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ciousness and behavior of married-teachers to support their aged parents

기혼교사의 노부모부양의식과 부양행동

  • Choi, Jeong-Hye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최정혜 (경상대학교 가정교육과, 경상대학교 교육연구원)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consciousness and behavior of married-teachers to support their aged-parent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239 married-teachers, in the Gyeongnam area, Korea, living with at least one of their old-parents.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SPSS/WIN programs including frequencie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Degree of consciousness in supporting married-teachers' aged parents was 3.98 on a scale of 0-5.0. The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the results were sex, living-distance, and familism. 2) Degree of behavior in supporting married-teachers' aged parents was 3.07 on a scale of 0-4.0. The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the results were number of child, living-distance, economic level of aged parents, and self-esteem. 3) There wa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ciousness and behavior of married-teachers to support their aged-parents. 4)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most effective variable of the married-teachers' behavior for supporting aged-parents was supporting consciousness.

이 연구는 기혼교사들의 노부모부양의식과 부양행동 및 관련변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경남지역의 중등 기혼교사 293명이며,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기혼교사의 노부모부양의식은 5점 만점에 평균 3.98점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기혼교사의 노부모부양의식에 유의한 관련변인은 성별, 부모와의 물리적 거리, 가족가치관 등으로 나타났다. 2. 기혼교사의 노부모부양행동은 4점 만점에 3.07로서 보통수준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기혼교사의 노부모부양행동에 유의한 관련변인은 자녀수, 부모와의 물리적 거리, 부모의 경제상태, 자아존중감 등으로 나타났다. 3. 기혼교사의 노부모부양의식과 노부모부양행동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4. 기혼교사의 노부모부양행동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은 부양의식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기혼교사의 노부모부양의식은 높게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노부모부양행동도 보통수준이상으로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노인문제가 심화된 사회를 살아갈 학생을 가르치는 교사로서 노부모부양의식이나 부양행동이 좀 더 강화되어 학생들에게 바람직한 노부모부양 가치관을 심어주었으면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