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ective

검색결과 8,046건 처리시간 0.031초

랫드 회장 종주근의 비아드레날린 비콜린성 신경에 의한 수축반응 (Nonadrenergic Noncholinergic Nerve-mediated Contraction of the Longitudinal Muscle of Rat Ileum)

  • 김태완;나준호;성태식;강정우;양일석;한호재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405-414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role of tachykinins (TK) in mediating nonadrenergic noncholinergic (NANC) contractions produced by electrical field stimulation (EFS) in the longitudinal muscle of the rat ileum. In the presence of atropine ($1{\mu}M$), guanethidine ($5{\mu}M$), and L-nitroarginine (L-NNA, $200{\mu}M$), EFS (0.5ms pulse duration, 120 V, 1-20 Hz for 2 min) produced a frequency-dependent slowly-developing tonic contraction with superimposed phasic contractions ('on'-contraction) followed by off slowly-decreasing tonic and superimposed phasic contractions ('off'-contraction) of mucosa-free longitudinal oriented muscle strip. These EFS induced responses were blocked by tetrotoxin. $NK_1$ receptor selective antagonist L-732,138 strongly inhibited the EFS-induced excitatory responses. However $NK_2$ receptor selective antagonist, GR 159897 and $NK_3$ receptor selective antagonist SB 222200 did not significantly inhibited the responses. $NK_1$ receptor selective agonist [$Sar^9$,$Met(O_2)^{11}$] Substance P and $NK_2$ receptor selective agonist [${\beta}-Ala^8$]-neurokinin A (4-10) induced tonic contraction with superimposed phasic contractions of longitudinal oriented muscle strip and almost blocked by selective antagonist L-732,138 and GR 159897, respectively. But $NK_3$ receptor selective agonist senktide did not showed any effect. Nifedipine ($1{\mu}M$) abolished the contraction produced either by EFS or by the TK receptor agonists [$Sar^9$,$Met(O_2)^{11}$] Substance P or [${\beta}-Ala^8$]-neurokinin A (4-10). It is concluded that, in the longitudinal muscle of rat ileum, both $NK_1$ and $NK_2$ receptors modulated the responses to exogenous tachykinins, whereas $NK_1$ is mainly involved in NANC neuromuscular contraction.

주요 식중독균 분리용 선택배지의 타당성 연구 (Evaluation of Selective Media for Isolation of Foodborne Bacteria)

  • 조서희;하지형;김근성;심영환;권기성;한정아;황인균;하상도;오덕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88-394
    • /
    • 2007
  • 본 연구는 현행 식품공전상 제시되어 있는 식중독균 분리배지의 평가를 위해 Salmonella spp.,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Vibrio parahaemolyticus, Staphylococcus aureus의 5가지 식중독세균용 29가지 분리 선택배지를 Broth와 Food에서 시험하였다. Food는 닭고기, 쌀, 돼지고기, 고등어를 대상으로 5가지 식중독균을 접종후 균주의 recovery를 확인하였고. Broth는 5가지 식중독세균용 29가지 분리 선택배지를 사용하였다. Broth에서는 각 세정균에 대한 분리배지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P<0.05), Food에서는 그 차가 크지는 않았으나, 분리선택배지간의 분리능에 통계적 유의차가 존재하였다. 식품공전에 등재된 전통적인 분리 선택배지에서 분리된 균수가 Chromogenic 배지 등 새로운 선택배지에서 분리된 균수보다 많았다. 국제적으로 등재된 배지간의 선택성의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추후 다양한 배지가 식품공전에 등재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식품으로부터 쉬겔라 검출을 위한 분리배지 비교 (Comparison of Selective Media for Isolation and Detection of Shigella spp. from Foods)

  • 인예원;하수정;오세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7호
    • /
    • pp.1025-1031
    • /
    • 2011
  • 본 연구는 식품으로부터 Shigella spp.를 검출하기 위해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분리배지를 대상으로 분리 성능을 비교하였다. MAC, SSA, DCA, XLD, HEA와 CHROMagar 총 6개의 분리배지를 대상으로 비교하였다. 일반 Shigella spp. 에 대한 성장은 MAC에서 TSA와 비슷한 수준 균수를 보였고 DCA에서 낮은 균수로 측정되었다. 소고기, 돼지고기, 새우를 대상으로 한 회수실험은 S. sonnei가 CHROMagar에서 성장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양상추와 양배추에서는 S. sonnei가 SSA에서의 성장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식품 상재균은 소고기, 새우, 양배추에서 전체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측정되었으나 각 배지에서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p>0.05). 열 스트레스를 받은 S. sonnei는 MAC, SSA에서만 성장하였다. Enterobacteriaceae를 대상으로 한 선택성 측정 결과 HEA가 가장 높은 선택성을 나타내었다. Morganella spp.는 각 분리배지에서 Shigella spp.와 구분되지 못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배지는 각각의 조건에 따라 분리되는 특성이 상이하므로 식품에서 분리배지를 이용하여 Shigella spp.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 분리 균의 상태에 따라 분리배지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