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midiurnal tide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2초

동지나해 어장의 회전 조류에 관하여 (A Study on the Rotary Tidal Current in the East China Sea)

  • 김진건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2권2호
    • /
    • pp.1-6
    • /
    • 1986
  • Even though it is well known that the tidal current in the East China Sea rotates clockwise, few report can be found about the precise pattern of it. To furnish some information available for the stow net fishermen, the author carried out the observation over 235 semidiurnal tidal cycle to investigate the pattern of the set and the rate of tidal current in the Korean fishing section 250 and 494, by reading the current meter and by tracing the corner reflectors with radar onboard the anchored obsen'ation vessel, from May 12, 1984 through February 27, 1986.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mean semidiurnal tidal cycle was 12 h 20 m during spring tide, and 12 h 30 m during neap tide. 2. The mean interval from the calculated time of high water until the current began to set north was 2 h 30 m and 2 h 15 m in the fishing section 250 and 494 respectively, and the mean interval from the time of low water current began to set south was about 2 h 0 m in both sections. 3. In comparison of the occupied times to vary the set from one of 8 principal bearing points to the neighboring one, the shortest was while the set varied from N to NE and S to SW in the section 250 and 494 respectively. Contrary the longest was while the set varied from SE to S and from W to NW in the section 250 and 494 respectively. 4. In comparison of the rate while the set varied from one of 8 principal bearing points to the neighboring one, the fastest was while the set varied from SE to Sand NW to N in the section 250, and E to SE and W to NW in the section 494. Contrary the slowest was while the current set to NE and S W in the section 250, and N, NE and S W in the section 494.

  • PDF

1994년 7-8월 가막만의 조석 및 해류 (Tides and Currents of Kamag Bay in July-August 1994)

  • 이재철;추효상;이규형;조규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24-634
    • /
    • 1995
  • 가막만의 해수유동 변동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1994년 7월 21일부터 8월 8일까지 가막만 남쪽 입구의 송도 부근, 북쪽 입구의 여수, 그리고 만 중앙부의 평사 부근의 3개 지점에 유속계를 계류하였고, 송도 선착장과 여수항 부근의 2개 지점에 조위계를 설치하여 10분 간격으로 연속관측하였다. 가막만의 양쪽 수로에 도달하는 조석파의 위상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기를 남쪽과 북쪽의 입구에 설치하였으며 이들 입구를 통해서 유입, 유출되는 조류가 만 내부의 해수순환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내만의 평사 부근에 유속계를 추가로 설치하였다. 최대조차는 여수와 송도에서 각각 357, 352cm 였다. M2, S2, Kl, O1 분조의 진폭은 여수에서는 각각 95.5, 48.8, 20.5, 14.0cm 였고 송도에서는 각각 93.6, 47.2, 21.3, 13.1cm 로서 조석의 형태수는 공통적으로 0.25 미만으로 반일주조가 지배적이었다. 양쪽 입구를 통해서 들어오는 주요분조의 위상차는 거의 없었다. 천해조 성분은 양쪽 모두 전체 진폭의 $4\%$ 이하로서 마찰효과 및 비선형효과는 매우 작았다. 조류의 최대유속은 송도부근에서 약 100m/sec, 내만의 평사에서 약 40cm/sec 였으며 M2분조의 유속은 각각 47.2, 14.8cm/sec 였다. 송도부근에서 조류성분은 주로 북서-남동 방향이고 반시계 방향의 회전성을 가지고 있으며 항류 성분은 남서 방향으로 17cm/sec 였다. 반면에 내만에서는 북동-남서 방향의 조류성분이 지배적이고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항류는 남동방향이고 0.9cm/sec 로 매우 약하지만 시간적으로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가막만의 동부 내만과 송도 부근에서는 남쪽방향으로의 항류성분이 존재하는데 그 원인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보다 충분한 관측을 통한 해수순환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 PDF

Wavelet Transform을 이용한 감조하천 수위자료의 유출성분 추출 (Extraction of Runoff Component from Stage in Tidal River Using Wavelet Transform)

  • 오창열;이진원;정성원;박성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0권10호
    • /
    • pp.793-800
    • /
    • 2007
  • 본 연구는 조석의 영향을 받는 하동2 지점의 수위자료로부터 시간과 주파수 영역에서 유연한 분해능을 갖는 웨이블렛 변환을 적용하여 강우에 의한 유출성분과 조석에 의한 조위성분을 추출하였다. 최종파형 분해단계의 근사성분은 가장 큰 에너지 값은 87.77%를 나타내었으며, 상세성분 중 반일주조형의 주기성(약 12시간)을 갖는 D3의 에너지 값은 10.70%로 나타났다. 또한 D3의 왜도 및 첨도 값은 여수 조위자료와 유사함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하동2 지점의 수위자료에 대하여 최종 분해된 최종파형 분해단계의 근사성분(A6)과 D6, D5 상세성분은 유출성분이며, 상세성분 D4, D3, D2는 조석의 영향으로 수위가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는 조위성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치모형을 통한 함평만과 해제반도 주변해역의 조류 및 조석잔차류 분포 (Tidal and tide-induced residual currents around Hampyung Bay and Hajae Peninsula by numerical simulation)

  • 추효상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6권2호
    • /
    • pp.114-125
    • /
    • 2020
  •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s around Hampyung Bay and Haeje Peninsula, 2D numerical simulations for tidal currents and tide-induced residual currents were carried out. Dominant semidiurnal tidal currents have reversing form and flow NNE-SSW from northern Haeje Peninsula to Songi Island, E-S at northern Haeje Peninsula and NNW-SSE in Hampyung Bay. In flood, a part of currents from Imja Island~Nakwhol Island flow along the main stream flowing northeast at offshore region and the rest flow into Hampyung Bay flowing east along the northern coast of Haeje Peninsula. In ebb, currents from Hampyung Bay flow west along the northern coast of Haeje Peninsula and run together with the main stream flowing southeast at offshore region. The currents create an anticyclonic circulation in flood and a cyclonic circulation in ebb around Haeje Peninsula including Hampyung Bay. Tidal currents are accumulated on Doripo which located at the entrance of Hampyung Bay and show high current velocities. Tidal currents and tide induced residual currents are weak at the inside of Hampyung Bay which has narrow entrance, shallow water depth and wide intertidal zone. An anticyclonic eddy is formed around Gaksi Island as a result of tide induced residual currents. In northern coast of Haeje Peninsula, slow constant currents flow east. It is expected that a gradual change of sediment and an increase of flushing time for suspended materials are carried by tidal currents occurring in Hampyung Bay.

이산형 웨이블릿 변환을 통한 조위 자료 내 파고 성분 분리 (Decomposition of Wave Components in Sea Level Data using Discrete Wavelet Transform)

  • 유영훈;이명진;이태우;김수전;김형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65-37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울산광역시 태화강 유역의 연안 지역을 대상으로 이산형 웨이블릿 변환을 이용하여 연안 지역의 파고의 영향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Daubechies 7의 기저함수 및 Curve Fitting 함수를 이용하여 조위 자료를 분리한 결과 세분화 성분 내 반일주조성분(d3), 일주조성분(d4)의 단주기 성분 및 최종 분해된 근사 성분(a6)에서는 1년 주기의 장주기 성분을 확인하였다. 6단계로 분해된 조위 자료는 자기상관분석 및 푸리에 변환을 통해 주기성을 가지는 조석 성분과 비주기성을 가지는 파고성분으로 구분하였다. 최종적으로 조위 자료 내 조석 성분은 66% 및 파고 성분은 34%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한다면, 파고의 영향을 고려한 연안 지역 홍수 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금강 하구에서의 최대혼탁수 형성 및 변화에 대한 연구 (Formation and Evolution of Turbidity Maximum in thd Keum Estuary, West Coast of Korea)

  • 이창복;김태인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05-118
    • /
    • 1987
  • 금강 하구의 에스추어리 환경에서 6차에 걸친 야외조사 및 정선관측이 행해졌 다. 각 조사시기는 모두 다른 조차와 하천배수량의 조건을 보여 주는 기간이었다. 이 연구의 결과로서 금강하구에서의 세립질 퇴적물 퇴적작용에 최대 혼탁수의 형성 과 그 변화가 미치는 영향이 지대함이 나타났다. 금강 에스추어리의 최대혼탁수는 일차적으로 입구에서의 조차가 클 때는 나타나는 현상이며, 바닥 퇴적물의 재부유 에 의해 형성되어 진다. 이 환경에서는 최대 혼탁수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지지 않고, 반일, 반월 및 계절주기의 변화를 나타낸다. 반일 조석주기 동안에는 조류 유 속의 변화로 말미암 아세립질 퇴적물의 퇴적과 재부유가 반복되어 진다. 한편, 최대 혼탁수의 중심은 창조류와 낙조류가 반복되는 것에 상응하여 상-하류 이동을 반복 한다. 채대 혼탁수는 대조기-소조기의 변화에 따른 15주기의 변화를 나타낸다. 이렇 게 하여, 최대 혼탁수는 소조기 동안에 쇠퇴하고 대조기 동안에 확장된다. 하천 배 수량의 계절변화도 또한 최대 혼탁수의 생성과 소멸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우기 에 하천배수량이 증가하게 되면 조류가 낙조류 우세를 나타내고, 부유퇴적물들은 쉽게 외해로 유출되어 에스추어리 내에서의 체류시간이 감소되어 진다. 따라서, 이 와 같은 많은 하천배수량의 시기에는, 최대 혼탁수의 발단은 오직 대조기 동안으로 만 국한되어 지며, 조차가 감소함에 따라 최대 혼탁수는 소멸한다.

  • PDF

南東 아시아 海域의 潮汐 數値 模型 (A Numerical Tidal Model for the Southeast Asian Seas)

  • Byung Ho Choi;Duk Gu Kim;Dong Hoon Kim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63-73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기조역항이 포함된 1/12$^{\circ}$x1/12$^{\circ}$의 해상도를 갖는 2차원 조석모형을 사용하여, 동남아시아 전역에 대한 4개의 반일주조(M$_2$, S$_2$, $K_2$, $N_2$)와 4개의 일주조(K$_1$, $O_2$, P$_1$, Q$_1$)의 분포를 산정하였다. 산정 결과들은 관측 자료들과의 비교되었으며 기존의 Schwiderski의 조석도및 기존의 일부 해역만을 포함하는 조석도와 비교 검토되었다

  • PDF

낙동포의 조석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idal Characteristics of the Nakdongpo Estuary)

  • 전승환;전홍선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47-63
    • /
    • 1983
  • In this paper, we have investigated the tidal characteristics of the Nakdongpo estuary. We have carried out the analysis of harmonic constant with the use of the recorded data on tidal level at the Gadeong Do tide station and analyzed the flow velocity data obtained by ourselves at two points in the Nakdongpo estuary. In addition, we have analyzed the variation of the mean-sea level. Typical items of the characteristics we have found are; (1) The principal harmonic constants and non-harmonic constants are shown in table 2. (2) Tide in this area shows the semidiurnal inequality. (3) The mean-sea level is shown to be depressed at the rate of about 1cm to the rise of 1 mbar of the atmospheric pressure. (4) (i) At $K_2$ point, The E-W component of the velocty reveals the nature of progressive waves. The N-S component reveals the nature of stationary waves. (ii) At $K_3$ point, The E-W componen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progressive waves to some degree. The N-S component shows a weak hint of stationary waves. (5) At $K_2$ point, S-component is predominant due to the flow of river. At $K_3$ point, E-component is predominant due to the Tsushima current.

  • PDF

Modeling of the Formation of Long Grooves in the Seabed by Grounded Ice Keels

  • Marchenko, Aleksey
    • Journal of Ship and Ocean Technology
    • /
    • 제7권4호
    • /
    • pp.1-15
    • /
    • 2003
  • The motion of passively floating body, whose keel can have a contact with seabed soil, is under the consideration. The body simulates ice ridge floating in shallow water. The force of seabed soil reaction applied to the grounded keel is estimated taking into account soil embankment near the grounded keel. Two-dimensional trajectories of body motion, the shape of the grooves in seabed and the height of soil embankment are calculated when the motion of the body is caused by semidiurnal $M_2$ tide. The influence of wave amplitude and bottom slope on the shapes of body trajectory and the grooves are analyzed.

Seasonal and local time variations of sporadic E layer over South Korea

  • Jo, Eunbyeol;Kim, Yong Ha;Moon, Suin;Kwak, Young-Sil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36권2호
    • /
    • pp.61-68
    • /
    • 2019
  • We have investigated the variations of sporadic E (Es) layer using the measurements of digisondes at Icheon ($37.14^{\circ}N$, $127.54^{\circ}E$, IC) and Jeju ($33.4^{\circ}N$, $126.30^{\circ}E$, JJ) in 2011-2018. The Es occurrence rate and its critical frequency (foEs) have peak values in summer at both IC and JJ in consistent with their known seasonal variations at mid-latitudes. The virtual height of the Es layer (h'Es) during equinox months is greater than that in other months. It may be related to the similar variation of meteor peak heights. The h'Es shows the semidiurnal variations with two peaks at early in the morning and late in the afternoon during equinoxes and summer. However, the semi-diurnal variation is not obvious in winter. The semi-diurnal variation is generally thought to be caused by the semi-diurnal tidal variation in the neutral wind shear, whose measurements, however, are rare and not available in the region of interest. To investigate the formation mechanism of Es, we have derived the vertical ion drift velocity using the Horizontal Wind Model (HWM) 14, International Geomagnetic Reference Field, and Naval Research Laboratory Mass Spectrometer and Incoherent Scatter Radar-00 models. Our results show that h'Es preferentially occur at the altitudes where the direction of the vertical ion velocity changes. This result indicates the significant role of ion convergence in the creation of 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