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ior centers

검색결과 302건 처리시간 0.026초

응급실을 이용하는 비응급환자의 실태와 특성 (Characteristics of non-emergent patients at emergency departments)

  • 정설희;윤한덕;나백주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28-146
    • /
    • 2006
  •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roportion and characteristics of non-emergent patients at emergency departments. The observational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tructured form used by emergency medicine specialists or senior residents on June 7-20, 2005. 1,526 patients at ten emergency centers took part in this study. The structural form contained type of insurance, route and means of emergency department (ED) visit, triage based on the Manchester Triage Scale(MTS)-modified criteria, emergency level based on the government defined rule, type of emergency centers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REMC, Local Emergency Medical Center; LEMC, Local Emergency Agency; LEA), as well as patient's general informa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SAS statistical program(V.8.2). Descriptive analysis was performed to describe the magnitude of non-emergent patients. ${\chi}^2-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nonurgent patients' characteristics. In the MTS-modified criteria, we found a 15.3% rate of non-emergent patients. This rate differed from that of non-emergent patients obtained using government's rule. In particular, there were inaccuracies in the definition of government rule on non-emergent patients, so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new government rule regarding classification of non-emergent patie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ate of non-emergent patients according to type of ED, means of ED visit, time to visit, and insurance. Non-emergent patients are more likely to visit a D-type ED(LEA having less than 20,000 patients annually), not to use ambulance, to have 'Automobile Insuranc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or pay out-of-pocket'. Non-emergent patients tend to visit ED due to illness rather than injury. Further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triage scale and reexamination of the government's rule on emergency visits are required for future policy in this area.

인터넷을 이용하는 지역사회 노인의 e-헬스 리터러시 및 주관적 건강상태가 건강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Health Literacy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on Health-seeking Behaviors of Elderly Using the Internet in the Community)

  • 송지현;신수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호
    • /
    • pp.321-332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세대의 e-헬스 리터러시 수준과 주관적인 건강상태 및 건강추구행동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로당과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 중 최근 1개월 이내 1회 이상 인터넷을 이용하는 102명을 편의표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일주일 평균 인터넷 이용 시간은 '3시간 미만'이 54.9%로 가장 많았다. 지역사회 노인의 e-헬스 리터러시(r=.349, p<.001)와 주관적 건강상태(r=.466, p<.001)는 건강추구행동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대상자의 성별(β=.22, p=.012), 질병유형(β=.23, p=.013), 주관적 건강상태(β=.38, p<.001)가 건강추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인터넷을 사용하는 지역사회 노인의 e-헬스 리터러시 및 주관적 건강 수준을 높이고 건강추구행동 향상에 기여하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만 50세 이상 고혈압 성인 대상 영양교육의 효과 평가 (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for Hypertension Patients Aged 50 Years and Over)

  • 문은혜;김경원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2-74
    • /
    • 2011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mplement and evaluate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hypertensive patients aged between 50 and over. Nutrition education consisted of four sessions and, 35 out of 51 patients completed all education sessions at the public health center. To assess program effectiveness (effectively), data about blood pressure, blood cholesterol, anthropometry, nutrition knowledge, eating behavior and dietary intake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nutrition educa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SAS package (ver. 9.2) and significant difference was evaluated by paired t-test, x2-test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Blood cholesterol was significantly reduced from 200.7 mg/dL to 188.7 mg/dL after nutrition education, although there were not significant changes in blood pressure or blood triglyceride level. Weight (p < 0.05), % body fat (p < 0.001), BMI (p < 0.05) were significantly reduced, especially in women, after nutrition education. Nutrition knowledge was increased significantly (p < 0.05), and some eating behaviors such as 'having fruits & vegetables for snack' and 'having brown rice, barley rice than white rice' were improved after nutrition education (p < 0.05). Sodium intake was reduced from 3,888.9 mg/day to 3,157.4 mg/day after nutrition education (p < 0.05). Except protein and iron intakes, the nutrient intake of hypertensive patients was much below the recommended level for Koreans. Dietary intakes of most of nutri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t appeared that nutrition education for the aged hypertensive patients was effective in reducing the percentage of % body fat and BMI, increasing the nutrition knowledge and some dietary behaviors. This nutrition education can be implemented at public health centers or senior centers for hypertensive patients.

당뇨병 노인을 대상으로 한 영양교육의 효과 평가 (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for Diabetes Mellitus Management of Older Adults)

  • 강현주;신은미;김경원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734-745
    • /
    • 2009
  • Diabetes mellitus is the prevalent disease among older ad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lement and evaluate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diabetes mellitus patients aged 60 and over. The one group pretest and posttest design was employed to evaluate the program effectiveness.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diabetes mellitus patients was carried out at the public healthy center in Guri city. The 38 out of 63 patients completed education program. They received four sessions of group education during four weeks. Nutrition education materials (booklet, leaflet) for older adults were provided to participants. Data about blood glucose, blood pressure, nutrition and diabetes mellitus knowledge, dietary behavior, dietary intake by 24-hour recalls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nutrition education to evaluate the program effectiveness. All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AS package (ver.8.2) and significant difference was evaluated by $X^2$-test, paired t-test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Study results showed that blood pressure and blood glucose were slightly decreased after nutrition education but they di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There were positive changes in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 The total score of nutrition and diabetes knowledge increased significantly (p < 0.001), and the total score of dietary behavior was improved (p < 0.05) after nutrition education. Dietary intakes of most of nutrients examine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pre- and post-test. Based on study results, it appears that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the aged diabetes mellitus patients might effectively increase nutrition knowledge, dietary behavior and diet quality. This nutrition education program can be used at the public health centers or senior centers for the management of diabetes mellitus for older adults.

한국 재가노인의 신체활동과 신체활동 자기효능감, 주관적 건강상태, 노화태도, 자아통합감의 관계 (Correlations between Self-efficacy for Physical Activity, Perceived Health Status, Attitudes toward Aging, Ego-integrity and Overall Physical Activity in Community-dwelling Older Koreans)

  • 김세민;임경춘;이주현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18-227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scribe the current level of physical activity (PA)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efficacy for PA, perceived health status (PHS), attitudes toward aging, ego-integrity and PA in community-dwelling older Koreans. Methods: A total of 164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community centers, churches, and senior welfare centers in Korea. With questionnaires, a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e 3rd to 22th, 2016.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SPSS/WIN 22.0 program. Results: The mean amount of total PA was 5,295.33±6,272.38 MET/min/week. The number of subjects engaged in vigorous, moderate, and low-intensity activities were 87 (53.0%), 45 (27.4%), and 32 (19.5%), respectively. Overall, physical activiti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spouse (t=-2.79, p=.006) and the presence of housemate (t=2.03, p=.044). The mean scores of self-efficacy for PA, PHS, attitudes towards aging, and ego-integrity were 17.16±4.45, 9.00±2.41, 68.12±9.28 and 51.62±7.59,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overall PA and self-efficacy for PA (r=.34, p<.001), PHS (r=.23, p=.003), attitudes towards aging (r=.26, p=.001). Conclusion: Specific programs to promote physical activities in addition to continuous education for improving self-efficacy for PA, PHS, and attitudes towards aging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re needed.

노인의 결혼만족도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노년기 우울을 매개로 하여 (The Influence of Marital Satisfaction on the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 김신열;장영은;서효정
    • 한국노년학
    • /
    • 제31권2호
    • /
    • pp.305-319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만족 정도가 우울을 매개로 하여 노인의 자살생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기 위한 이론적 모형을 제안하는데 있다. 분석을 위해 전라북도에 소재한 노인시설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 194명을 대상으로 1:1면접방식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은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결혼만족도는 자살생각에 직·간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결혼만족도는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과 자살생각도 유의미한 영향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실천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노인생활체육 진흥을 위한 운동재활분야 활성화 방안 (An Exercise Rehabilitation Field Revitalization Plan for Promoting Elderly Sport for All)

  • 조경환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305-319
    • /
    • 2020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와 고령사회를 맞아 노인생활체육 진흥을 위해 운동재활분야의 현주소를 파악하여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문헌연구방법을 통해 노인생활체육 활동 및 관련 운동재활분야의 실태를 분석하고 노인보건복지와 노인생활체육 사업의 분석, 그리고 노인생활체육 진흥을 위한 운동재활분야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노인들의 생활체육 참여 유인 홍보 시 운동재활의 필요성과 중요성의 인식과 홍보를 강화해야 한다. 둘째, 노인여가복지시설 등에 노인스포츠지도사를 의무적으로 배치하여 사회복지사와의 협업으로 효율적인 노인건강지도 관리에 전문성을 강화시켜야 한다. 셋째, 대학의 생활체육학과, 노인체육복지학과 및 실버복지스포츠학부 등 교육과정에 운동재활 및 유사과목을 이수하도록 하며, 노인여가복지시설 등의 자원봉사활동 과목도 이수하도로 하여 진로선택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넷째, 문화체육관광부와 보건복지부와의 협업을 통해 노인복지관, 경로당, 노인교실 등 특성화된 운동재활프로그램의 개발과 함께 운동종목 능력과 운동재활능력을 겸비한 전문가를 순회강사로 활용하여 정부의 일자리 창출 정책에 이바지해야 한다. 다섯째, 노인생활체육에 필요한 연구개발에 투자를 확대한다. 여섯째, 노인대상의 혼자서 할 수 있는 다양한 운동재활치료 동영상과 지침서를 개발하여 배포한다. 이는 다섯 번째와 연계된 내용이며, 특히, 코로나19 관련 긴급히 대비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일곱째, 문화체육관광부와 보건복지부의 조정된 노인체육진흥 기구신설을 통해 이중적 업무에 따른 비효율성과 예산낭비를 줄여야 하며, 기구신설의 기능을 확대하여 은퇴 후 건강관리, 운동재활, 안전사고 예방, 바이러스 등 교육부분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노인의 생활 만족도 영향 요인: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Correlates of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모진아;이경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517-526
    • /
    • 2018
  •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해외 학술지에 게재된 복지관 이용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체계적 문헌 고찰 및 메타분석을 통해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증진하기 위한 한국형 노인 생활만족도 도구 개발 및 복지관 운영 및 정책 개발 시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에 사용된 문헌은 2017년 11월 1일까지 게제 된 국외 논문을 Medline complete, Pubmed central, Scopus를 통해 검색하였다. 검색 용어는 "Elderly. OR aged/) AND Personal Satisfaction/ or life satisfaction. mp"를 사용하였고, 검색된 595편의 초록을 통해 최종 6편의 연구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각 연구의 내용을 정성적으로 분석한 후 3편 이상의 정량값이 있는 요인들은 메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노인 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신체적 건강(통합효과크기 0.582, p=.000), 정신적 건강(통합효과크기 0.423, p=.000), 경제적인 문제(r=.51, p=.001), 사회활동, 일상생활정도가 영향요인을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노인의 생활 만족도의 폭넓은 이해뿐만 아니라 초고령화 사회를 대비한 고령자 취업의 사회적인 함의 및 체계적인 건강관리를 통해 생활만족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베하스(BeHaS) 프로그램이 경로당 여성 노인의 신체적 요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예비연구 (Effects of the BeHaS Program on Physical Factors and Self-esteem of Elderly Women in a Senior Center: A Pilot Study)

  • 김종임;김지영;박은옥;박주아;이리나;박금옥;최영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373-38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경로당 여성 노인의 신체적 요인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베하스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을 한 개 이상 가진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베하스 프로그램을 8주간, 주 1회, 1일 1.5시간씩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8주 간격으로 총 3회 측정을 하였으며 신체적 요인은 3회(Pretest1, Pretest2, posttest), 자아존중감은 2회(Pretest2, posttest) 하였다. 신체적 요인은 Repeated Measured ANOVA, 자아존중감은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대상자의 복부둘레, 당화혈색소, 총콜레스테롤,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자아존중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베하스 프로그램이 비만 및 혈당 관리, 콜레스테롤 감소,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사증후군이 있는 지역사회 주민의 건강향상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국내 생활터 중심의 건강증진사업: 건강도시를 중심으로 (The Setting Approaches in Health Promotion Projects)

  • 김건엽;김현지;윤창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813-820
    • /
    • 2011
  • 본 연구는 건강도시 지자체를 대상으로 국내 생활터 중심의 건강증진사업 사례들을 살펴봄으로써 국내 건강증진사업의 성공적인 확산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2008년부터 2010년까지 국내 건강도시에서 실시한 생활터 중심 건강증진사업 자료, 건강도시 현황자료, 보고서, 논문, 워크숍 및 심포지엄 자료집 등 관련 이차자료를 수집하고 전문가 회의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2008년 수행한 건강도시 총 사업 중 건강한 생활터 사업은 27개 사업(14.7%), 2009년의 경우에는 42개(21.8%)였다. 생활터 종류를 살펴보면 2008년에는 마을과 학교가 각각 6개(22.2%)로 가장 많았다. 2009년에는 학교 12개(28.6%), 아파트 8개(19.0%), 마을 6개(14.3%), 어린이집 5개(11.9%), 직장 및 경로당이 각각 4개(9.5%), 시장 3개(7.1%)의 순이었다. 대도시 지역의 경우 학교, 아파트를 중심으로 생활터 접근을 하고 있고, 농촌 지역의 경우 마을이나 경로당을 중심으로 생활터 접근을 하고 있다. 국내 생활터 중심의 건강증진사업 사례를 건강증진학교, 건강한 작업장, 건강마을과 건강한 아파트, 건강증진병원, 건강한 시장, 건강경로당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생활터 중심의 건강증진사업을 지속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생활터'와 '건강증진'에 대한 인식을 바꾸고 이를 위해 생활터가 건강한 도시(지역사회)를 만들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