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referent belief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2초

인지노화의 사회심리학적 요인: 노화 고정관념과 자기신념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ocial-Psychological Factors on Cognitive Aging: Effects of Age Stereotypes and Self-Referent Belief)

  • 이고은;이혜원
    • 한국노년학
    • /
    • 제36권3호
    • /
    • pp.751-76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인지노화와 그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심리학적 요인에 대해 개관하였다. 노화로 인한 인지기능의 변화는 세부 기능별로 상이함에도 인지노화는 쇠퇴의 관점으로 주로 해석되고 있다. 인지노화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은 노화 고정관념(age stereotype)과 같은 사회심리학적 요인이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노화 고정관념은 문화권에 따른 차이는 있으나 보통 부정적인 측면이 강하게 나타나는데, 더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보일수록 기억 수행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화 고정관념을 실험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경우, 긍정적인 고정관념을 제시받은 노인이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제시받은 노인에 비해 더 높은 기억 수행을 보였다. 자신의 인지기능에 대한 평가인 자기신념(self-referent belief)도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보통 노인의 자기신념이 청년의 자기신념보다 낮게 나타나고, 자기기억신념의 수준은 실제 기억 수행과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상의 사회심리학적 요인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론적 설명과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대학생의 흡연 관련 요인에 대한 진단적 연구 - PRECEDE 모형을 근간으로 - (A Diagnostic Study on the Variables Related to Smoking Behavior among College Students - Based the PRECEDE Model -)

  • 유재순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66-276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variables related to smoking behaviors (never smoked, former smoker, current smoker) among college students on the basis of the PRECEDE model.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327 college students in Chungbuk Province from May to June 2006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Result: The rate of current smokers was 19.0%. The rate of current smokers in male students (41.1%)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8.3%).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major, academic achievements, satisfaction with major and alcohol consumption. Number of smokers among five close friends was 1.72 and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different gender, majors, levels of satisfaction with majors and alcohol consumption. In discriminant analysis, discriminant variables on smoking behavior were the number of smokers among close friends, the referent persons' responses about smoking and subject's belief about smoking. Conclusion: These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we can enhance the prevention of college students' smoking by strengthening the related factors such as enforcing a non-smoking environment and strengthening college health education strategies of non-smoking including a negative belief of smoking and the hazard of passive smoking.

  • PDF

한국 임상수의사의 전문직업성 및 직업만족도에 대한 연구 (A Survey on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of Korean Veterinarians)

  • 천명선;김진석;이문한;류판동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3-48
    • /
    • 2012
  • This survey on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was aimed to analyze the veterinarians' attitude toward their profession and educational needs in Korea. Two hundred and ninety nine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The participants considered nontechnical competences, such as communication skills and ethical decision making skills, important as medical knowledge and skills for veterinarian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veterinarians' job satisfaction among the subgroups of gender, region, specialty, employment status, and work hours. The factor analysis of adjusted Hall's professionalism scale showed 4 dimensions of Veterinarians' professionalism; belief in self-regulation, belief in public service, using the professional organization as a major referent, and autonomy. Veterinarians' professionalism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job satisfaction. The survey results suggest that the educational program of professionalism should be needed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veterinary students and veterinarians.

공공도서관 사서의 전문직 정체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fessional Identity of Public Librarians)

  • 김지수;차미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25-34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 사서의 전문직 정체성 수준을 측정하고, 관련 요인을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지역의 공공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2021년 10월 28일~11월 18일까지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375부의 유효한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공공도서관 사서는 '자체 규제에 대한 신념' 영역의 평균이 가장 높았으며, '직업에 대한 소명 의식',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 '전문직 단체의 활용', '자율성'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공도서관 사서의 전문직 정체성은 도서관의 설립 주체, 운영 방식에 영향을 받지 않는 한편 응답자가 근무하는 도서관의 관장의 사서직 여부와 사서의 경력과 연령, 직위는 사서의 전문직 정체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는 Hall(1968)의 전문직 정체성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국내 공공도서관 사서의 전문직 정체성의 수준을 5개의 영역별로 분석하였다는 점과 국내 도서관의 특성을 공공도서관 사서의 전문직 정체성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하고자 했던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