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ling blight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2초

참깨발병 품종저항성 검정방법 연구 (An Evaluation Method for Sesame (Sesamum indicum L.) Resistance to Phytophthora nicotianae var. parasitica)

  • Seong Ho, Choi;Eui Kyoo, Cho;Young Am, Chae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73-180
    • /
    • 1987
  • 본 시험은 참깨 발병(병원균 : Phytophthora nicotianae var. parasitica)에 대한 품종저항성 검정방법 확립을 위해 실시하였다. 공식작물의 묘령, 접종방법, 토양수분상태 및 접종원의 농도는 공시한 중도저항성계통 B-67, IS 103과 나병성계통 수원9호, 수원 2006 모두의 병진전속도와 발병심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파종후 20일된 유묘에 1 $m\ell$당 200개 포자상의 접종원을 폿트(8$\times$16.7$\times$7.2cm)당 10$m\ell$씩 토양표면에 접종한 후 저면관수로 토양수분을 포화상태로 유지하였을 때 계통간 저항성의 차이를 갈 볼 수 있었다. 묘령 70일의 성묘를 사용하였을 때는 토양접종을 하였을 때나 분무접종을 하였을 때 모두 계통간 저항성 차이를 잘 볼 수 있었다. 전술한 유묘검정방법에 의해 이병성계통인 수원2006는 이병주율로는 100%, 발병심도로는 최대치인 9.0을 보였다. 반면에 중도저항성계통인 B- 67은 이병수율로는 20%, 발병심도로는 1.7을 보였다. 발병심도는 0에서 9까지 지수화하여 나타내었다. 예를 들면, 발병심도 0은 병징이 없는 상태, 5는 지면부 줄기가 변색된 경우, 9는 잎마름증상과 함께 줄기변색이 지면부로 부터 10cm 이상인 경우이다. 품종간 저항성의 차이는 병총면적률로도 조사를 하였으며, 이 결과는 발병심도로 조사한 검정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 PDF

남부 시설원예지대의 주요병 발생생태에 관한 연구 (Occurrence of Major Diseases in Vegetable Growing under the Furnihsed Condition in Southern Part of Korea)

  • 최진식;박창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53-158
    • /
    • 1982
  • 남부시설원예지대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 김해 남지 진주 순천 등 4개지역을 대상으로 1981년 4월말부터 1982년 4월말까지 비닐하우스에서 재배되고 있는 주요채소에 발생되는 병의 종류와 발생율, 전염경로, 발병환경 등을 작물별 생육기별로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토마토의 잎곰팡이병과 겹둥근무늬병은 유묘류에 가장 피해를 주는 병으로 이병 종자를 파종한 경우는 파종후 35일부터 급격히 병세가 진전되였다. 오이의 덩굴쪼김병은 접목재배나 답전환 윤작재배시는 발병주율이 $0.5\%$ 이내였으나 전작물 윤작지는 평균 $21\%$ 오이 연작인 경우는 최고 $79\%$에 달하였다. 오이 노균병은 4월부터 8월말까지 발생이 심한데 진주와 순천 지역에서 피해가 컸고 억제재배를 주로하는 남지에서는 이 병의 피해가 적은 반면 8월 이후에 흰가루병의 발생이 많았다. 오이${\cdot}$모자익 바이러스병은 모든 조사지역에서 많이 발생되었는데 6월 이후 급격히 발생이 증가되었다. 고추에 가장 피해가 큰 병은 Phytopthora capsici에 의한 역병으로 12월부터 1월사이에 큰 피해를 주었으며 그후 점차로 감소하여 3월 경부터 지제부를 가해하여 5월 이후에는 이 법에 의한 고사율이 급격히 증가되었다. 토마토의 바이러스병은 전지역에서 심하게 발생하였으며, 토마토 연작재배지역인 김해, 진주지역에서는 잎 곰팡이병 및 잿빛곰팜이병 등 잎에 발생하는 병이 많았다.

  • PDF

청색과 적색의 혼합LED광 처리가 인삼의 생육 및 진세노사이드 함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lue and Red LEDs Irradiation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Ginsenoside Content of Panax ginseng C. A. Meyer)

  • 성봉재;김현호;조진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70-74
    • /
    • 2015
  • LED 청색광과 적색광을 2년근 인삼에 대하여 혼합 처리하여 생육 반응과 진세노사이드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본 결과 인삼의 지상부의 엽면적과 건물중은 청색광과 적색광의 비율이 1:1 처리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높았으나 인삼 뿌리의 건물중은 1:3 비율이 가장 컸다.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지상부은 청색광과 적색광 비율이 1:1에서 가장 높았지만 인삼 뿌리의 함량은 1:1 비율이 가장 낮았다.

참깨의 종자전염성(種子傳染性) Alternaria sesami와 Corynespora cassiicola에 관(關)하여 - 종자(種子) 및 유묘(幼苗)에 미치는 피해(被害)와 종자소독(種子消毒)의 효과(效果) - (Seed-borne Infection of Alternaria sesami and Corynespora cassiicola in Sesame, Damage to Seeds and Seedlings and Control by Seed Treatment)

  • 유승헌
    • 농업과학연구
    • /
    • 제10권2호
    • /
    • pp.269-276
    • /
    • 1983
  • 전국(全國)에서 수집(收集)한 50개(固) 참깨종자(種子) sample을 blotter법(法)으로 조사(調査)하였던 바 Alternaria sesami는 29개(固) sample에서 최고(最高) 37%, Corynespora cassiicola는 38개(固) sample에서 최고(最高) 76%의 높은 비율(比率)로 검출(檢出)되었다. A. sesami와 C. cauiicola에 각각(各各) 심(甚)하게 이병(罹病)된 종자(種子)는 종자부패(種子腐敗)를 일으켜 전혀 발아(發芽)하지 못하며 일부(一部) 이병(罹病)된 종자(種子)는 발아(發芽)하더라도 곧 유묘감염(幼苗感染)이 되어 유근(柳根)이나 자엽(子葉)의 일부(一部)가 갈변(褐變)하며 고사(枯死)하였다. 종자전염성(種子傳染性) A. sesami와 C. cassiicola에 대(對)한 몇가지 종자소독제(種子消毒劑)의 효과(效果)를 조사(調査)하였던 바 A. sesami의 종자감염(種子感染)에 대(對)하여는 Busan 30의 소독효과(消毒效果)가 높았고 C. cassiicola의 종자감염(種子感染)에 대(對)하여는 Benlate T와 Homai의 소독효과(消毒效果)가 탁월(卓越)하였다.

  • PDF

콩종자(種子)에서 검출(檢出)된 Mycoflora와 그 병원성(病原性) (Seed Mycofloras of Soybeans(Glycine max) and their Pathogenic Importance)

  • 박종성;유승헌;인무성;노태홍
    • 농업과학연구
    • /
    • 제10권2호
    • /
    • pp.263-268
    • /
    • 1983
  • 1. 충남(忠南) 각지(各地)에서 수집(收集)한 28개(個) 콩종자(種子) sample을 blotter법(法)으로 조사(調査)하였던 바 21종(種)의 균류(菌類)가 검출(檢出)되었고, 특히 부생균(腐生菌)인 Alternaria alternata, Aspergillus spp., Penicillium spp. 등(等)과, 자주빛무늬병균(病菌) (Cercospora kikuchii) 및 Fusarium spp. 이 많이 검출(檢出)되었다. 2. 자주빛무늬가 있는 종자(種子)에서는 무늬가 없는 종자(種子)에 비(比)하여 C. kikuchii가 많이 검출(檢出)되었고 반면(反面)에 Aspergillus spp.나 Penicillium spp.와 같은 부생균(腐生菌)의 오염율(汚染率)과 Phomopsis sp. 및 Fusarium 균(菌)의 이병율(罹病率)이 낮았다. 3. 병원성실험(病原性實驗) 결과(結果) Cercospora kikuchii, Colletotrichum dematium, Fusarium moniliforme, F. oxysporum, F. semitectum, Phomopsls sp.는 병원성(病原性)을 나타내었으나, F. equiseti와 F. solani는 병원성(病原性)이 없었다.

  • PDF

병든 고추 종자에서 분리된 탄저병균의 종자전염 (Seed-borne Infection of Anthracnose Fungi Isolated from Diseased Red Pepper)

  • 이두형
    • 한국균학회지
    • /
    • 제23권2호통권73호
    • /
    • pp.114-120
    • /
    • 1995
  • 병든 고추에서 수집한 종자에서 Colletotrichum dematium, C. gloeosporioides 및 Glomerella cingulata 등이 습지법에 의해서 검출되었다. C. gloeosporioides는 공시된 종자시료에서 우점종이었으며 그 다음이 C. dematium, G. cingulata의 순이었다. 탄저병균의 종자내 감염부위를 조사한 결과, 종피, 배유 및 자엽에서 C. dematium, C. gloeosporioides 및 G. cingulata가 검출되었으며 3종의 탄저병균의 검출율은 종피에서 더 많았고 배유와 자엽에서는 적었다. C. dematium, C. gloeosporioides와 G. cingulata의 종자감염은 종자부패, 모잘록 및 모마름병을 일으켰다. 접종시험결과 C. gloeosporioides가 가장 병원성이 강하였다. C. dematium은 상처가 있을 때 약한 병원성을 나타냈으며 G. cingulata는 유상 또는 성숙과에 대해서 약한 병원성이 있었다. 탄저병에 대한 종자소독 결과 베노람 수화제와 지오람 수화제의 효과가 우수하였다.

  • PDF

벼 갈색잎마름병균(Gerlachia oryzae)의 종자감염과 종자감염이 벼종자 및 유묘에 미치는 피해 (Seed Infection and Damage to Rice Seeds and Seedlings by Seed-Borne Gerlachia oryzae)

  • 김완규;박종성;유승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26-131
    • /
    • 1984
  • 1. 영남작물시험장, 호남작물시험장 및 충남농촌진흥원에서 분양받은 18개의 벼종자시료와 충남지역 일반농가에서 수확한 8개의 벼종자시료 등 모두 26개의 종자시료를 공시하여 표준습지법으로 조사하였던 바 21종의 균류가 검출되었으며, 벼 갈샐잎마름병균(Gerlachia oryzae)은 22개의 벼 종자시료에서 $1.0\~45.0\%$의 범위로 검출되었다. 2. 종자전염성 G. oryzae의 효과적인 검출방법을 찾기 위하여 표준습지법, 냉동습지법, 물한천법 등으로 비교 조사한 결과, 냉동습지법에서 검출율이 가장 높았다. 3. 벼종자의 각 부위를 무균적으로 분리하여 부위별로 G. oryzae의 감염여부를 표준습지법으로 조사한 결과, 벼 종자의 껍질에서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며, 심하게 이병된 종자는 배유 및 종피 뿐 만 아니라 배에 까지 감염되어 있었다. 4. G. oryzae에 감염된 벼 종자를 파종하여 심하게 이병된 종자는 종자부패 및 묘입고를 일으켰으며, 약하게 이병된 종자는 초엽, 1엽, 2엽에 갈색의 병징감염을 초래하였다.

  • PDF

Stress Tolerance and Virulence-Related Roles of Lipopolysaccharide in Burkholderia glumae

  • Lee, Chaeyeong;Mannaa, Mohamed;Kim, Namgyu;Kim, Juyun;Choi, Yeounju;Kim, Soo Hyun;Jung, Boknam;Lee, Hyun-Hee;Lee, Jungkwan;Seo, Young-Su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5권5호
    • /
    • pp.445-458
    • /
    • 2019
  • The lipopolysaccharide (LPS) composed of lipid A, core, and O-antigen is the fundamental constituent of the outer membrane in gram-negative bacteri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oles of LPS in Burkholderia glumae, the phytopathogen causing bacterial panicle blight and seedling rot in rice. To study the roles of the core oligosaccharide (OS) and the O-antigen region, mutant strains targeting the waaC and the wbiFGHI genes were generated. The LPS profile was greatly affected by disruption of the waaC gene and slight reductions were observed in the O-antigen region following wbiFGHI deletio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disruption in the core OS biosynthesis-related gene, waaC,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sensitivity to environmental stress conditions including acidic, osmotic, saline, and detergent stress, and to polymyxin B. Moreover, significant impairment in the swimming and swarming motility and attenuation of bacterial virulence to rice were also observed in the waaC-defective mutant. The motility and virulence of O-antigen mutants defective in any gene of the wbiFGHI oper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wild-type except in slight decrease in swimming and swarming motility with wbiH deletion. Altogether, the results of present study indicated that the LPS, particularly the core OS region, is required for tolerance to environmental stress and full virulence in B. glumae.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functional study of LPS in a plant pathogenic Burkholderia sp. and presents a step forward toward full understanding of B. glumae pathogenesis.

Phenazine and 1-Undecene Producing Pseudomonas chlororaphis subsp. aurantiaca Strain KNU17Pc1 for Growth Promotion and Disease Suppression in Korean Maize Cultivars

  • Tagele, Setu Bazie;Lee, Hyun Gu;Kim, Sang Woo;Lee, Youn Su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1호
    • /
    • pp.66-78
    • /
    • 2019
  • In this study, strain KNU17Pc1 was tested for its antifungal activity against Rhizoctonia solani AG-1(IA), which causes banded leaf and sheath blight (BLSB) of maize. KNU17Pc1 was tested further for its broad-spectrum antifungal activity and in vitro plant growth promoting (PGP) traits. In addition, the in vivo effects of KNU17Pc1 on reduction of BLSB severity and seedling growth promotion of two maize cultivars under greenhouse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On the basis of multilocus sequence analysis (MLSA), KNU17Pc1 was confirmed as P. chlororaphis subsp. aurantiaca. The study revealed that KNU17Pc1 had strong in vitro antifungal activity and was effective toward all in vitro PGP traits except phosphate solubilization. In this study, for the first time, a strain of P. chlororaphis against Colletotrichum dematium,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Fusarium oxysporum f.sp. melonis, Fusarium subglutinans and Stemphylium lycopersici has been reported. Further biochemical studies showed that KNU17Pc1 was able to produce both types of phenazine derivatives, PCA and 2-OH-PCA. In addition, solid phase microextraction-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SPME-GC-MS) analysis identified 13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in the TSB culture of KNU17Pc1, 1-undecene being the most abundant volatile. Moreover, for the first time, Octamethylcyclotetrasiloxan (D4), dimethyl disulfide, 2-methyl-1,3-butadiene and 1-undecene were detected in P. chlororaphis. Furthermore, this study reported for the first time the effectiveness of P. chlororaphis to control BLSB of maize. Hence,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KNU17Pc1 under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so that it can be exploited further for biocontrol and plant growth promotion.

고추 역병과 탄저병에 대한 인산염 화합물의 방제 효과 (Control Effect of Phosphate Compounds on Phytophthora Blight and Anthracnose of Pepper)

  • 박세정;김흥태
    • 농약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6-32
    • /
    • 2017
  • 6종의 인산염 화합물을 선발하여 고추 역병균 P. capsici JHAW 1-2와 탄저병균 C. acutatum JC24에 대한 항균활성 및 역병과 탄저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실험한 6종의 인산염 화합물은 고추 탄저병균보다는 역병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더 우수하였다. 역병균에 대해서도 균사생장에 대한 억제효과보다는 P. capsici JHAW 1-2의 유주포자 나출, 유주포자낭 발아, 유주포자 발아 등에 대한 억제효과가 우수하였다. 6종의 인산염 화합물 중에서는 P. capsici JHAW 1-2에 대해서 $H_3PO_3$$H_3PO_4$가 가장 우수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유묘와 열매를 가지고서 실시한 병 방제 효과 검정에서도 실험에 사용한 6종의 인산염 화합물은 탄저병보다는 역병에 대한 방제효과가 우수하였다. $H_3PO_3$를 고추 유묘에 $100{\mu}g\;mL^{-1}$의 농도로 관주처리하였을 때에는 약해가 발생하여 유묘가 고사하였지만, $10{\mu}g\;mL^{-1}$의 농도를 관주처리하였을 때는 100% 방제효과를 보였다. 하지만 $H_3PO_4$는 우수한 항균활성을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100{\mu}g\;mL^{-1}$의 농도에서조차 56.7%로 효과가 낮았다. C. acutatum JC24를 고추 열매에 상처와 무상처 접종하며 인산염의 병방제 효가를 조사하였다. 6종의 화합물 중에서 $H_3PO_3$$H_3PO_4$$100{\mu}g\;mL^{-1}$의 처리구에서만 70% 이상의 효과를 보였을 뿐 다른 처리구에서의 효과는 미미하거나 인정할 수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