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 Esteem

검색결과 3,228건 처리시간 0.031초

재가노인의 일상생활기능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of Elderly Home Residents)

  • 문명자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6-57
    • /
    • 2001
  •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of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 and quality of life and their relationships between the elderly. Data were collected from 150 elderly home resi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1st to December 20th, 2000. Structured questionnaires developed by Lawton & Brody and by Ro were adopted to measure IADL and Quality of life. Data were analyzed for percentage, means, t-test, ANOVA and P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using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of the level of IADL was $20.68{\pm}2.98$ ($M{\pm}SD$) with a range of 7-26. 2. The average score of the level of Quality of life was 2. $96{\pm}0.25$ ($M{\pm}SD$). In the average score of each lower area, highest score was 3.22 for neighbor relationship and family relationship and then 3.00 for self-esteem, 2.95 for economic status, 2.86 for emotional status, and 2.85, lowest score, for physical condition and function. 3. Comparing IADL and Quality of life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IADL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t=2.927, p=0.036) and separated children contact frequency(t=2.482, p=0.046), while Quality of life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spouse existence(t=2.334, p=0.021), religion(t=4.089, p=0.008), family style(t=3.285, p=0.040), children number living together(t=5.332, p=0.006), communication with separated children frequency(t=4.129, p=0.003), and separated children contact frequency(t=3.908, p=0.005). 4. There was also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ADL and Quality of life. The above results show that neighbor relationship and family relationship which have greatly an influence on IADL and Quality of life are very important. The elderly should be helped to satisfy their basic desire and show their potential living together with the younger generation interdependently without being isolated from family and society. Therefore, the nursing strategy that enhance IADL and Quality of life are needed and the nursing strategy that can improve IADL and Quality of life of Elderly Home Residents should be developed.

  • PDF

기혼교사의 노부모부양의식과 부양행동 (Consciousness and behavior of married-teachers to support their aged parents)

  • 최정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71-184
    • /
    • 2007
  • 이 연구는 기혼교사들의 노부모부양의식과 부양행동 및 관련변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경남지역의 중등 기혼교사 293명이며,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기혼교사의 노부모부양의식은 5점 만점에 평균 3.98점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기혼교사의 노부모부양의식에 유의한 관련변인은 성별, 부모와의 물리적 거리, 가족가치관 등으로 나타났다. 2. 기혼교사의 노부모부양행동은 4점 만점에 3.07로서 보통수준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기혼교사의 노부모부양행동에 유의한 관련변인은 자녀수, 부모와의 물리적 거리, 부모의 경제상태, 자아존중감 등으로 나타났다. 3. 기혼교사의 노부모부양의식과 노부모부양행동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4. 기혼교사의 노부모부양행동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은 부양의식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기혼교사의 노부모부양의식은 높게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노부모부양행동도 보통수준이상으로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노인문제가 심화된 사회를 살아갈 학생을 가르치는 교사로서 노부모부양의식이나 부양행동이 좀 더 강화되어 학생들에게 바람직한 노부모부양 가치관을 심어주었으면 한다.

  • PDF

공공보건조직에서의 방문간호사업모형개발 : 보건진료소 방문간호사업 (Development of a Home Health Care Model in the Public Health System -Visiting Health Service by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 한경자;박성애;하양숙;윤순녕;송미순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472-484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home health care model in the public health system and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model. Seven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in Yon- Cheon county. Kyunggi province, carried out home health care service for this research. The subjects of the home health care were a total of 111 community residents with chronic health problems and risk-prone infants and children; 29 persons with hypertension, 18 persons with diabetes, 12 persons with neurologic problems, 12 elderly, and 40 infants and children. During the period of study, from December, 1993 to March, 1995, a demonstrative home health care model was developed in the Yon-Cheon County community health centers with the cooperation of the Yon-Cheon Medical Center and Yon-Cheon Public Health Center for the first six months. A home care practice manual and recording system for home visits were also co-developed by the researchers and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Four workshops and monthly conferences were held for this purpose. Actual home care practice took place for two months, and on-going evaluation and replanning accompanied this process. The result of the evaluation of home care service were as follows. 1) For persons with hypertension, diabetes, neurologic problems,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in knowledge of disease and care,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seen in health behavior or symptoms after home care service. 2)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seen in level of self esteem or depression after reminiscence therapy among 12 elderly subjects.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tis-faction toward child rearing and parental sup-port,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 needs for parental role after home care service among parents of infants and children. 4)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 subjects after the home care service. 5) Subjects responded that they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home care service given by the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Although, the actual implementation period was very short, and not all of the evaluation outcome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the home health care model of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was, in general, positively evaluated. Through this re-search, the possibility of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working as active home care personnel in the public health care system is supported. Further research with an expanded area and subjects for a longer period is recommended. Cost effectiveness research is also needed.

  • PDF

소아청소년 정신과 영역에서의 새로운 약물치료:새로운 장기작용형 중추신경자극제 (NEW DRUG THERAPY IN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NEW LONG-ACTING PSYCHOSTIMULANTS)

  • 최성구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4권1호
    • /
    • pp.3-11
    • /
    • 2003
  •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는 소아 청소년기의 가장 흔한 정신 장애이다. 이 장애의 기본 증상 및 이차 증상으로 인하여 본 장애를 가진 아동들은 학교 생활의 어려움, 학업성취도의 저하, 가족이나 친구관계 등 대인관계의 문제를 보이며, 장애가 적절하게 치료되지 않으면, 우울증과 같은 이차적인 정신장애로 발전하기도 하며, 물질남용, 행동장애, 반사회적 인격장애 등과 같은 장애와도 연관되어 있다. 현재까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치료로 가장 선호되는 것은 메칠페니데이트나 암페타민 등의 중추신경자 극제이다. 이들 약제의 작용기전은 여전히 불분명한 부분도 있으나, 대체적으로 뇌에서 도파민 등의 카테콜아민 농도를 증가시켜서 시냅스 효율을 높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효과 측면에서도 정신약물학 분야에서 본 중추신경자극제에 의한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의 치료는 정신질환의 어떤 치료법보다도 효과적이다. 지금까지 중추신경자극제의 최대 단점은 짧은 작용시간으로 인하여 하루에도 여러 차례 복용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본 약제를 복용하는 아동들은 동료로 부터 문제아로 낙인이 찍힐 가능성이 높으며, 낮은 약물 순응도, 사회적 편견 등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았다. 이로 인하여 중추신경자극제의 장기 제형 개발은 꾸준히 시도되었고, 최근에는 본 장애의 병태생리에 대한 새로운 연구결과를 반영한 보다 진보된 형태의 장기 작용형 중추신경자극제가 등장하였다. 본 고찰에서는 이들 제형들의 특징을 소개하였다. 이들 새로운 제형의 중추신경자극제들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를 가진 아동 뿐만 아니라 장애아의 부모나 학교 교사에도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패션제품 중독구매성향이 구매 후 감정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ddictive Shopping Orientation on Post-purchase Emotions and Behaviors)

  • 이진화;이정오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0권4호
    • /
    • pp.195-227
    • /
    • 2011
  • 본 연구는 '과연 소비자의 중독구매성향은 일반적인 소비에서 예상되는 구매 이후 감정 및 행동패턴에 또다른 영향으로 작용할 것인가' 라는 질문에 관심을 가지고 접근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우리나라 패션제품 소비자의 쇼핑 중독구매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을 살펴보고, 둘째, 중독구매성향이 패션제품 구매 후 감정(긍정적 감정/부정적 감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며, 셋째, 구매후 감정이 구매 후 행동(재구매/반품 및 교환/부정적 구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넷째, 중독구매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과 중독구매 성향이 구매 후 감정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유통채널(온라인/오프라인) 별로 차이가 있는 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개인의 심리적 요인 중 자아 존중감이 낮고, 보상구매성향과 충동성이 높은 사람일수록 중독구매성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독구매성향은 구매후의 양면적(긍정적, 부정적) 감정에 모두 영향을 미치고, 특히 오프라인의 경우 긍정적 감정을 수반하는 것이 밝혀졌다. 구매 후 감정은 일반적인 소비상황과 같이 구매 후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부정적 감정의 영향이 긍정적 감정의 영향보다 크고, 또한 긍정적, 부정적 행동에 모두 명확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혔다는 점을 찾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중독구매성향에 초점을 맞추고, 중독구매성향이 구매 후 감정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최초로 연구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PDF

사회복지 가치를 매개로 한 사회복지 교육과 옹호 태도 및 전략의 인과관계 분석 (A Study of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Work Education and Advocac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Work Values)

  • 전선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4호
    • /
    • pp.35-65
    • /
    • 2005
  • 본 연구는 사회복지 교육이 사회복지 가치의 형성과 사회복지 옹호실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또한 사회복지 옹호실천에 대한 사회복지 교육의 직접효과뿐 아니라 사회복지 가치를 매개로 한 간접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사회복지 옹호 실천에 있어서의 사회복지 가치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조사대상자는 2004년에 서울과 경기지역의 사회복지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242명의 사회복지사이며, 조사도구로는 사회복지 옹호태도, 사회복지 옹호전략, 사회복지 교육성과, 사회복지 가치, 자존감, 통제소재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1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피어슨의 상관관계,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옹호실천을 높이기 위해서는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실천론, 정책론, 조사론 및 실습 등의 기본적 방법론을 충실히 하는 것과 사회적 차원의 사회복지가치의 함양이 중요하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기존에 이루어지고 있는 사회복지 교육과정의 전반적인 재검토와 개인적 차원에 머무르고 있는 사회복지 가치의 체계를 사회적 차원으로 확대하고자 하는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PDF

생애주기별 우울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성년, 중년, 노년층의 3세대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Entry of Depression by Life Cycle -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the Three Generations of Adulthood, Middle Age and Old Age -)

  • 정준수;이혜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9권2호
    • /
    • pp.117-14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우울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세대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생애 주기별 우울 예방의 실천적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의 3~10차 조사 자료를 결합하여, 성년층과 중년층, 노년층의 우울진입 영향요인을 이산시간위험모델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3세대 공통적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수입 만족도와 가족관계 만족도가 낮을수록 우울진입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세대별로 차이를 나타낸 변수는 연령과 교육수준, 건강상태, 만성질환유무, 취업여부, 권역별지역, 여가생활 만족도였다. 성년(20~39세)의 경우 나이가 적을수록,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에, 미취업자가 취업자보다 우울진입 가능성이 높다. 반면 중년층(40~64세)의 경우 나이가 많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에, 만성질환이 없는 경우에, 여가생활 만족도가 낮은 경우에 우울진입 가능성이 높다. 마지막으로 노년층(65세 이상)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에, 도농 복합군이 서울보다, 여가생활 만족도가 낮을수록 우울진입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울진입을 예방하기 위해 세대별로 드러난 특성이 반영된 지원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 PDF

일 농촌지역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in Rural Areas)

  • 강경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75-384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mount of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perceived by elderly people in rural area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in an effort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enhance quality of life among elderly people. Data were collected from a sample of 220 elderly people aged over 60 from a stratified probability method from one rural area in South Jeolla province from Aug. 15 to Sep. 15, 2002. For data collection, pre-educated researchers visited the participants' homes and surveyed them face-to-face.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AS program along with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most socially supportive people they answered were Spouses (57.28%), followed by children, friends/neighbors, in descending order. In terms of satisfaction about social support, the subjects felt the most satisfaction from spouses, followed by friends/neighbors, children, in descending order. 2. The participants' perceived social support was 26.0 and the highest score was 108.0 out of 125. Also, the average score and average grade point was 81.7 and 3.35, respectively. A comparison of the average grade points per items within sub-areas of social support revealed financial aid(3.56), informative support(3.34), emotional support (3.27), and evaluation support(3.22). 3. Their perceived social suppor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how much they earned (F=18.56, p= .00001) and whether they had family members living together (F=2.68, p= .0512), quality of lif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how much they earned (F=35.34, p= 0.00001). 4. The quality of life they perceived was the lowest score 47.0, the highest score 196.0, average score 145.7, and average grade points 3.28. A comparison of the average grade points per items within sub-areas of quality of life revealed neighbor relationships(3.97), self-esteem(3.49), family relationships(3.35), economic conditions 3.12), physical health (2.98), and psychological health(2.74). 5.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the subjects'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r=.696, p< .001). The findings revealed that social support for elderly people in rural areas was a greatly effective factor on their quality, of life. Also, it was shown that the larger the social support for the elderly, the greater the quality of life for th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oster geriatric nurse specialists and develop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connected with health care and social wellbeing in order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people in rural areas. Al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effective models for community and its applications, which will playa leading role for elderly people.

  • PDF

한국 갱년기 여성의 간울과 내장비만의 상관성 (Correlation between Visceral Adipose Tissue and Stagnation of the Liver Qi (gan-yu, 肝鬱) in Korean Perimenopausal Women)

  • 황미자;정석희;황덕상;송미연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43-156
    • /
    • 2008
  • 목적 : 갱년기 여성은 내장비만의 위험이 높으며 또한 심리적 변화를 겪는 시기이다. 갱년기 여성의 복부지방, 내장지방, 피하지방 및 이와 관련된 단순비만지표, 간울증, 스트레스, 우울, 자존감 등을 조사하여 갱년기 건강의 위협이 되는 신체 심리 인자를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병원공고를 통해 체질량지수 $23kg/m^2$ 이상 비흡연자인 만 45세 이상 55세 이하의 폐경 전후의 갱년기 여성 환자를 모집하여 2007년 8월 20일부터 24일까지 47명이 모집되었으며 이중 체질량지수 $25kg/m^2$ 이상이면서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 상 내장지방이 $100cm^2$ 이상인 20명의 단순비만지표, 체성분검사, 혈액검사,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 및 한방비만변증 (간울) 및 스트레스, 우울, 자존감 설문검사 결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경희대학교 동서신의학병원의 임상연구심사위원회의 승인을 받았다. 결과 : 1. 갱년기 비만여성에서 복부지방 면적, 피하지방 면적은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허리둘레/신장비 등의 단순비만지표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인 반면 (p < 0.01), 내장지방 면적은 단순비만지표와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2. 내장지방 면적은 사회 재적응 평가척도 (${\gamma}=0.577$, p < 0.01)와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고, 선형회귀분석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VAT(cm^2)=116.1+0.101{\times}(SRRS\;score)$ (${\gamma}^2=0.332$) 3. 피하지방은 식이태도 점수와, 총복부지방은 식이태도 점수 및 갱년기지수 중 혈관운동증상과 상관성이 있었다. 4. 간울증은 스트레스 반응척도, 우울지수, 갱년기지수 및 그 하부항목 중 혈관운동, 정신, 운동, 소화, 전신증상과 양의 상관성을, 자존감척도와는 음의 상관성을 나타냈으며, 내장지방과 직접적인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 간울증은 높은 스트레스, 우울, 갱년기 증상 및 낮은 자존감과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경전후 비만여성에서 내장지방 면적은 간울증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생활 스트레스 사건이 많을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갱년기 여성 내장비만에서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가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임상적 연계성 및 설문 보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청소년의 이성교제 여부 변화와 관련 요인 (Changes in Romantic Relationship Engagement of Korean Adolescents)

  • 정유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660-671
    • /
    • 2017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연령에 따른 이성교제 여부 변화와 이와 관련된 개인적 특성 및 가족과 학교의 특성을 살펴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아동청소년 패널 원자료에서 중학교 1학년 코호트 자료 제 3차(2012년)~제 5차(2014년) 자료의 일부분을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포함된 대상자수는 총 1,961명이었다. 패널로짓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청소년들은 이성교제를 할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남자 청소년이 여자청소년에 비해, 자아존중감이 높은 청소년은 낮은 청소년에 비해 이성교제를 할 확률이 높았다. 그러나 부모의 애정적 양육행동, 이성형제 유무, 가구 소득과 같은 가족 특성은 연구 대상자의 이성교제 참여 확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와 달리 학교 특성은 이성교제 확률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남녀공학에 재학 중인 청소년이 그렇지 않은 청소년보다 이성교제를 할 확률이 높았다. 또한 학업과 학교 규칙 적응 정도는 이성교제 확률을 감소시켰으며, 이와 대조적으로 교우와 교사와의 긍정적인 관계는 그 확률을 증가시켰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이성교제 활성화를 위한 제언과 본 연구의 한계점, 그리고 추후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