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des and Currents of Kamag Bay in July-August 1994

1994년 7-8월 가막만의 조석 및 해류

  • LEE Jae Chul (Department of Oceanograph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CHOO Hyo Sang (Department of Oceanograph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Yosu) ;
  • LEE Kyu Hyong (Department of Oceanograph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Yosu) ;
  • CHO Kyu Dae (Department of Oceanograph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이재철 (부산수산대학교 해양학과) ;
  • 추효상 (여수수산대학교 해양학과) ;
  • 이규형 (여수수산대학교 해양학과) ;
  • 조규대 (부산수산대학교 해양학과)
  • Published : 1995.09.01

Abstract

Tides at both of northern and southern entrances of Kamag Bay were compared by deploying tide gauges for 18 days during July-August 1994. To examine the response of the inner bay to the tidal waves through both entrances, a current meter was moored at the eastern pan of the inner bay. Current meter mooring failed at the northern entrance (Yosu) while the current data was collected for only 5 days at the southern site (Songdo). Maximum range was 357 and 352 cm at Yosu and Songdo, respectively. Respective amplitudes for M2, S2 Kl O1 tides of 95.5, 48.8, 20.5, 14.0cm at Yosu and 93.6, 47.2, 21.3, 13.1cm at Songdo yielded the form numbers of 0.23 and 0.24, respectively, both of which belong to the predominantly semidiurnal tide, Contributions from the overtides and compound tides were less than $4\%^ at both sites. Differences in Greenwich phase of major partial tides between two sites were negligible. Maximum speed of tidal current was about 100cm/sec at the southern entrance and about 40cm/sec at the inner bay. Residual current speed was 17cm/sec southwestward at the southern entrance and 0.9cm/sec southeastward at the inner bay. Temporal change in current at the inner bay showed that the wind had a significant influence upon the circulation in Kamag Bay.

가막만의 해수유동 변동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1994년 7월 21일부터 8월 8일까지 가막만 남쪽 입구의 송도 부근, 북쪽 입구의 여수, 그리고 만 중앙부의 평사 부근의 3개 지점에 유속계를 계류하였고, 송도 선착장과 여수항 부근의 2개 지점에 조위계를 설치하여 10분 간격으로 연속관측하였다. 가막만의 양쪽 수로에 도달하는 조석파의 위상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기를 남쪽과 북쪽의 입구에 설치하였으며 이들 입구를 통해서 유입, 유출되는 조류가 만 내부의 해수순환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내만의 평사 부근에 유속계를 추가로 설치하였다. 최대조차는 여수와 송도에서 각각 357, 352cm 였다. M2, S2, Kl, O1 분조의 진폭은 여수에서는 각각 95.5, 48.8, 20.5, 14.0cm 였고 송도에서는 각각 93.6, 47.2, 21.3, 13.1cm 로서 조석의 형태수는 공통적으로 0.25 미만으로 반일주조가 지배적이었다. 양쪽 입구를 통해서 들어오는 주요분조의 위상차는 거의 없었다. 천해조 성분은 양쪽 모두 전체 진폭의 $4\%$ 이하로서 마찰효과 및 비선형효과는 매우 작았다. 조류의 최대유속은 송도부근에서 약 100m/sec, 내만의 평사에서 약 40cm/sec 였으며 M2분조의 유속은 각각 47.2, 14.8cm/sec 였다. 송도부근에서 조류성분은 주로 북서-남동 방향이고 반시계 방향의 회전성을 가지고 있으며 항류 성분은 남서 방향으로 17cm/sec 였다. 반면에 내만에서는 북동-남서 방향의 조류성분이 지배적이고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항류는 남동방향이고 0.9cm/sec 로 매우 약하지만 시간적으로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가막만의 동부 내만과 송도 부근에서는 남쪽방향으로의 항류성분이 존재하는데 그 원인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보다 충분한 관측을 통한 해수순환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