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elf-introspection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3초

간호대학생의 마음 가다듬음과 살핌 명상에 대한 융합적 접근 (Convergent Approach of about Nursing Students' Experience of Mind Settling and Introspection Meditation)

  • 김향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8호
    • /
    • pp.115-125
    • /
    • 2017
  • 본 연구는 마음 가다듬음과 살핌 명상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질적연구방법을 융합하여 내용을 살펴보고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자료는 간호대학생 10명으로부터 수집되었으며 내용분석방법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4개의 주제묶음이 확인되었다; '삶을 성찰하며 참회한 후 태도의 변화가 일어남', '정신이 건강해짐', '주체적 삶의 주인으로 변화하게 됨', '존재의 가치를 인식하고 자기가치를 실현하고자 함'. 본 연구에서는 마음 가다듬음과 살핌 명상이 간호대학생의 도덕성을 회복하도록 하는 중재프로그램으로 이용 가능함을 논의하였다. 추후 마음 가다듬음과 살핌 명상을 수정 보완하여 다양한 대상자에 대한 확대연구가 필요하다.

대인관계에 있어서 성찰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IMPORTANCE OF INTROSPECTION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 조수철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1권2호
    • /
    • pp.179-185
    • /
    • 2000
  • 인간은 여러 가지의 관점에서 정의될 수 있다. 첫째는 생물학적인 측면이며, 두 번째는 심리적인 측면이며, 세 번째는 사회적인 측면이다. 생물학적인 측면과 심리적인 측면은 인간내적(intrapersonal)인 면을 다루고, 사회적인 측면은 대인관계(interpersonal)적인 면을 다루고 있다. 대인관계는 기본적으로 힘과 통제의 관계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의사-환자관계도 역시 힘과 통제의 관계로 정의할 수 있다. 특히 정신과 영역에 있어서는 의사-환자관계가 강조가 되고 있다. 의사-환자간의 관계에 있어서 환자의 정신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과정은 무엇보다도 더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이에 환자의 심리상태를 객관적이고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하여는 의사자신의 정신세계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통찰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찰의 중요성에 대하여 논하고 성찰의 한 방법을 제시함을 기본 목적으로 삼는다.

  • PDF

Spirituality: Concept Analysis Based on Hybrid Model

  • Oh Pok Ja;Kang Kyung Ah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709-720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a clearer understanding of spirituality and examine the process of spirituality through defining the meaning and attributes of spirituality. Method. Concept analysis was done in the three phases, theoretical phase, fieldwork phase, and analytical phase suggested in the Hybrid Model. Five people participated in the fieldwork phase. Results. Spirituality is activated through self-awareness which occurs as spirit being activated through self-introspection, and through restoration of the relationship with Supreme Being. This interconnectedness with Supreme Being has an absolute impact on one's harmonious interconnectedness with self and neighbors, thus leads all the critical attributes of spirituality to be revealed. The core energy of this harmonious inter-connectedness is love. When activated, it has a great impact on an individual as integrative energy, leads one to go beyond everyday experience as well as to have new perspectives, and to live a satisfactory life in every aspect.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romotion of connectedness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s. The results can also be used effectively in developing spirituality assessment scales and theory.

일 대학 종합병원 간호사의 자기주도학습 유형 (Patterns of Self-Directed Learning in Nurses)

  • 오원옥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447-461
    • /
    • 200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underst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patterns of nurses. Q methodology was used to collect the data. Method: For the research method, 43 Q-statements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and a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The 43 Q-statements were classified by the 34 participants in the study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PC-QUANL program with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Result: There were 4 different patterns of self-directed learning classified as follows : Nurses in Type I the Future Provision Type, studied to promote their own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leadership qualities for the future. Nurses in Type II, the Learning Passion Type, enjoyed learning something new and had a strong learning desire. Nurses in Type III, the Self-reflective Type, continuously evaluated self and their own practice by introspection. Nurses in Type IV, the Accompanying Companion Type, studies with companion support and maintained a collaborative relationship rather than competing with each other. Conclusion: This study explains and allows us to understand self-directed learning in nurses. Thu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building a theoretical base for the development of a self-directed learning model in nursing practice.

  • PDF

의학교육 시기에 따른 의과대학생들의 정서 변화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motional changes of medical students according to the phase of medical education)

  • 이원경;박경혜
    • Journal of Medicine and Life Science
    • /
    • 제17권3호
    • /
    • pp.86-93
    • /
    • 2020
  • The study aimed to understand medical students' experiences of emotional changes, including their method of adapting to experiences, and the effect of the experiences in shaping their identities. We interviewed 12 medical students who were finishing their 1-year clinical internship in 2016. Data on their opinions and reasons for emotional changes during their school life were obtained. The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approach was applied to analyze the interviews. Their stress came from disappointment in themselves, competitive environment, observing a change in their personalities, meeting their parents' expectations, and interpersonal relations. The interviewees adjusted to the medical study by exercising self-control in their studies and daily lives, by practicing self-acceptance and observing their state of mind, and by breaking free from the competition-driven environment and obsession with grades. In addition, they cultivated endurance and found external support. Finally, they achieved self-efficacy and were comfortable in their identity as medical students. They still had to address the stress from working relationships and the difficulty in balancing studies and life. The medical students' self-evaluation and compulsive tendencies increased during the medical course due to the burden of studies. They evolved by learning self-control and introspection and seeking ways to adapt. Understanding this growth process of medical students will improve student support in medical schools.

미숙아 어머니의 양육경험: Q 방법론적 접근 (Mothers' Parenting Experience of Premature Infants: Q Methodological Approach)

  • 전미영;지은선;이신화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704-713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parenting experience of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educational solutions and desirable directions. Methods: Q-methodology was used as it provides a method of analyzing the subjectivity of each item. The participants were 33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who sorted 34 selected Q-statements which were then classified into the shape of a normal distribution using a 9-point scale. Subjectivity on parenting experience among the mothers was analyzed using the pc-QUANAL program. Results: Four types of parenting experience were identified. Type I was named 'struggling', type II, 'self blame', type III, 'information collecting', and type IV, 'self-introspec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different approaches to educational programs are needed for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based on the four types of parenting experience.

뇌졸중 후 편마비를 가진 중년기 환자의 적응과정 (Adjustment of Middle-aged People with Hemiplegia after a Stroke)

  • 이화진;이명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792-802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adjustment process of middle-aged people in Korea with hemiplegia after a stroke. Method: For this study, the grounded theory method was utilized. Results: After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the core category emerged as 'rebuilding the body which was ruined'. In addition, the causal conditions were 'restriction of physical function', and 'loss of roles'. The adjustment process consisted of the 'facing reality phase', 'overcoming depression phase', 'overcoming physical limits phase' and 'reestablishing roles phase' The main strategies in the facing reality phase were 'holding on to a glimmer of hope', 'getting away from the harsh reality' and 'facing up to the reality'. The main strategies in the overcoming depression phase were 'soothing oneself', 'Self-introspection' and 'restoring self-esteem'. In addition, the main strategies in the self-initiative overcoming physical limits phase was 'discovering personal strategies and striving to recover'. The main strategies in the reestablishing roles phase were 'reestablishing a parents' role', 'reestablishing a spouse's role' and 'reestablishing social roles'. Conclusion: In conclusion, even though many middle aged stroke patients remained in the depression phase, most of them who overcame depression strived to conquer physical limits on their own initiative.

헤겔의 법철학과 공동체주의 - 도덕성과 인륜성을 중심으로 - (Hegel's Philosophy of Law and Communitarianism - Focusing on Morality and Ethics -)

  • 양해림
    • 철학연구
    • /
    • 제117권
    • /
    • pp.161-189
    • /
    • 2011
  • 본 논문은 서구에서 1990년대부터 활발하게 논의되었던 공동체주의와 자유주의의 논쟁을 헤겔 "법철학"의 도덕성과 인륜성의 개념을 중심으로 우리 한국사회의 정치현실과 연관시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본 논문은 공동체주의를 헤겔의 입장에서 재조명하고자 한다. 헤겔은 "법철학"에서 공동체를 근대의 윤리적-정치적 질서체계를 세우기 위한 근본적인 의미로서 파악하였다. 여기서 헤겔은 칸트의 도덕성을 수용하여 법과 국가의 개념을 근본적으로 다시 규명하였다. 필자는 이 논쟁의 광범위한 영역을 헤겔의 도덕성과 인륜성에 대해 한정하여 논의해 보고, 결론부분에서 우리 한국의 정치 현실상황을 반성적 성찰의 기회로 삼고자 한다.

동양고전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수업 사례 연구 - 『장자(莊子)子』 <제물론(齊物論)>을 중심으로 (The case study for university writing class through the classics of Orient - Focusing on in the book of 『Zhuangzi』)

  • 최윤정
    • 동양고전연구
    • /
    • 제48호
    • /
    • pp.311-340
    • /
    • 2012
  • 본 연구는 이화여자대학교의 심화 글쓰기 과목으로 개설된 <명작명문 읽기와 쓰기> 강좌에서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을 읽기 자료로 설정하고 수업한 사례를 분석한 것이다. 동양 고전 텍스트를 대학 교양교육의 자료를 삼았을 때 나타나는 특징과 효과를 고찰하려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본고에서는 학생들이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을 읽고 발제문을 작성하여 토론하는 것을 이해 단계로, 이를 바탕으로 글쓰기 과제를 수행한 것을 평가 단계로 나누어서 각각의 특징을 살펴보고, 그 의의를 논의하였다. 특히, 학생들의 글쓰기 과제를 분석하여 파악한 <제물론(齊物論)>의 평가 단계에서는 상대주의적 관점 인식, 자아 성찰적 요소 발견, 소통의 메시지를 수용하는 특징을 보였다. 장자와 글쓰기 교육을 연계함으로써 다양성의 시대와 가치의 재발견, 진정한 자아 탐색의 의미 제시, 열린 사고와 창조적 글쓰기라는 의의와 효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는 고전의 현대적 재해석이라는 의의와 고전 텍스트의 교육적 활용 사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문학치료학적 관점에서 본 <심청전> 재창작 수업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Recreating Simcheongjeon in Class A Literary Therapeutic View)

  • 조영주
    • 고전문학과교육
    • /
    • 제32호
    • /
    • pp.159-191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필자가 서울시내 A대학에서 2014년 2학기 국어국문학과 전공선택 과목인 <고전과 창작> 수업시간에 실시한 강의에 근거하여, 수업시간에 실행한 재창작 수업의 과정을 소개하고, 그 과정에서 보여주는 대학생들의 자기성찰 양상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수업에 참여한 대학생들이 3회의 발표를 통해 만들어낸 작품을 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2장에서는 고전작품 재창작을 위한 수업 진행의 과정으로서 '재창작 작품 선정 배경 및 기획의도 발표', '원작에 대한 분석 및 재창작 사례 탐색', '작품 재창작 및 메타글쓰기'에 대해 논의하였다. 3장에서는 작품 재창작 과정을 통한 대학생의 자기성찰 양상을 탐색해보았다. 학생들이 재창작하고자 하는 고전 작품을 선정하고, 분석하고, 재창작하고, 재창작한 작품에 대한 자기평가에 이르는 과정을 통해서 그들이 가지고 있는 삶에 대한 태도가 어떠한지, 문제가 있다면 그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경향성은 어떠한지 살펴보는 데 역점을 두었다.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재창작의 대상으로 제각기 서로 다른 작품을 선택하였지만, 이번 논의에서는 <심청전>을 재창작한 두 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이 창작한 작품과 자기 성찰 양상을 비교분석하였다. 그리하여 아버지와의 관계 양상에 따른 창작결과물의 특성에 대해 살펴볼 수 있었다. 고전을 활용한 보다 효과적인 재창작 수업을 위해 작품을 선정하고 보다 체계적이고 다양한 재창작 방법론에 대한 모색이 필요할 것이다. 그러나 고전을 활용한 재창작 수업은 원작의 작품서사를 활용하기 때문에 창작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었고, 자기성찰의 매개가 되는 고전작품을 통해 평소 본인이 고민하는 문제에 대한 깊이 있는 탐색이 가능하다. 또한 공개적인 작품 발표를 통해 보다 객관적인 입장에서 자기서사를 탐색할 수 있고, 피드백을 통해 다른 사람의 의견을 수렴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