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adhesive

검색결과 303건 처리시간 0.023초

Effect of atmospheric plasma versus conventional surface treatments on the adhesion capability between self-adhesive resin cement and titanium surface

  • Seker, Emre;Kilicarslan, Mehmet Ali;Deniz, Sule Tugba;Mumcu, Emre;Ozkan, Pelin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7권3호
    • /
    • pp.249-256
    • /
    • 2015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tmospheric plasma (APL) versus conventional surface treatments on the adhesion of self-adhesive resin cement to Ti-6Al-4V alloy. MATERIALS AND METHODS. Sixty plates of machined titanium (Ti) disc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n=12): 1) Untreated (CNT); 2) Sandblasted (SAB); 3) Tribochemically treated (ROC); 4) Tungsten CarbideBur (TCB); 5) APL treated (APL). SEM analysis and surface roughness (Ra) measurements were performed. Self-adhesive resin cement was bonded to the Ti surfaces and shear bond strength (SBS) tests, Ra and failure mode examinations were carried out. Data were analyzed by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chi-squared test. RESULTS. The lowest SBS value was obtained with CNT an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all other groups except for APL. The ROC showed the highest SBS and Ra values of all the groups. CONCLUSION. It was concluded that the effect of APL on SBS and Ra was not sufficient and it may not be a potential for promoting adhesion to titanium.

Self-etching adhesive system에서 수분 조절이 레진의 치질접착강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moisture control on bond strength of composite resin treated with self-etching adhesive system)

  • 진명욱;김영경;박정원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7권4호
    • /
    • pp.363-369
    • /
    • 2002
  • 최근에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는 치과용 접착제는 산 부식 후 수분이 있는 상태에서 적용하는 wet-bonding 술식을 많이 추천하고 있다. 하지만 self-etching primer의 경우 산부식과 priming 과정이 동시에 시행되고, 제조자들은 건조된 치아표면에 적용할 것을 추천하고 있다. 그러나 건조된 정도에 대하여서는 별다른 추천사항이 없으며. 수분이 self-etching primer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서는 별다른 연구가 이루어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질 삭제 후 남아있는 수분이 self-etching primer의 레진 접착 강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발거한 대구치 96개를 이용하여 물기가 있는 상태에서 #600 사포로 표면을 연마하고, 법랑질 면을 노출시킨 군과 상아질을 노출시킨 군으로 분류 후, 30분 공기 중 방치 군 (1군), 5초 공기 건조 군 (2군), 1초 공기 건조 군 (3군), 솜으로 약간의 물기를 제거한 군(blot dry) (4군) 등 총 8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Self-etching adhesive system인 Clearfil SE Bond primer를 20초간 적용하고, bonding제 도포 후 10초간 광중합 시행하였다. 접착제 처리한 치아면에 몰드를 고정한 후 Clearfil AP-X 복합레진을 2mm 충전하고, 40초간 광중합을 시행하였다. 24시간 후 전단 응력 결합강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법랑질과 상아질 모두에서, 30분 건조군과 5초 공기건조군이 1초와 blot drying 군보다 높은 결합강도를 보였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본 실험 결과에 의하면 self-etching adhesive system을 사용함에 있어서 법랑질과 상아질군 공히 건조된 상태에서 사용하여야 하며 수분의 존재시 치아와의 결합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상에서 접착제의 적용시 수분의 조절에 주의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 of dentin pretreatment and curing mode on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self-adhesive resin cements

  • Youm, Seung-Hyun;Jung, Kyoung-Hwa;Son, Sung-Ae;Kwon, Yong-Hoon;Park, Jeong-Kil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7권4호
    • /
    • pp.317-322
    • /
    • 2015
  • PURPOSE. The aim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curing mode and different dentin surface pretreatment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 (${\mu}TBS$) of self-adhesive resin cements. MATERIALS AND METHODS. Thirty-six extracted human permanent molars were sectioned horizontally exposing flat dentin surface. The teeth were divided into 12 groups (3 teeth/group) according to the dentin surface pretreatment methods (control, 18% EDTA, 10% Polyacrylic acid) and curing mode (self-curing vs. light-curing) of cement. After pretreatment, composite resin blocks were cemented with the following: (a) G-CEM LinkAce; (b) RelyX U200, followed by either self-curing or light-curing. After storage, the teeth were sectioned and ${\mu}TBS$ test was performed using a microtensile testing machine. The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one-way ANOVA, Student T-test and Scheffe's post-hoc test at P<.05 level. RESULTS. For G-CEM LinkAce cement groups, polyacrylic acid pretreatment showed the highest ${\mu}TBS$ in the self-cured group. In the light-cured group, no significant improvements were observed according to the dentin surface pretreatmen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uring modes. Both dentin surface pretreatment methods helped to increase the ${\mu}TBS$ of RelyX U200 resin cement significantly and degree of pretreatment effect was simila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regarding curing modes except control groups. In the comparisons of two self-adhesive resin cements, all groups within the same pretreatment and curing mod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excluding self-cured control groups. CONCLUSION. Selecting RelyX U200 used in this study and application of dentin surface pretreatment with EDTA and polyacrylic acid might be recommended to enhance the bond strength of cement to dentin.

Effect of irrigation protocols on smear layer removal, bond strength and nanoleakage of fiber posts using a self-adhesive resin cement

  • Rodrigo Stadler Alessi;Renata Terumi Jitumori ;Bruna Fortes Bittencourt;Giovana Mongruel Gomes ;Joao Carlos Gomes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8권3호
    • /
    • pp.28.1-28.13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application method of 2% chlorhexidine (CHX) and its influence on the adhesion of fiberglass posts cemented with a self-adhesive resin cement. Materials and Methods: Sixty human mandibular premolars were endodontically treated and divided into 5 groups (n = 12), according to the canal irrigant and its application method: 2 groups with conventional syringe irrigation (CSI)-2.5% sodium hypochlorite (NaOCl) (control) and 2% CHX- and 3 groups with 2% CHX irrigation/activation-by passive ultrasonic irrigation (PUI), Easy Clean file, and XP-Endo Finisher file. Two roots per group were evaluated for smear layer (SL) removal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or other roots, fiber posts were luted using a self-adhesive resin cement. The roots were sectioned into 6 slices for push-out bond strength (BS) (7/group) and nanoleakage (NL) (3/group). Data from SL removal were submitted to Kruskal-Wallis and Student-Newman-Keuls tests (α = 0.05). Data from BS and NL were evaluated by 2-way analysis of variance and Tukey's test (α = 0.05). Results: For SL removal and BS, the CHX irrigation/activation promoted better values than CSI with CHX (p < 0.05), but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SI with NaOCl (p > 0.05). For NL, the lowest values were obtained by the chlorhexidine irrigation/activation groups (p < 0.05). Conclusions: Active 2% CHX irrigation can be used to improve the post space cleaning and adhesion before fiber post cementation with self-adhesive resin cements.

항미생물제제를 포함한 self-etching primer로 접착한 세라믹 브라켓의 전단 결합 강도 (Shear bond strength of ceramic brackets bonded with antimicrobial monomer-containing self-etching primer)

  • 권태훈;강장미;장나영;강경화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6-24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세라믹 브라켓의 종류에 따른 항미생물제제를 포함한 self-etching primer의 전단 결합 강도 차이를 평가하고, 접착제 잔류 지수(adhesive remnant index, ARI)를 기록하여 브라켓-접착제의 파절양상을 알아보는 것이다. 인간의 발치된 치아 90개를 세라믹 브라켓의 종류(단결정 혹은 다결정)와 primer의 종류(Transbond XT primer, Transbond Plus SEP, Clearfil Protect Bond)에 따라 임의로 6개 군으로 분류하여 각 군당 15개의 치아를 할당하였다. 전단 결합 강도를 측정 후 치면에 남아 있는 접착제의 양을 평가하였다. 세 종류의 primer 모두에서 다결정 세라믹 브라켓군이 단결정 세라믹 브라켓군보다 전단 결합 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p < 0.001). 단결정과 다결정 세라믹 브라켓군 모두에서 Transbond XT primer를 이용하여 접착한 군이 Transbond Plus SEP이나 Clearfil Protect Bond를 이용하여 접착한 군보다 전단 결합 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p < 0.001). 모든 군에서 모든 접착제가 치면에 남아 있거나 90% 이상 남아 있는 브라켓-접착제 계면의 파절이 관찰되었다. 적절한 전단 결합 강도와 파절 양상을 고려하여 단결정 세라믹 브라켓과 self-etching primer 조합이 추천된다.

치아 맹출 유무에 대한 자가부식 접착제에 의한 교정용 부착장치의 접착강도 (Effects of conventional and self-etching adhesive systems on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attachments bonded to erupted and unerupted teeth)

  • Nur, Metin;Uysal, Tancan;Yesilyurt, Cemal;Bayram, Mehmet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67-275
    • /
    • 2010
  • 이번 연구의 목적은 맹출 또는 미맹출된 치아에 교정용 버튼을 부착 후 자가부식 접착제(self-etching adhesive)의 사용 유무에 대한 전단결합강도(shear bond strength)와 탈락모드를 비교하고자 함이다. 각각 84개의 맹출 또는 미맹출된 제3대구치를 사용하였다. 각각 치아의 협측면을 다음의 부착시스템 그룹으로 할당하였다. A, 기존방식: 1, Transbond XT (3M Unitek); 2, Prime & Bond NT (Dentsply/Caulk); 3, Single Bond (3M ESPE); B, 자가부식 접착제; 4, Clearfil SE Bond (Kuraray); 5, Transbond Plus (3M Unitek); 6, Clearfil S3 (Kuraray); 7, G Bond (GC). 부착물의 전단강도와 접착제 잔류지수를 측정하였으며 결과값은 ANOVA와 independent t-test 및 chi-square 검증을 통해 분석되었다. 맹출 또는 미맹출된 치아의 전단결합강도를 비교하였을 때 Clearfil SE와 G Bond에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Single Bond를 제외한 모든 접착시스템에서 맹출보다는 미맹출 치아면에서 높은 접착강도가 관찰되었다. 기존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맹출 또는 미맹출 치아에 대한 접착강도에는 차이가 없을 수 있다. 그러나 임상의사는 사용 전에 self-etching system의 종류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상아질에 대한 자가 접착 레진 시멘트의 전단결합강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shear bond strength of a self-adhesive resin luting cement to dentin)

  • 인희선;박종일;최종인;조혜원;동진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35-543
    • /
    • 2008
  • 최근의 레진 접착시스템은 단계를 줄이고 적용과정을 간편화시키는데 주력하고 있으며, 치면에 bonding 및 conditioning 과정 없이 바로 적용 가능한, one-step의 새로운 자가 접착 레진시멘트 (self-adhesive resin luting cement)들이 소개되어 임상에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자가 접착 레진시멘트와 기존의 레진시멘트의 상아질에 대한 전단 결합 강도를 비교해보고, 자가 접착 레진시멘트 적용시 치면의 식각 처리 여부가 전단 결합 강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최근 6개월 내 발치된 비교적 건전한 성인의 대구치 45개를 아크릴릭 레진으로 매몰한 다음, 800 grit SiC연마지로 연마를 시행하여 상아질을 노출시켰다. 15개의 치아를 한 군으로 하여, 세 가지 실험군으로 분류하였다. Group 1) 치면에 아무런 전처리 없이 RelyX Unicem 접착. Group 2) 치면에 인산 산부식 처리 후, RelyX Unicem 접착, Group 3) 치면에 Syntac primet + Syntac adhesive + Heliobond 처리 후 Variolink II 접착. 전처리가 완료된 치아 시편 위에 플라스틱 튜브 (직경 3 mm, 높이 3 mm)를 고정한 다음,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각 레진 시멘트를 혼합하여 링 안을 채우고, 광중합을 시행하였다. 접착이 완료된 시편은 $37^{\circ}C$ 항온수조 (증류수)에서 24시간 동안 보관 후, 만능 시험기를 이용하여 1mm/min의 cross head speed로 결합강도를 측정하였으며, 확대경 하에서 파절 양상을 분류 관찰하고,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미세구조를 관찰하였다. 측정결과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RelyX Unicem의 상아질에 대한 전단결합강도는 Variolink II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상아질에 대한 인산 산부식 처리는 RelyX Unicem과의 전단결합강도를 낮게 하였다. 3. RelyX Unicem과 Variolink II에서는 혼합 파절의 비율이 컸으며, 전단결합강도가 낮았던 인산 산부식 처리 후 RelyX Unicem을 접착한 경우에서는 전체 시편에서 접착성 파절이 관찰되었다. 결론으로 말하면, 자가 접착 레진시멘트와 기존의 레진시멘트의 상아질에 대한 전단결합강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인산 산부식 처리는 상아질에 대한 자가 접착 레진시멘트의 전단결합강도를 감소시킨다.

상아질접착제에 대한 광조사가 접착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LIGHT IRRADIATION OVER SELF-PRIMING ADHESIVE ON DENTIN BONDING)

  • 류현욱;김기옥;김성교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6권5호
    • /
    • pp.409-417
    • /
    • 2001
  • 상아질접착제의 광조사가 상아질접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in vitro에서 접착실험을 하였다. 120개의 발거된 소의 전치 협면 상아질을 노출시키고 산 부식 한 다음 self-priming형 상아질접착제 Prime&Bond$^{\circledR}$NT (Dentsply DeTrey, GmbH, Konstanz, Germany)를 도포 하였으며 600 mW/$\textrm{cm}^2$의 일반광도 또는 1930 mW/$\textrm{cm}^2$의 초고광도 광조사를 각각 20초 및 3초간 시행한 군과 시행하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복합레진 첨가후 광조사하였다. 접착제에 대한 광조사를 시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복합레진 첨가 후 초고광도로 3초, 6초 및 12초간 광조사하였다. 접착양상 평가를 위해 만능시험기로 전단접착강도를 측정하고 파단면을 입체 현미경으로 관찰한 바를 일원 및 이원 변량분석법과 카이제곱검사법으로 통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아질접착제를 광조사한 군이 광조사하지 않은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전단접 착강도를 나타내었다 (p<0.05). 2. 일반 광도 및 초고광도 광조사에 따른 전단접착강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p>0.05). 3. 상아질접착제를 광조사하지 않고 복합레진 첨가 후 초고광도로 광조사한 군간에 조사시간에 따른 전단접착강도에는 유의 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p>0.05). 4. 파단면 관찰 결과, 모든 군에서 접착계면에서의 파절을 포함하는 혼합파단양상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 PDF

레진시멘트의 종류와 특성 (Type and Characteristics of Polymer-based Luting Materials)

  • 김아진;배지명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3권3호
    • /
    • pp.178-186
    • /
    • 2015
  • Dental polymer-based luting materials are classified into esthetic resin cement, adhesive resin cement and self-adhesive resin cement. Due to the different component of each type of resin cement, the preconditioning method of tooth surface and the steps are different from each type of resin cement. The pre-treatment of adherend (ceramic, resin and metal) surface also varies with the type of resin cement and the manufacturer.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resin cement, mechanical properties, indication and advantages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se, clinical tips on using resin cements were suggested.

자착식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시트의 접착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Adhesion Property of Self Adhesive Rubberized Asphalt Waterproofing Sheet)

  • 정현상;강효진;송재영;오상근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기술논문발표대회 논문집
    • /
    • pp.1-4
    • /
    • 2005
  • This study is to examine adhesion the characteristics of self adhesive asphalt to minimize of the construction periods and the environmental problems through the performance estimation of materials to reduce waterproof problem and the long durability maintenance of building structures. This study tested the estimation items of self rubberized adhesive asphalt to examine the sheet discovered the most important problem in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 connection stability in the sheet joint. Besides, this study examined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such as tension property, tear property, temperature dependence, heat resistance, adhesion stability and so on. Test results of the separative items satisfied in the reference figure of connection stability and adhesion stability which could confirm adhesion performances and other items also satisfied in the refere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