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ing date

검색결과 280건 처리시간 0.026초

Effect of Delayed Sowing on Growth, Flowering Date, and Yield in Sesame

  • Lee, Sung-Woo;Kang, Churl-Whan;Kim, Dong-Hwi;Shim, Kang-B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30-133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creased ratio of growth and yield by delayed seeding and flowering because drought of spring season often cause to delay seeding and sprout emergence. Equation of linear regression, y=-11.914x+818.61 ($R^2$=0.916) and y=-16.96lx+913.98 ($R^2$=-0.885) were derived from relationship between sowing date and yield of leading variety, Yangbaeckkae in 1999 and 2000, respectively. Yield was decreased by 7, 24, 40, 57, 74%, respectively, according as sowing date was delayed more 5, 15, 26, 36, 46 days than May 15, standard sowing date under the culture mulched with black P.E. film. Number of capsules per plant and length of stem bearing capsule were greatly decreased, while plant height, stem diameter, and day to flowering were affected little by delayed seeding date. Equation of linear regression, y=-0.7081x+41.04 ($R^2$=0.861) was derived from relationship between flowering date and yield of 33 accessions. Yield was decreased by 7.7, 8.3, 9.2, 10.1, 11.2%, respectively, according as flowering date was delayed more 1, 2, 3, 4, 5 days than July 3, normal flowering date of Yangbaeckkae when it was sown on May 15, and the more flowering date was delayed, the more yield was decreased. Number of capsules per plant and length of stem bearing capsules were greatly decreased, but plant height and harvest index were decreased little by delay of flowering date

  • PDF

질소시비량, 재식밀도 및 파종기가 오크라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ogen Fertilizer, Planting Density and Seeding Date on the Yield of OKra(Abelmoschus esculentus (L) MOENCH))

  • 이경희;조재연;윤성탁;박석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79-183
    • /
    • 1990
  • 질소시비량, 재식밀도 그리고 파종기가 오크라 생협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시험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주당착과수는 질소시비량 8kg/10a, 재식밀도는 90$\times$30cm 처리에서 가장 많았다. 2. 질소비료수준 및 재식밀도간 생협수량은 각각 8kg/10a, 45$\times$30cm 처리에서 가장 많은 경향을 보였다. 가장 수량이 많은 구는 8kg/10a의 45$\times$30cm로서 1,348.7kg/10a이었다. 3. 파종기에 있어서 생협수량은 5월 1일 파종이 1,270.8kg/10a로 가장 수량이 많았다.

  • PDF

아마 파종기에 따른 몇가지 형질 및 수량변화 (Comparison of Agronomic Character and Yield as Affected by Seeding Dates of Flax, Linum usitatissimum L.)

  • 권병선;이정일;박희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69-173
    • /
    • 1988
  • 아마 파종기에 따른 주요형질 및 수량변화를 구명코자 Wiera, Taijungsun #1, Storment Goss, CI 1763, 99403-Fiber의 5품종을 공시하여 파종기는 3월 10일, 25일, 4월 5일의 3기로 구분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성숙기는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늦어지는 경향이 있다. 2. 경장은 3월 10일 파종에서 Wiera는 83cm로 가장 길었고 Taijungsun #1은 64cm로 가장 짧았으며 3월 25일, 4월 5일로 파종이 늦어짐에 따라 모든 품종이 참아지는 경향이었으며 섬유비율은 3월 10일 파종에서 Wiera 가 15.6%로 가장 높았는데 파종기는 늦어짐에 따라 모든 품종들이 감소되었다. 세도는 Taijungsun #1가 26.2本으로 가장 가늘었으며 99403-Fiber는 19.5본으로 가장 굵었으며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세도가 낮아져서 줄기가 굵어지는 경향이었다. 3. 유분함량은 3월 10일 파종에서 Taijungsun #1는 34%, Storment Goss는 32%, Wiera는 30%, CI 1763은 27%. 99403-Fiber는 26%로 높았으나 가장 늦은 파종에서는 24%까지 낮아졌다. 4. 원경수량은 모든 파종기에서 Wiera가 가장 다수성이었으며 파종기간에서는 3월 10일에서 4월 5일로 늦어짐에 따라 원경중 감소폭이 가장 Wiera가 커서 파종기 차이에 따른 원경중의 반응이 민감한 품종임을 알 수 있었다. 5. 종실수량은 Taijungsun #1가 가장 않았고 전품종이 파종이 지연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6. 파종기에 따른 5품종의 유용형질들의 분산분석에서 파종기, 품종 모두 유의성이 고도로 높았고 파종기와 품종간의 상호작용에서도 모든 형질에서 고도의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나 다만 유분함량의 형질에서만 유의성이 없었다.

  • PDF

가을파종시기가 사초용 연맥의 생육특성,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Seeding Dates on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 Forage Yield and Quality of Fall Sown Oats)

  • 김종관;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95-202
    • /
    • 1993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t'ects of different seeding dates on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forage yield and quality of fall sown cats(Avena sativa L.).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at the forage experimental field, Seoul National University. Suweon in 1990.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Present data indicated that plant and ear heights were decreased as the seeding date was delayed. Dry matter accumulation was increased due to the higher plant and ear heights. 1. When oats was seeded on August 20. the first heading and 50% heading dates were recorded on October 4 and 15, respectively. And when oats was seeded on August 25. the first heading and 5 0'!4 heading dates were observed on October 13 and 18. respectively. As seeding date was delayed for one day. the heading date was delayed for two days. 3. The dry mattcr percentage of oats seeded on August 20 was 20.1%, but that of oats seeded after August 10 was 15.1 to 16.7%. 4.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CP. ADF and NDF, oats seeded on August 20 and 25 was evaluated to be the 3rd or 4th grade hay. and the other oats sceded after August 15 was recorded the 2nd or 3rd grade hay as proposed by AFGC. 5. There are no significant dry matter yield differences among the seeding dates of oats such as August 20, 25 and 30. but a significant yield difference was recorded between oats seeded in August and September. The same trend as the dry matter yield was observed in in vitro digestible dry matter and crude protein yields of oats seeded in August and September. According to the results. early seeding of early matuaring oats may be a better option than late seeding after August 30 for silage or hay production following silage corn harvest in the middle northern area of Korea.

  • PDF

호밀의 사초특성,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파종량 및 파종기의 영향 (Seeding Rate and Planting Date Effects on Forage Performance and Quality of Winter Rye)

  • 박형수;김동암;김종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5-114
    • /
    • 1999
  • 본 시험은 파종량 및 파종시기가 추파 호밀(Secale cereale L.)의 사초특성, 수량 및 사료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1997년에서 1998년 4월 20일까지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부속 실험목장 사초 시험 포장에서 실시되었으며, 파종량으로서 ha 당 100, 150 및 200kg을 주구로 하고 파종시기로서 9월 5일, 9월 20일, 10월 5일 및 10월 20일 파종을 세구로 하는 분할구 시험법으로 3반복 설계 배치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호밀의 출수 시작일은 파종기에 따라서 뚜렷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1일 기준으로, 파종시기가 15일 지연됨에 따라 출수 시작일이 1일 지연되어짐으로서 호밀의 출수시작일과 파종시기간에는 1:15 비율이 나타났다. 호밀의 건물 함량은 파종량간에는 200 kg/ha 파종구에서 13.6%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파종시기간에는 각각 15.2, 14.2, 14.3 및 13.8%로 파종시기가 지연됨에 따라 건물 함량이 낮아졌으며 (P<0.05), 호밀의 건물 함량에 대하여 파종량과 파종시기간에는 고도의 교호작용(P<0.01)이 인정되었다. 호밀의 ADF 함량은 파종량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파종시기간에는 각각 32.2, 31.6, 31.6 및 29.3%로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함량이 낮아졌으며, 파종량과 파종시기간에는 교호작용이 인정되었다. 또한 NDF 함량도 ADF 함량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조단백질(CP) 함량은 파종량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서 각각 17.3, 17.7, 18.2 및 18.9%로 증가하였다. In vitro 건물소화율(IVDMD)도 파종량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서 각각 77.5, 80.6, 80.9 및 80.9%로 증가하였다. 호밀의 건물수량은 100 kg/ha 파종구가 9,059 kg/ha로 가장 높았고 200kg/ha 파종구가 7,647 kg/ha로 가장 낮았다(P<0.01). 파종시기간에는 10월 5일 파종구(8,945 kg/ha)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0월 20일 파종구(7,249 kg/ha)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1). 또한 호밀의 건물 수량에 대하여 파종량과 파종시기간에는 유의적인 교호작용이 인정되었다(P<0.01). CP 및 IVDDM 수량도 건물 수량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본 시험의 결과를 종합하면 우리 나라 중부지방에서 사초용 호밀을 재배시 건물 수량의 증수를 위해서 파종은 9월 20일에서부터 10월 5일 사이에 하는 것이 가장 유리하며 조기 파종할 경우 100~150kg/ha, 만기 파종할 경우는 200 kg/ha로 파종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 PDF

Determination of Seeding and Harvesting Time in Snap Bean

  • Lee, Sang-Soon;Lee, Jeong-Dong;Hwang, Young-Hyu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64-67
    • /
    • 2001
  • Snap bean is a new corp in Korea but believed to have a great deal of potentials for both domestic and overseas markets.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about growth- and quality-related characteristics and to determinate the optimum seeding date and harvesting time for snap bean. Pod yield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seeding date. The highest pod yield was obtained from March 20 for determinate type and April 4 for indeterminate one, respectively, with the range of 13.0-23.7 t/ha. The pod length of indeterminate type was over 13cm, and the pod length was over 5 grams. The pod width for tested varieties was less than 1.0cm. Considering the pod growth characters such as pod length, pod width, and pod weight, the optimum harvesting time for immature pods of snap bean was supposed to be from 15 to 20 days after flowering. The daily yield of snap bean was begun to sharply increase from 15 days after the first flowering and the maximum yield was recorded at 30 days after flowering. For the accumulated yield, nearly 90% of total yield was obtained in 42 days after flowering.

  • PDF

Effect of Seeding Density and Seeding Methods on the Dry Matter Yield of Barnyard Millet

  • Lee, Bae Hun;Yang, Seung Hak;Oh, Mirae;Choi, Ki Choon;Park, Hyung Soo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05-209
    • /
    • 2021
  • Barnyard millet (Echinochloa esculenta) can be processed through soiling, hay, and silage, depending on the weather conditions during harvesting. However, research on barnyard millet is insufficient, and standards for cultivar, seeding density, and fertilizers have not been establish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eeding density and seeding methods on dry matter yields. For this, we used the early-maturing (Shirohie millet) variety of the barnyard millet. The experimental design included different seeding density (10 kg/ha, 15 kg/ha, 20 kg/ha (standard seeding density), 25 kg/ha and 30 kg/ha), and different methods of seeding (drill seeding and broadcast seeding). The seeding date was May 13, 2021, and the harvest date was July 13, 2021. Harvesting was carried out when the heading reached 40 %. Lodging occurred at 5, 9 and 7 at 20, 25 and 30 kg/ha densities in the broadcast seeding, but not in the drill seeding. With decreasing density of seeding, tillage number showed an increasing trend in both drill seeding and broadcast seeding (p>0.05). The plant heights were comparable in both drill seeding and broadcast seeding (p>0.05). The heading stage of barnyard millet was checked July 7 for drill seeding, and, on July 8 for broadcast seeding. It took 62 days, i.e., till July 13 for the heading to reach 40 % of the output. The dry matter yield of barnyard millet was significantly higher at the seeding density of 30 kg/ha, for both the methods of seeding (p<0.05).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grain, based on the seeding method and seeding density. However, as the seeding density increased, the CP, NDF, ADF, and TDN contents increased in both drill seeding and broadcast seeding. We found that, the dry matter content was the highest at the seeding density of 30 kg/ha for both the methods of seeding, but this was only 1.3 times higher than that of 10 kg/ha. Considering the seed price and labor force involved in seeding, it is advisable to have a seeding density of 15-20 kg/ha.

벼 건답직파재배에서 파종기 이동에 따른 생육 및 수량 (Growth and Yield of Direct Seeded Rice in Different Seeding Dates)

  • 김상경;이승필;이외현;이광석;최부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442-448
    • /
    • 1992
  • 경북내륙평야지의 수답 건답직파재배법 확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생태형이 다른 3품종을 공시하여, 6월 15일 기계이앙재배벼를 직파 파종기에 따른 생육 및 수량반응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후 출아까지 소요일수는 품종간 차이없이 32일(4월 25일 파종)-7일(6월 10일 파종)이 소요되었으며, 파종기가 지연될수록 단축되었고 m$^2$당 입모수는 파종기 및 품종간차가 인정되지 않았으며 평균 121-154본 / m$^2$이었다. 2. 파종기가 지연될수록 간장 및 수장이 단축되고 등숙율이 저하하였으나 m$^2$당 수수, 수당영화수 및 천립중은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3. 파종일출수까지 및 출아일출수까지의 유효적산온도는 각각 금조벼 736.655$^{\circ}C$, 동해벼 856, 771$^{\circ}C$, 밀양 9005 886,801$^{\circ}C$이었으며, 출아일출수까지의 유효적산온도로 추정한 품종별 출아한계기는 금조벼 6월 27일, 동해벼 6월 15일, 밀양 9005 6월 12일이었고 출수기는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지연되었다. 4. 품종별 수량은 조생종인 금조벼의 수량이 중ㆍ중만생종의 동해벼 및 밀양 9005 보다 낮았으며 동해벼는 6월 10일 파종에서도 기계이앙재배벼 보다 4% 정도 증수되어 직파적응성이 높았으며 공시품종 모두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청미 비율이 증가하였다.

  • PDF

경북지역에서 옥수수 후작 수단그라스간 교잡종 및 귀리의 파종시기가 생육특성 및 수량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fferent Seeding Dates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Sudangrass hybrid and Oat in Cropping After Corn for Silage in Kyeongbuk)

  • 신정남;고기환;김종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81-86
    • /
    • 2014
  • 본 시험은 2012년부터 2013년까지 경북 성주에서 사일리지용 옥수수 후작 수단그라스간 교잡종 및 귀리의 파종기가 생육특성, 품질 및 수량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로 수단그라스는 파종기를 처리로 한 5처리 3반복 귀리는 파종기를 처리로 한 3처리 3반복으로 배치하였다. 수단그라스의 파종기는 2012년과 2013년에 7월 31일부터 9월 10일까지 10일 간격으로, 귀리는 2013년 8월 20일부터 9월 10일까지 10일 간격으로 조파하였다. 수확은 2012년 10월 26일과 2013년 11월 2일에 하였다. 수단그라스의 출수는 3차 파종기까지만 되었고 귀리는 2차 파종기의 것만 출수 되었다. 초장과 건물함량은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감소되었다. 수단그라스의 DM 및 DDM 수량은 1차 파종기의 것이 다른 4파종기의 것보다 높았으며(P<0.05) 파종기 간에는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감소되었다(P<0.05). 귀리의 DM 및 DDM 수량은 1차 및 2차 파종기 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3차 파종기의 것이 낮았다(P<0.05). 수단그라스와 귀리의 CP 함량은 파종기 간에 다소 차이는 있지만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증가된 반면 ADF와 NDF의 함량은 감소되어 DDM 함량은 증가되었다. 본 시험의 결과에 의하면 가을재배 수단그라스의 파종시기는 8월 20일 이전 귀리의 파종시기는 8월 30일 이전까지 파종해야 수량측면에서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보리 춘파 재배시 파종기에 따른 생육단계별 소요일수와 적산온도 및 수량관련 특성변화 (Effect of Seeding Date on Growth Duration and Yield in Spring-seeded Barley)

  • 이춘우;구본철;윤의병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366-369
    • /
    • 2000
  • 춘파재배시 파종기에 따른 생육단계별 적산온도, 소요일수, 엽 전개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파성 I인 사천6호와 파성 IV인 새찰쌀보리를 공시하여 2월23일부터 10 및 간격으로 4시기에 파종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사천6호를 2월 23일 파종하면 6월 16일에 성숙하여 생육일수가 111일 소요되었고, 3월 24일 파종하면 6월 21일에 성숙하여 생육일수는 87일 소요되었다. 파종이 늦어지면 생육일수가 단축되어 성숙기는 비슷하여지는데 이는 주로 파종에서 출수까지 일수가 단축되기 때문이었다. 2. 품종에 따라 적산온도는 출현까치는 111-142$^{\circ}C$, 출수까지는 683-756$^{\circ}C$, 성숙까지는 1274-1326$^{\circ}C$ 소요되었다 추파성인 새찰쌀보리는 만파하면 파성이 완전히 소거되지 않아 성숙까지의 적산온도는 다른 시기에 비하여 많았다. 3. 2월 23일 파종한 사천6호는 엽이 하루에 0.1938개 전개되었으나 3월 24일 파종은 0.2156개 전개되어 파종이 늦을수록 엽전개는 빨라졌다 새찰쌀보리도 3월 24일 파종을 제외하고 같은 경향이었다. 4. 파종이 늦을수록 천립중이 감소하고 설립이 증가하여 수량이 감소하였는데, 사천6호의 2월 23일 파종은 수량이 10a당 299kg에 비하여 3월 24일 파종은 125kg으로 수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5. 춘파보리는 파성이 낮고 대립종인 사천6호가 좋았고, 가능한 일찍 파종하는 것이 좋고, 수원지방에서 늦어도 3월 10일 이전에 파종하여야 수량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