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mi-IPN gel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8초

폴리아스팔트아미드와 폴리(비닐 피롤리돈)의 상용블렌드 및 Semi-IPN 젤 제조 (Miscible Blend and Semi-IPN Gel of Poly(hydroxyethyl aspartamide) with Poly(N-vinyl pyrrolidone))

  • ;전영실;정동준;김지흥
    • 폴리머
    • /
    • 제36권5호
    • /
    • pp.617-621
    • /
    • 2012
  • 폴리아스팔트아미드[${\alpha}$,${\beta}$-poly(2-hydroxyethyl-DL-aspartamides), PHEAs]는 폴리아미노산의 일종으로서 잠재적인 의학 및 약학분야에 응용가능한 생분해성 생체적합성 재료로 널리 연구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PHEA와 폴리(비닐 피롤리돈)(PNVP)의 블렌드 및 semi-IPN 젤에 관하여 다루었다. 블렌드 필름은 용액 캐스팅법으로 제조되었다. 제조된 블렌드는 전 조성에서 투명하였으며 DSC를 통해 조성에 따라 단조롭게 변화하는 단일한 유리전이 온도가 관찰됨으로써 두 개 고분자가 서로 상용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고분자간의 가능한 수소결합 상호작용을 FTIR을 이용하여 설명하였다. 한편, 일정 조성의 PHEA/PNVP 블렌드 용액을 핵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MDI)를 가교제로 사용하여 semi-IPN 타입의 하이브리드 젤을 제조하고, 제조된 젤의 팽윤 물성과 모폴로지를 조사하였다.

A Semi-Interpenetrating Network for Temperature-Sensitive Polymer System

  • Yuk, Soon-Hong;Cho, Sun-Hang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8권2호
    • /
    • pp.89-94
    • /
    • 2000
  • A semi-interpenetrating network (IPN) was prepared for a temperature-sensitive polymer system composed of sodium alginate and poly (N, 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DMAEMA)-co-ethyl acrylamide (EAAm)). The role of sodium alginate is to provide crosslinked network and that of poly(DMAEMA-co-EAAm) is to provide temperature responsiveness to the polymer system. Semi-IPN gel shows temperature-induced swelling transition at the same temperature of the 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of poly(DMAEMA-co-EAAm) and its swelling kinetics is manipulated by the control of crosslinking densitv.

  • PDF

PMMA IPN계 겔폴리머전해질을 채용한 리튬이온폴리머전지의 전기화학적 특성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Lithium-Ion Polymer Battery with PMMA IPN-Based Gel Polymer Electrolyte)

  • 김현수;신정한;나성환;엄승욱;문성인;김상필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994-1000
    • /
    • 2003
  • In this study, gel polymer electrolytes (GPE) with semi-interpenerating network of poly (methyl methacrylate) and hexanediol dimethacrylate were synthesized and their electrochemical performances were evaluated. LiCoO$_2$/GPE/graphite cells were prepared and their performances depending on discharge currents and temperatures were evaluated. The precursor containing 5 vol% curable mixture had a low viscosity relatively. GPE showed good electrochemical stability up to potential of 4.8 V vs. Li/Li$\^$+/. Ionic conductivity of the gel polymer electrolyte at room temperature and -20$^{\circ}C$ was ca. 5.9 and 1.4${\times}$10$\^$-3/ Scm$\^$-1/, respectively. LiCoO$_2$/GPE/graphite cells showed good rate capability, low-temperature performance and cycleability.

4관능성 에폭시/생분해성 MAP 블렌드의 경화 거동 및 유변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Cure Behavior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Tetrafunctional Epoxy/Biodegradable MAP Blends)

  • 박수진;김승학;이재락;김봉섭;홍성원
    • 폴리머
    • /
    • 제26권6호
    • /
    • pp.767-777
    • /
    • 2002
  • 본 실험에서는 4관능성 에폭시 수지 (4EP)와 생분해성 modified aliphatic polyester (MAP) 블렌드의 경화 거동, 열안전성, 유변학적 특성, 그리고 기계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DSC 측정 결과, 경화 활성화 에너지 ( $E_{a}$ )는 4EP에 대한 MAP의 비율이 10 wt%로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이는 4EP와 MAP 사이의 분자상호작용이 증가하였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열안정성과 관련있는 분해 활성화 에너지 ( $E_{t}$ )는 Coats-Redfern 방법을 이용하여 구하였으며 MAP의 함량비가 10에서 30 wt% 내에서 증가하였다. 이는 블렌드 시스템에서의 가교 밀도의 증가 때문으로 사료된다. 유변학적 특성은 레오미터를 이용하여 등온 조건하에서 검토하였고, 겔화 시간과 경화 온도를 이용한 Arrhenius 방정식을 적용하여 가교 활성화 에너지 ( $E_{c}$ )를 검토한 결과, $E_{a}$ 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기계적 계면특성인 파괴인성 ( $K_{IC}$ )은 시편의 semi-IPN구조 거동으로 고찰하였다.

폴리페닐렌에테르계 고분자 기판 소재의 유전특성에 대한 가교제 및 난연제의 영향 (Effects of Crosslinking Agent and Flame Retardant on the Dielectric Properties of Poly(phenylene ether)-based Polymer Substrate Material)

  • 김동국;박성대;유명재;이우성;강남기;임진규;경진범
    • 폴리머
    • /
    • 제33권1호
    • /
    • pp.39-44
    • /
    • 2009
  • 폴리페닐렌에테르[PPE, poly(phenylene ether)]를 기저수지로 사용하고, 가교제로 N,N'-m-phenylene-dimaleimide(PDMI), 난연제로 decabromodiphenylethane을 첨가하여 고분자 기판을 제작하였으며, 가교제와 난연제가 기판소재의 유전특성 등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개시제의 유무에 따른 PDMI의 열경화 특성을 DS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PPE-PDMI 테스트 조성을 설계하였다. 복합물 시트를 필름 코터로 성형한 후, 진공가압적층하여 테스트 기판을 제작하고, FDMI와 난연제의 함량에 따른 유전율, 유전손실, peel 강도, 납 내열성 및 난연성을 평가하였다. 유전율과 유전손실은 PDMI와 난연제의 함량에 따라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납 내열성과 난연성은 개선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Peel 강도는 PDMI가 10 wt% 이상 첨가되면 1 kN/m 이상의 높은 값을 나타내었지만, 난연제의 첨가량에 따라서는 소폭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Gel content 측정결과로부터, PPE-PDMI의 반응 메카니즘은 semi-IPN 구조의 형성보다는 PPE와 PDMI의 crosslinking에 의한 망상구조 형성에 더 가까운 것으로 판단되었다. 최종적으로 1 GHz에서 유전율이 2.52$\sim$2.65, 유전손실이 0.002 미만으로 작은 고주파 대역용 고분자 복합체 기판소재를 얻을 수 있었다.

UV-curing Behavior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UV-cured Polylactic Acid (PLA)

  • Lee, Seung-Woo;Park, Ji-Won;Park, Cho-Hee;Kim, Hyun-Joong;Eom, Young-Geu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1권2호
    • /
    • pp.134-140
    • /
    • 2013
  • UV curing was introduced via a chemical treatment by adding small amounts of a hexafunctional acrylic monomer and a photoinitiator to improv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PLA. This study also employed a semi-interpenetrated structured polymer network through the process of UV-curing. The UV curing behaviors were investigated using FTIR-ATR spectroscopy and gel fraction determination. Also, the tensile strength was investigated with different hexafunctional acrylic monomer contents and UV dos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rosslinking of UV-induced chemically treated PLA started at a low content of hexafunctional acrylic monomer, resulting in a significant improvement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compared to those of neat PLA due to crosslin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