스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2-Dimensional colloidal micropatterning of cholesteric liquid crystal microcapsules for temperature-responsive color displays

  • Lee, Woo Jin;Kim, Bohyun;Han, Sang Woo;Seo, Minjeong;Choi, Song-Ee;Yang, Hakyeong;Kim, Shin-Hyun;Jeong, Sohee;Kim, Jin Woong
    • Journal of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 /
    • v.68
    • /
    • pp.393-398
    • /
    • 2018
  • This work offers a promising approach for development of a temperature-responsive colorimetric display platform. For this purpose, uniform thermochromic microcapsules consisting of a cholesteric liquid crystal (CLC) core and a thin polyurethane shell layer were fabricated by conducting in-situ condensation polymerization at the interface of monodisperse CLC-in-water emulsion drops. Colloidal packing-driven microcapsule registry led to exact 2-dimensional positioning of CLC microcapsules into a holes-patterned flexible film stencil. Furthermore, we showed that the designated registry of different color types of CLC microcapsules on the stencil enabled development of a microwriting display technology capable of reversible text representation according to temperature change.

Design of Android-based Sensor Registry System for Semantic Processing of Sensor Information (센서 정보의 시맨틱 처리를 위한 Android 기반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 설계)

  • Song, Won-Yong;Doo, Mi-Gyeong;Ha, Su-Wook;Jeong, D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c
    • /
    • pp.58-61
    • /
    • 2010
  •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기종 센서 간 상호 운용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또한 스마트 모바일 기기의 보편화로 유비쿼터스 환경에 적합한 서비스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여 주변 센서에 접근하고 센서 데이터의 의미를 해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면 센서의 활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하지만 무선 센서는 센서 식별자와 센서 데이터만을 공급하기 때문에 센서의 종류와 측정 단위, 센서의 타입, 제조회사, 관리기관, 소유기관 등을 알 수 없을 뿐 아니라 어떤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제공받고 있는지 인식할 수 없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무선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센서 데이터를 사용자 및 관리자가 식별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센서 레지스트리를 설계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