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etting Approaches in Health Promotion Projects

국내 생활터 중심의 건강증진사업: 건강도시를 중심으로

  • Kim, Keon-Yeop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School of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Hyun-Jee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School of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Youn, Chang-Ho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김건엽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김현지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윤창호 (경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가정의학교실)
  • Received : 2011.01.24
  • Accepted : 2011.02.10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setting approach of health promotion in Healthy city projects. We used the secondary data of 2008-2010 Healthy city projects, reports, papers, workshops and symposia and had professional meetings to obtain the implications. Setting approach of health promotion in Healthy city projects conducted 27 (14.7%) in 2008 and 42 (21.8%) in 2009. Looking at the type of setting approach, villages and schools, respectively, was the highest (six, 22.2%) in 2008. In 2009, the school was 12 (28.6%), apartment 8 (19.0%), village 6 (14.3%), day nursery 5 (11.9%), workplace and senior center 4, respectively (9.5%), market 3 (7.1%). School and apartment are the most common setting approach in the metropolitan area, but senior center and village are most common in the rural areas. The good examples of health promoting schools, healthy workplaces, healthy villages, healthy apartments, health promoting hospitals, healthy markets, healthy senior centers were examined. To sustain and success the setting approach in health promotion, persons in settings must know the exact meaning of 'setting' and 'health promotion' and the efforts that setting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healthy cities (communities) will be required.

본 연구는 건강도시 지자체를 대상으로 국내 생활터 중심의 건강증진사업 사례들을 살펴봄으로써 국내 건강증진사업의 성공적인 확산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2008년부터 2010년까지 국내 건강도시에서 실시한 생활터 중심 건강증진사업 자료, 건강도시 현황자료, 보고서, 논문, 워크숍 및 심포지엄 자료집 등 관련 이차자료를 수집하고 전문가 회의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2008년 수행한 건강도시 총 사업 중 건강한 생활터 사업은 27개 사업(14.7%), 2009년의 경우에는 42개(21.8%)였다. 생활터 종류를 살펴보면 2008년에는 마을과 학교가 각각 6개(22.2%)로 가장 많았다. 2009년에는 학교 12개(28.6%), 아파트 8개(19.0%), 마을 6개(14.3%), 어린이집 5개(11.9%), 직장 및 경로당이 각각 4개(9.5%), 시장 3개(7.1%)의 순이었다. 대도시 지역의 경우 학교, 아파트를 중심으로 생활터 접근을 하고 있고, 농촌 지역의 경우 마을이나 경로당을 중심으로 생활터 접근을 하고 있다. 국내 생활터 중심의 건강증진사업 사례를 건강증진학교, 건강한 작업장, 건강마을과 건강한 아파트, 건강증진병원, 건강한 시장, 건강경로당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생활터 중심의 건강증진사업을 지속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생활터'와 '건강증진'에 대한 인식을 바꾸고 이를 위해 생활터가 건강한 도시(지역사회)를 만들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배상수 등, "지역특화 건강행태개선사업 발전방향", 건강증진사업지원단연구보고서, 2008.
  2.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 총괄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2009.
  3. WHO, "Ottawa charter for health promotion", 1986.
  4. M. Dooris, "Healthy settings: challenges to generating evidence of effectiveness",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21, pp. 55-65, 2006. https://doi.org/10.1093/heapro/dai030
  5. M. Dooris, "Healthy settings: future directions", Promotion & Education, XIII(1), pp. 4-6, 2006.
  6. L. Leger, "Health promoting settings: from Ottawa to Jakarta",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12, pp. 99-101, 1997. https://doi.org/10.1093/heapro/12.2.99
  7. C. Parsons, D. Stears. "Evaluating Health Promoting Schools: Steps to Success", Health Education, 102, pp. 7-15, 2002. https://doi.org/10.1108/09654280210412358
  8. D. Whitehead, "The European Health Promoting Hospitals (HPH) project: How far on?",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19, pp 259, 2004.
  9. S. Doherty, M. Dooris, "The healthy settings approach: the growing interest within colleges and universities", Education and Health, 24, pp. 42-43, 2006.
  10. WHO, "Healthy Marketplaces in the Western Pacific: Guiding Future Action - Applying a Settings Approach to the Promotion of Health in Marketplaces", 2004.
  11. A Gatherer, L. Moller, P. Hayton, "WHO European Health in Prisons Project after ten years: persistent barriers and achievement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5, pp. 1696-1700, 2005. https://doi.org/10.2105/AJPH.2003.057323
  12. C Chu, "Health promoting workplaces - international settings development",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15, pp. 155-167, 2000. https://doi.org/10.1093/heapro/15.2.155
  13. 남은우, "건강도시사업 추진과 정책 과제",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24권, 제2호, pp. 123-134, 2007.
  14. 정길호, 김건엽, 나백주, "국내 건강도시 프로젝트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건강도시 관련 특성 조사", 농촌의학지역보건, 제34권, 제2호, pp. 155-167, 2009. https://doi.org/10.5393/JAMCH.2009.34.2.155
  15. 안동현 등, "여러 생활터를 통합하는 건강증진 전략 및 사업 개발 - 지역사회 및 학교를 중심으로", 건강증진사업지원단연구보고서, 2009.
  16. 이강숙 등, "여러 생활터를 통합하는 건강증진 전략 및 사업 개발 - 지역사회 및 직장(사업장)을 중심으로", 건강증진사업지원단연구보고서, 2009.
  17. 서울의료원, "국내외 건강증진병원 현황 및 전망", 2010.
  18. 이성란, "일부 병원 직원들의 건강증진 실천과 관련 된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1권, 제6호, pp. 2185-2189, 2010. https://doi.org/10.5762/KAIS.2010.11.6.2185
  19. 김남이, 심문숙, "종합병원 근로자의 건강증진생활양식 실천 및 관련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0권, 제4호, pp. 728-735, 2009. https://doi.org/10.5762/KAIS.2009.10.4.728
  20. 보건복지부․건강증진사업지원단, "2008년도 대한민국 건강도시 현황", 2009
  21. 보건복지부․건강증진사업지원단, "2009년도 대한민국 건강도시 현황", 2010.
  22. WHO, "Regional guidelines; Development of health-promoting schools - a framework for action", 1996.
  23. 성동구보건소, "성동구 건강도시 계획서", 2009
  24. J. Burton, "WHO Healthy workplace framework and model: background and supporting literature and practice", 2010.
  25. 도봉구 보건소, "건강한 직장만들기 결과보고서", 2005.
  26. 김건엽 등, "구미시 건강도시 프로젝트 학술용역 보고서", 2010.
  27. WHO, "Healthy Villages; A guide for communities and community health workers", 2002.
  28. 부산광역시. "건강한 마을만들기 사업 설명회", 2010
  29. 김건엽 등, "건강도시 성북구 주민참여형 건강마을 만들기 기초조사 및 확산모델 개발 연구", 2008.
  30. 대한민국건강도시협의회, "2009 대한민국건강도시 사례집", 2009.
  31. 지역보건연구회역, "건강증진 -이론과 실제-", 계축 문화사, 2001.
  32. 서울특별시, "2009 서울시 건강도시 안전도시 사례", 2009.
  33. 대한민국건강도시협의회, "제4회 대한민국건강도시협의회 정기총회", 2010.
  34. J. Naidoo, J. Wills, "Health Promotion:Foundations for Practice", Elsevier, 2009.
  35. AFHC & WPRO, "Your Map to a Healthy city-For a world full of life", 2004.
  36. 보건복지가족부․건강증진사업지원단, "2009 지역특화 건강행태 개선사업 요약집",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