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Study on Recreating Simcheongjeon in Class A Literary Therapeutic View

문학치료학적 관점에서 본 <심청전> 재창작 수업사례 연구

  • 조영주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교양교육원)
  • Received : 2016.05.19
  • Accepted : 2016.06.01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This paper describes the procedure of recreating the classics which introduced in author's lecture on "Classics and Creation." The work and result of this paper is based on the activities i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lecture which the author was leading at university A in Seoul in 2014. This paper aims to identify aspects of introspection that college students underwent during the procedure of recreating. The subjects for analysis were the works created by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class through three presentations. In section 2, it is discussed three major issues regarding the process of recreating classics. One is "presentation of the background for the selection of the work to recreate and the way of implementation". Second is "analysis of the original works and case studies on recreated works". Third is "recreation of works and meta writing". Those activities were conducted as part of the lecture. In section 3, it is investigated that the pattern of introspection of college students. It focused on analyzing the attitudes of the students toward life based on their selection, analysis, and recreation of classic works. Moreover, their self-assessment of the recreated works was examined as well. It is noted that the attitudes and tendency of students when faced with problems if any. While the students in the class selected diverse works for recreating, this paper compared and analyzed the works and introspective aspects of two students who recreated Simcheongjeon. Therefore, aspects of creativity could be identified based on the pattern of their recreation, which participants subtly describe the relationship with their father in recreated works.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it is required to select more works for an effective class on recreation of classic literature and investigate a more systematic and diverse methodology for doing so. However, since the class for recreation of classic literature uses the narrative of the original work, it would reduce the burden on crea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crutinize in-depth problems of participant's general issue in life by using classic literature as a medium for introspection. Moreover, it was identified that a public presentation of these works enabled exploring self-narration on more objective aspects and collecting feedback from others.

본 논문에서는 필자가 서울시내 A대학에서 2014년 2학기 국어국문학과 전공선택 과목인 <고전과 창작> 수업시간에 실시한 강의에 근거하여, 수업시간에 실행한 재창작 수업의 과정을 소개하고, 그 과정에서 보여주는 대학생들의 자기성찰 양상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수업에 참여한 대학생들이 3회의 발표를 통해 만들어낸 작품을 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2장에서는 고전작품 재창작을 위한 수업 진행의 과정으로서 '재창작 작품 선정 배경 및 기획의도 발표', '원작에 대한 분석 및 재창작 사례 탐색', '작품 재창작 및 메타글쓰기'에 대해 논의하였다. 3장에서는 작품 재창작 과정을 통한 대학생의 자기성찰 양상을 탐색해보았다. 학생들이 재창작하고자 하는 고전 작품을 선정하고, 분석하고, 재창작하고, 재창작한 작품에 대한 자기평가에 이르는 과정을 통해서 그들이 가지고 있는 삶에 대한 태도가 어떠한지, 문제가 있다면 그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경향성은 어떠한지 살펴보는 데 역점을 두었다.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재창작의 대상으로 제각기 서로 다른 작품을 선택하였지만, 이번 논의에서는 <심청전>을 재창작한 두 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이 창작한 작품과 자기 성찰 양상을 비교분석하였다. 그리하여 아버지와의 관계 양상에 따른 창작결과물의 특성에 대해 살펴볼 수 있었다. 고전을 활용한 보다 효과적인 재창작 수업을 위해 작품을 선정하고 보다 체계적이고 다양한 재창작 방법론에 대한 모색이 필요할 것이다. 그러나 고전을 활용한 재창작 수업은 원작의 작품서사를 활용하기 때문에 창작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었고, 자기성찰의 매개가 되는 고전작품을 통해 평소 본인이 고민하는 문제에 대한 깊이 있는 탐색이 가능하다. 또한 공개적인 작품 발표를 통해 보다 객관적인 입장에서 자기서사를 탐색할 수 있고, 피드백을 통해 다른 사람의 의견을 수렴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