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 awareness

검색결과 1,570건 처리시간 0.022초

사서직의 자아성찰 방안 제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for the Self-Reflection of Librarianship)

  • 임성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511-535
    • /
    • 2016
  • 본 연구는 사서의 전문성 발달과 개인적 성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자기성찰이 도서관과 문헌정보학 분야에서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최근 사서의 자기성찰에 관한 연구들이 행해지기 시작하는 단계에서 자기성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혀낼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행해진 자기성찰과 관련된 연구들을 정리해 보았다. 또한 자기성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고, 사서직들이 자기성찰을 할 때 어떠한 방식으로 해 나갈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어서 마지막으로 문헌정보학계 내에서 자기성찰 함양을 위해 행해져야 할 영역들에 대해 제안하였다.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분류군 별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자기통제력을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on Smartphone Addiction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Addiction-risk Groups among College Students: A Focus on Self-control)

  • 장인순;박승미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34-643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on smartphone addiction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addiction-risk groups among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self-control. Methods: A sample of 242 college students at K University in Seoul was recruit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 structured questionnaire composed of items for the self-rated smartphone addiction scale and self-control scale was used to collect data. Results: The number of students in smartphone addiction-risk group was 66 (27.3%). This study had 17.5% of the explanatory power, including perceived smartphone necessity (${\beta}=.330$, p=.007), and instant self-control (${\beta}=-.281$, p=.028) in addiction-risk group. Whereas, in non-risk group, the affecting factors included gender (${\beta}=.194$, p=.004), self-awareness of addiction (${\beta}=-.290$, p<.001), and instant self-control (${\beta}=-.281$, p<.001) with 31.3% of the explanatory power. Conclusion: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 intervention program to prevent the addiction of smartphones and to improve self-control among college students.

일 병원 제2형 당뇨병환자의 자가혈당검사 수행 및 활용 실태 (A Study on the Performance and Utilization of Results of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in Type Ⅱ Diabetes)

  • 하정미;김동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330-338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erformance of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and the utilization of results for people with type II diabetes. Method: Data was collected from 177 patients with type II diabetes using a questionnaire from August to September, 2009. Result: Most participants performed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in the correct way while some misused the lancet or test strips. In the utilization of results for self-monitoring blood glucose data, 62% of participants always recorded the data, 46% always understood the cause for hyperglycemia or hypoglycemia, 25% changed their diet, 23% regulated their exercise-amount, and 11% of participants adjusted the drug dosa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formance of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and the utilization of resul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in the self-monitoring subjects such as awareness of HbA1c, target fasting glucose level, target fasting glucose level 2 hours after meal etc. Conclusion: Systemic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education which includes the utilization of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needs to be developed for type II diabetic patients.

Relationship of Smoking with Self-perceived Health and Selected Health Behaviors

  • Choi Eun-Jin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5-49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variables associated with smoking and selected health behaviors. This study targeted adult men and women over 20 of age. The sample population was drawn from the national sample, and the samples were chosen from the telephone book. A total of 1,500 cases were collected through a telephone based interview survey. As a tool for this study,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he variables included self-perceived health status, and selected 7 health behaviors; smoking behavior, physical activities, eating habit, weight control, alcohol consumption, stress management, and cancer exam. The healthy life practice actions of Trans-theoretical model have been classified into five stages. Smokers were more likely than non-smokers to positive attitudes toward smoking and the impact of smoking in this study. This means that smokers's awareness toward the impact of smoking is very week. Smoking behavior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other health related behaviors based on the correlation analysis. However, gender, engaging in regular physical activities, moderate consumption of alcoholic beverages, and receiving a cancer examination were the variables that can explain and predict a person's stages of adopting a non-smoking behavior. Self perceived health status was closely related to other health behaviors. Gender, age,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were important demographic variables that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self-perceived health status. Among the health behaviors, regular physical activities and weight control were significant predictable variables. Similar results have been found in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Korea.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among the selected health behaviors, engaging in physical activity was an important variable to increase positive sense of health and non-smoking behaviors. Educational and policy level input is needed to increase awareness and provide chances to participate in fitness activities. To those who maintain exercise, the environmental support and diffusion of knowledge information and education data should be strengthened. To change attitudes toward smoking, more in-dept awareness campaign and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according to people's different behavioral status. In addition, not only diffusing health education data and delivering knowledge information through related programs, but also environmental support system that helps an individual maintain his/her action is required. Such a support system means settlement of the health enhancement base of school, workplace and community should be carried out, and the policy level support and regular programs should be provided and spread to the unit of community.

유니폼의 감염인식, 세탁 규정 인식, 감염병 예방 의도에 관한 융합연구: 개인주의, 집단주의, 자아존중감 중심으로 (Convergence Research on Infection Awareness of Uniforms, Recognition of Laundry Rules, and Intention to Prevent Infectious Diseases: Focusing on Individualism, Collectivism, and Self-esteem)

  • 손은교;박일순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3호
    • /
    • pp.139-148
    • /
    • 2023
  • 본 연구는 강원도 일개 대학 4년제 치위생학과 276명을 대상으로 2021년 11월 24일부터 11월 26일까지 구글 온라인설문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니폼의 감염인식과 세탁 규정 인식, 감염병 예방 의도를 개인주의 및 집단주의 자아존중감을 통해 알아보는 것으로, 향후 감염병 시기에 학생의 감염 교육 방법 모색을 위해 시행되었다. 통계는 SPSS Statistics 24.0, AMOS 21.0을 사용하여 빈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구조방정식, ANOVA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유니폼 감염인식, 유니폼 세탁 규정 인식, 자아존중감, 개인주의, 집단주의 감염병 예방 의도의 모형이 적합함을 확인하였고(p<.001), 구조방정식 결과 자아존중감은 개인주의, 집단주의 감염병 예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집단주의는 유니폼 감염인식, 유니폼 세탁 규정 인식, 감염병 예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감염예방을 위한 인식 변화에 자아존중감과 집단주의가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치위생학과의 감염관리 교육시 집단주의를 고려한 유니폼 세탁 방법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마이데이터 서비스 이용을 위한 개인정보제공 동기 요인: 개인정보자기결정권 인지 수준의 조절효과 (Motivating Factors for Providing Personal Data in MyData Services: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Personal Information Self-Determination)

  • 김현정;권수현;최정우;김범수
    • 지식경영연구
    • /
    • 제25권2호
    • /
    • pp.219-243
    • /
    • 2024
  • 본 연구는 데이터 경제에서 중요한 마이데이터 서비스의 효과적 활용 및 확산에 기여하고자 프라이버시 우려, 지각된 유용성, 개인정보자기결정권 인식의 영향을 분석한다. 가치기반수용모델과 프라이버시 계산이론을 통합하여, 지각된 유용성, 프라이버시 우려, 신뢰, 개인혁신성이 지각된 가치, 지각된 프라이버시 및 개인정보 제공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 연구는 마이데이터 서비스 이용자 및 이용예정자 442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분석은 SmartPLS 4를 활용한 PLS-SEM 및 Bootstrapping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지각된 유용성은 개인정보 제공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프라이버시 우려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신뢰와 개인혁신성은 마이데이터 서비스 수용 의도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였고, 개인정보자기결정권 인식은 이러한 의도에 대한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연구 결과는 마이데이터 서비스의 성공적 도입을 위해 이용자의 프라이버시 우려를 완화하고 신뢰를 구축할 수 있는 유용한 서비스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개인정보자기결정권에 대한 인식 제고를 위한 교육 및 홍보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전통시장 상인들의 저탄소 녹색성장에 대한 인식과 조직몰입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Awareness on Low Carbon Green Growth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Focused on the Traditional Retailers)

  • 양회창;김성일;박영호;이상남
    • 유통과학연구
    • /
    • 제9권3호
    • /
    • pp.37-46
    • /
    • 2011
  • 유통시장의 개방과 함께 국내·외 유통기업들의 진출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유통업태들과의 경쟁으로 인해 전통시장은 심각한 문제들에 봉착하게 되었다. 전통시장의 생존을 위해 그간 정부는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였고, 학자들도 문제 해결을 위한 많은 연구결과를 발표하였으나 불행하게도 그 결과들은 아직 만족스럽지 못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의 도입과 관련하여 전통시장의 생존과 유지·발전을 위한 새로운 관점으로 접근하였다. 먼저 전통시장의 생존과 유지·발전을 위해서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에 대한 이해가 필요할 것이라는 가정아래 먼저 전통시장 상인들의 저탄소 녹색성장에 대한 인지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전통시장을 발전시키기 위한 키워드로 상인들의 조직몰입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태도변수로 정부정책에 대한 신뢰와 상인들의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여 변수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흥미롭게도 전통시장 상인들의 인구통계적 특성(예를 들어 기성세대와 젊은 세대의 세대별 양극화 현상과 학력차이)이 구별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전통시장 상인들의 세대차와 학력차이로 인한 변수들의 평균값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반적으로 기성세대 상인들의 녹색성장인식, 정부정책신뢰,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의 정도는 젊은 세대 상인들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녹색성장인식(F = 9.964, p<.05), 자기효능감(F = 5.532, p<.05) 그리고 조직몰입(F = 5.697, p<.05)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학력차의 경우에도 고학력 상인들이 학력이 낮은 상인들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은 평균값을 보였다. 구체적으로는 고학력 상인들의 녹색성장인식(F = 8.564, p<.005)과 자기효능감(F = 6.754, p<.005)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정부가 정책을 실현함에 있어 상인들의 인구통계적 특성도 중요한 요인이 될 것임을 반영하고 있다. 연구결과 1) 상인들의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에 대한 인식이 높으면 전통시장에 대한 조직몰입의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을 알 수 있었고, 2) 녹색성장 정책의 인식과 조직몰입간의 관계에 있어 상인들의 정책신뢰가 조절하고 있음과 3) 상인들이 스스로 해낼 수 있다는 신념인 자기효능감은 둘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정책신뢰가 녹색성장 정책의 인식과 조직몰입간의 관계를 조절한다는 뜻은 상인들이 정책를 신뢰할 수 있는 어떤 단서가 있어야 함을 의미하며, 자기효능감의 완전매개는 전통시장 상인들이 스스로 전통시장을 활성화할 수 있을것이라는 신념을 스스로 가질 수 있도록 정부가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말미에는 이 연구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영향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청소년기 학교폭력 경험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가족 내 사회자본 조절효과 - (Influence of school violence experience on self-identity of adolescents: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family social capital)

  • 박재은;유난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95-11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 학교폭력 경험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학교폭력 경험과 자아정체감의 관계에서 가족 내 사회자본에 따른 조절효과가 있는 지 분석하는 데 있다. 분석을 위해 한국아동 청소년패널(KCYPS) 중에서 중1패널 3차년도(2012)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통계프로그램은 IBM SPSS Statistics 22.0 version이었으며, 기술통계, 피어슨 상관 계수, 독립 t검정,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정체감과 학교폭력 경험(비행가해 및 피해), 가족 내 사회자본(부모의 관심애정 및 친구인지)의 평균을 분석한 결과 자아정체감, 가족 내 사회자본 하위요인인 부모의 관심애정과 친구인지는 평균보다 다소 높았고, 학교폭력 경험 하위요인인 비행 가해경험과 피해경험은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자아정체감, 학교폭력 경험(비행가해 및 피해), 가족 내 사회자본(부모의 관심애정 및 친구인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비행피해, 부모의 관심애정, 부모의 친구인지가 자아정체감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귀 분석 결과 통제변수 중에서는 성별, 모친의 최종학력, 또래애착이 자아정체감의 영향력을 높이며 유의미하였고, 학교폭력 경험 하위요인인 비행가해는 정적 관계로, 비행피해는 부적 관계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졌으며, 가족 내 사회자본의 하위요인인 부모의 관심애정과 친구인지도 모두 정적 관계로 자아정체감의 영향력을 높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넷째, 학교폭력 경험(비행가해 및 피해)과 자아정체감의 관계에서 가족 내 사회자본(부모의 관심애정 및 친구인지)의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결과 비행가해에 대한 부모의 관심애정, 비행가해에 대한 부모의 친구인지, 비행피해에 대한 부모의 친구인지의 상호작용항을 투입했을 때는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비행피해와 부모의 관심애정 상호작용 항을 투입했을 때는 부(-)의 상호작용 효과로 나타났다.

청년세대의 공정성 인식이 무망감에 미치는 영향: 통제감의 매개효과와 자존감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Young Generation's Fairness Perception on Hopelessness: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Control and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 안계한;김민희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6권4호
    • /
    • pp.457-47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세대가 겪고 있는 미래에 대한 희망 없음이 사회적 관심으로 커져가고 있는 현시점에서 청년세대의 공정성 인식이 무망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청년세대의 공정성 인식과 무망감의 관계에서 통제감의 매개효과와 자존감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청년세대인 20-30대 313명의 청년을 대상으로 자기보고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정성 인식은 통제감, 자존감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무망감은 공정성 인식, 통제감, 자존감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공정성 인식과 무망감의 관계를 통제감이 매개하였다. 셋째, 공정성 인식과 무망감의 관계를 자존감이 조절하였다. 높은 자존감 집단은 공정성 인식에 따른 무망감의 변화가 적은 반면 낮은 자존감 집단은 공정성의 인식에 따른 무망감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공정성 인식이 낮을 때 높은 자존감이 무망감을 완화하는 역할을 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년세대의 무망감을 낮추어 정신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계획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펠든크라이스 기법®을 적용한 신체 움직임 프로그램 설계 - 파킨슨병 환자를 중심으로 (Design of Body Movement Program with the Application of Feldenkrais Method® - Foucing on Parkinson's Disease)

  • 박소정
    • 트랜스-
    • /
    • 제14권
    • /
    • pp.35-63
    • /
    • 2023
  • 파킨슨병은 신체 움직임을 담당하는 도파민의 부족으로 신체 기능의 장애로 기본적인 일상생활까지 영향을 미치는 퇴행성 신경질환이다. 현재 의술로는 완치가 힘들어 병의 지연과 예방 차원으로 운동치료에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펠든크라이스 기법®을 파킨슨병 환자에게 적용하여 심신의 상태를 스스로 돌볼 수 있는 신체 움직임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보급하는데 목적을 갖는다. 펠든크라이스 기법®은 신체 움직임을 이용한 심신 자각 학습 방법으로 신경가소성의 기능인 뇌와 행동을 연결하여 신경계를 재교육하는 방법론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개발하고 검증한 신체 움직임 프로그램을 펠든크라이스 기법®의 자각(⾃覺)에 초점을 맞추어 수정·보완하였다. 24회기의 신체 움직임 프로그램은 파킨슨병 환자의 자기관리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5단계로 구성하였다. 첫 번째 단계는 자기 인식이고 두 번째 단계는 자기 관찰이다. 셋째, 자기조직화, 넷째, 자기 통제. 그리고 다섯 번째 단계는 자기 관리다. 전반적인 변화는 자신의 상태를 인식하고 내적 감각과 외적 환경의 변화를 감지하는 능력을 향상시킨다. 결론적으로 파킨슨병 환자에게 심신 기능의 향상과 자기관리가 가능한 신체 움직임 프로그램을 펠든크라이스 기법을 적용하여 설계하였다. 앞으로 설계된 프로그램을 현장 적용 가능성 여부는 후속과제로 남긴다. 나아가 노년층의 웰니스를 위한 움직임의 참고자료로 메타버스를 적용한 과학분야와의 융합적 협력을 통해 보다 폭넓게 확산될 수 있도록 체계적 구조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