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interest

검색결과 1,527건 처리시간 0.027초

자연과학계열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그릿(Grit),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전공흥미 간의 관계 분석 (The Relationship amo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Gri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 and Major Interest of Natural Science College Students)

  • 강명희;윤성혜;김도희;류다현
    • 직업교육연구
    • /
    • 제35권4호
    • /
    • pp.109-129
    • /
    • 2016
  • 최근 우리나라는 미래국가성장동력을 마련하기 위해 과학인재양성에 힘쓰고 있다. 이에 교육부에서는 이공계 대학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특별법을 마련하고, 산업연계 교육 활성화 선도대학(PRIME)과 같은 사업을 시행하여 교육적인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원에도 불구하고 이공계 내 다른 계열과 비교하여 현재 자연과학계열 인력은 수요와 공급이 불균형을 이루고 있는 실정이며, 더욱이 자연과학계열 대학생들은 전공 외 분야에 취업하는 경우가 많아, 이들을 위한 진로교육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 개인의 진로발달과정에서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가 가능한 사회인지진로모형(SSCT)을 바탕으로 자연과학계열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그릿(Grit),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전공흥미 변인의 예측력 및 이들 간의 경로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A대학 자연계열 학생 15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그릿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전공흥미, 진로준비행동으로 가는 경로모형은 통계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자연과학계열 대학생들이 그들의 전공 분야와 관련한 진로준비행동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그릿,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전공흥미를 통합적으로 고려한 체계적인 진로교육이 제공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증강현실을 활용한 소집단 학습에서 개념 이해 및 몰입, 상황 흥미를 촉진할 수 있는 학습 환경 탐색 (An Exploration of Learning Environment for Promoting Conceptual Understanding, Immersion and Situational Interest in Small Group Learning Using Augmented Reality)

  • 신석진;노태희;이재원
    • 대한화학회지
    • /
    • 제64권6호
    • /
    • pp.360-370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증강현실을 활용한 소집단 학습에서 개념 이해 및 몰입, 상황 흥미를 촉진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을 학생들의 자기조절 수준에 따라 탐색하였다. 서울시에 소재한 남녀공학 고등학교 1학년 9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한 모둠에 마커와 스마트 기기를 각각 1개(1-1), 2개(2-2) 또는 4개(4-4)를 제공하는 세 가지 학습 환경을 구성하고, 학생들을 4인 1모둠으로 편성하여 각 학습 환경에 무선 배치하였다. 통합과학 교과의 화학 결합 개념에 대하여 증강현실을 활용한 소집단 학습을 2차시 동안 실시하였다. 이원 변량 분석 결과, 개념 이해도 검사에서는 4-4 학습 환경의 점수가 1-1 또는 2-2 학습 환경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자기조절 수준이 낮은 학생들이 학습 환경 변화의 영향을 받았다. 몰입감 검사에서는 4-4 학습 환경의 점수가 1-1 학습 환경보다 유의미하게 높았고, 자기조절 수준이 높은 학생들이 학습 환경 변화의 영향을 받았다. 상황 흥미 검사에서 4-4 및 2-2 학습 환경의 점수는 1-1 학습 환경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고, 학습 환경 변화는 자기조절 수준 높은 학생과 낮은 학생 모두에게 영향을 주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증강현실을 활용한 소집단 학습에서 학생들의 개념 이해 및 몰입, 상황 흥미를 촉진할 수 있는 학습 환경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이익충돌 상황에서 설득 메시지의 프레이밍 및 반복에 따른 도덕적 의사결정 탐색 (Exploring framing effect and repetition effect of the persuasive message on moral decision making in conflict of interest)

  • 성세연;정경미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4권4호
    • /
    • pp.541-562
    • /
    • 2018
  • 메시지 제시는 개인의 태도 및 의사결정 행동 변화를 설득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실용성과 효과성 간 균형을 고려할 때 이익충돌 상황에서 발생 가능한 여러 문제에 대한 효율적인 해결 방안 중 하나이다. 메시지의 프레이밍과 반복은 메시지의 설득 효과에 영향을 주는 두 주요한 변인이나, 이를 이익충돌과 도덕적 의사결정에 적용하여 탐색한 연구는 부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도덕성 점화 설득 메시지의 프레이밍 유형과 도덕성을 점화하는 설득 메시지의 반복 횟수에 따른 사익추구행동의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63명(남: 35명, 여: 28명)을 메시지 프레이밍 유형에 따라 세 가지 조건(긍정적 프레이밍 조건, 부정적 프레이밍 조건, 비점화 조건)으로 무선할당한 뒤, 이익충돌 상황에서 가상의 파트너에게 자문을 하는 웹 기반 컴퓨터 실험을 통해 각 조건에서 도덕성 점화 설득 메시지를 4회 반복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메시지 반복 횟수와 메시지 프레이밍 유형 간 상호작용이 유의하지 않았으나, 메시지 프레이밍 유형의 주효과 및 반복 횟수의 주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긍정적 프레이밍 집단이 비점화 집단에 비해 낮은 수준의 사익추구행동을 보였으며, 메시지 반복과 사익추구행동 간 U자 형태의 이차 함수 관계가 확인되었다.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의의에 더불어 한계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사이버 학습을 활용한 학생의 자아정체성 확인에 관한 연구: 북토비 사례를 중심으로 (Developing Self-awareness Through Cyber Study and Cyber Reading Activities: A Case Study with the Electronic Library 'Booktoby')

  • 강현숙
    • 정보화연구
    • /
    • 제11권4호
    • /
    • pp.485-494
    • /
    • 2014
  • 본 연구는 초등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자들로 하여금 자신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나아가 긍정적 자아개념을 발달시켜감으로써 장차 진로 설계를 위한 긍정적 자산을 마련하게 하고자 하는 것에 목표를 두고 수행한 사항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 학습자들은 사이버 학습인 '인천e스쿨'과 사이버 독서 자료인 '북토비' 활동을 하며 그 과정 속에서 발견하게 된 자신의 모습을 자아정체성 피라미드의 각 면에 기록하며 자아정체성 피라미드를 완성해 가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들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대해 67%가 향상되었다고 응답하였고, 독서에 대해서는 독서에 대한 흥미도, 자발성, 이해도가 각각 54%, 50%, 33% 가량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신에 대한 관심도를 묻자 응답자의 약 75%가 높아졌다고 답하였다. 자아정체성 검사인 SCI-II의 1,2차 검사결과를 비교한 결과 자아개념에 대한 총점에서는3점, 영역별 -정의적, 사회적, 인지적 영역 - 관심도는 각각 4점, 1점, 5점씩 향상된 것으로 나타나 모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동아리에서 경험한 자기 주도적 실험 학습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 (Elementary Students' Awareness about Self-directed Learning Experiments at Science Club)

  • 주은정;김흥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5권2호
    • /
    • pp.253-26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mplications of self-directed learning experiments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through understand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wareness of their experiences in self-directed learning experiments. Twenty students joined the school science club voluntarily and conducted self-directed learning experiments. We collected data through observation of the experiments,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lub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self-directed learning experiments. The participants were aware that their scientific interest and knowledge, and the confidence in conducting experiments were increased. The students felt positive about the inquiry process of conducting self-directed learning experiments with their own subjects. They also felt a sense of achievement in attempting their experiments in defiance of several failures. The participants realized that the self-directed inquires led to increased declarative and procedural knowledge of science. The students stated that they had some difficulties in coping with the different results contrary to expectations and preparing laboratory materials and instruments. Nonetheless, they showed the promotion of their scientific literacy during overcoming those difficulties. We suggest that self-directed learning experiments can be a more effective way in science learning to make students experience the nature of science than existing school experiments. This can be implemented through a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such as science clubs.

인간관계훈련 전후의 자기노출인식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lf-Disclosure of Nurses After Human Relations Training)

  • 이광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1-38
    • /
    • 1985
  • This study attempted to measure self-disclosure changes of nurses a result of human relations training.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49 nurses in Seoul.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the Self-disclosure questionnaire developed by Jourard in 1958, was designed to measure verbalized aspects of self-disclosure defined as a voluntary act of revealing personal data about oneself including beliefs, values, feelings and perceptions to another person. The SDG instrument is devided into six areas: attitude, taste and interest, personality, money, work and body. The main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After training, the subjects disclosed more than before. 2. Subjects tended to very the amount of self-disclosure with respect to the category of information to which an item about the self belonged. Two clusters of aspects emerged, a high disclosure cluster including Attitude, Tastes and Interests, Personality and Work, and a low disclosure cluster comprised of Money and Body. 3. Before and after training,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lf-disclosure to the peer nurses. Subjects showed the highest self-disclosure to friend, with lesser amounts to patient. 4. Charge and head nurses showed the highest differences in self-disclosure resulting from human relations training.

  • PDF

사회 인지 관점에 따른 사회 정의 관심과 실천 모형의 검증: 국내 대학생을 중심으로 (Social-Cognitive Model of Social Justice Interest and Commitment: for Korean College Students)

  • 민문경;안현의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0권2호
    • /
    • pp.133-154
    • /
    • 2014
  • 본 연구는 Miller와 동료들(2009)들이 사회 정의 실천을 예측하는 이론적 틀로써 사회 인지진로 이론(SCCT)을 사회 정의 영역에 적용한 연구를 국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반복 검증한 것이다. 국내 대학생의 사회 정의에 관한 관심과 실천에 기저하는 심리적 과정을 살펴보고 사회 정의 활동을 촉진하는 개입 방안을 제안하기 위하여 서울 및 경기도 소재 4년제 대학교의 남녀 학생 337명으로 자기 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의 과대 추정을 막기 위해 사회적 바람직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한 결과, 사회 정의에 대한 자기 효능감과 결과 기대가 관심에 영향을 주고 사회 정의에 대한 관심이 실천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 모형이 국내 대학생들의 사회 정의 관심과 실천을 설명하는 데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장애가 자기 효능감을 통해 실천에 영향을 미친다는 간접 효과 모델이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장애가 실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직접 효과 모델보다 자료를 설명하는 데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 정의 영역에서만 나타난 독특한 경로로 결과 기대를 통한 사회적 지지의 간접 효과가 입증되었다.

  • PDF

대구 지역 여고생의 체중 조절 관심도와 영양소 섭취 상태 (The Interest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for Weight Control and Nutrient Intake Status in the Daegu Area)

  • 최미자;윤순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29-337
    • /
    • 2007
  • In this study, the interest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s(N=500) for weight control, as well as nutrient intake status, were analyzed. The mean age, height, and weight of the subjects were, 19.3 years, 162.2 cm and 55.4 kg respectively. Mean BMI was $21.1 kg/m^2$. According to BMI, the percentage of underweight, normal weight, overweight, and obese were 18.5 %, 60.3%, 11.3%, and 11.3% respectively. By the BMI criteria, 60.3% of the subjects were normal weight while the rate of self-recognition was 41.5%. The degree of satisfaction regarding self-body image was only 17.1% and 60.9% showed an interest in weight control. The reason for weight reduction were appearance(65.1 %) and health(24.2%). The body areas where subjects wanted to lose weight included the thighs(32.9%) and whole body(29.3%). They believed the most effective weight control strategy was exercise(81.1 %) and the strategies they used were diet(59.1 %) and exercise(40.4%). Energy intake was 1,733.4 kcal which was 86.7% of the estimated energy requirements(EER). Calcium, vitamin $B_2$, and vitamin C intakes were less than EAR by 34.4%, 40.4%, and 59.6% respectively. The intake of dietary fiber was 5.1 g only 21.1 % of the adequate intake(AI). In summary, high school females interested in weight control have significantly less calcium intake than their peers. The correlations between interest in weight control and weight and BMI were significant(p<0.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o achieve optimal growth, improved diets that include calcium, vitamin $B_2$, and vitamin C are recommended. High school females interested in weight control should especially be targeted for education on calcium intake.

  • PDF

성인여성의 피부관리 정도에 따른 의복행동 및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xtent of Women's Skin Care by Clothing Behavior and Self-Efficacy)

  • 김선령;유태순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413-418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or the adult woman that provides the investigation, analysis,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with clothing behavior and self-efficacy depends on their skin care grade. Data were collected from 477 adult females and analyzed by using frequency, dispersion analysis, ANOVA, t-test, Duncan test utilizing SPSS 10.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younger and the more educated respondents were the better their skin care. Also, the more they spent on clothes, the more they spent on cosmetic products. For occupations, professionals were to have better skin care. It was expose that 20s and 30s are shown difference for all low rank leading persons except conformity in the midst of it is clothing behavior main point by skin care management degree, 40s appeared that difference is seen in interest, psychological dependence, aesthetics, management. It was expose that difference does not exist in liver that is clothing behavior main point by skin care administration degree in 50s. 20s appeared difference in general self-efficacy divination in self-efficacy, and 30s appeared that skin care degree is high as general self-efficacy and physical self-efficacy are high. It was expose that 40s and 50s are no difference of self-efficacy in between group by skin care degree.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자기효능감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ego-resiliency and self-efficacy on major satisfaction of paramedic students)

  • 주호현;김덕원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85-95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go-resiliency and self-efficacy on paramedic students in J province.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465 paramedic students from the J area recruited from September 25 to October 10, 2017. The questionnaire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ego-resiliency,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with their choice of the major subject.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s,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s ego-resiliency and self-efficacy increased,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ing subject also increased. Senior students had higher satisfaction than freshmen in relation to general characteristics. Students having 'interest in their major' owing to personal motivation of choice of major, had higher satisfaction than those having 'suggestion from other'.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increase satisfaction of major and to inspire ego-resiliency and self-efficacy. Conclusion: Future studies should investigate ways to increase major satisfaction toward paramedics and to enhance their ego-resiliency and self-effic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