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 pre-treatment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3초

Herbicidal Activity of $\delta$-aminolevulinic Acid on Several Plants as Affected by Application Methods

  • Chon, Sang-Uk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50-55
    • /
    • 2003
  • Herbicidal activity of $\delta$-aminolevulinic acid(ALA), an intermediate for the biosynthesis of tetrapyrroles such as chlorophyll, heme, bacteriochlorophyll, and vitamin $\textrm{B}_{12}$ analogues, was examined to determine the variation in phytotoxic potential against different plant species as affected by different application methods. Seed-soaking treatment, ALA at low concentrations did not affect shoot and root lengths of test plants while at highest concentration reduced them by 20 to 30%. Alfalfa showed the most tolerant response to ALA in both pre- and post-emergence application, and followed by rice. When applied with pre-emergence, cotyledons of Chinese cabbage were severely bleached with 0.5 mM of ALA at 24 hrs after application, and root growth of rice, barnyard grass, and alfalfa was significantly inhibited with increasing of concentration. With post-emergence application, ALA at 2 to 4 mM reduced shoot and root growths of Chinese cabbage and barnyard grass completely. Herbicidal effects of ALA were more enhanced in the treatment combined with 2,2-dipyridyl sthan single application in barnyard grass and Chinese cabbage. The results suggest that alfalfa was the most tolerant to ALA among the tested plants, and that post-emergence application of ALA exhibited greatest photodynamic activity against tested plants.

회화나무 종자발아에 미치는 전처리의 효과 (Effects of Several Pre-treatments on Seed Germination or Sophora japonica L.)

  • 탁우식;김태수;최충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580-585
    • /
    • 2006
  • 본 연구는 경립종자로서 종피가 단단하고 두꺼워 발아시 어려움이 있는 회화나무 종자를 여러 가지 전처리를 통해 발아율 및 발아지수를 향상시키고자 실시하였다. 종피 파상처리로서 황산 30, 60, 90% 용액에 30분간 침지하였고, 종자의 유근 반대편 부위를 1/8, 2/8, 3/8씩 절단하였다. 또한 종자를 젖은 수건에 싸서 밀봉 후 $4^{\circ}C$ 저온고에 각각 3, 5, 10일간 보관하였으며, $90{\sim}95^{\circ}C$ 뜨거운 물에 각각 2, 5, 10분간 침지하였다. 전처리된 종자는 각각 다른 발아특성을 나타내었다. 황산 처리된 종자는 발아율 및 발아지수에서 무처리구 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황산 90%처리에서 가장 높은 효과를 보여주었다. 종자 절단 처리에서는 절단 길이가 늘어날수록 발아율 및 발아지수가 감소하였으며 종자의 냉층적 처리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258). 열탕 처리시 2분 침지 종자는 무처리 종자보다 발아율 및 발아지수가 낮게 나타났으며 5, 10분 침지 종자는 발아하지 않았다. 전처리가 종자 발아뿐만 아니라 유묘활력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전처리 종자로부터 생장한 유묘를 대상으로 상대생장율 및 T/R율을 조사한 결과 황산 90% 처리구의 유묘에서 가장 뛰어난 수고 및 근원경의 상대생장율과 T/R율을 관찰 할수 있었다. 위의 결과로서 황산 90% 용액에 30분간 침지처리를 했을 때 회화나무 종자의 발아율, 발아지수를 비롯한 유묘의 상대생장율 및 T/R율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차광처리에 따른 병풍쌈의 용기 내 발아 및 초기생장 특성 (Characteristics of Germination and Early Growth of Parasenecio firmus in Container by Shading Treatment)

  • 송기선;전권석;김창환;윤준혁;박용배;김종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4호
    • /
    • pp.547-555
    • /
    • 2014
  • 본 연구는 병풍쌈을 대상으로 종자의 전처리(상온건조, 저온건조, 수침처리를 각각 48시간 동안 실시)에 따른 차광처리별 발아특성과 유묘의 생장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은 전처리된 종자를 용기에 파종하여 차광시설(전광 및 35%, 50%, 75%, 95% 차광)에 각각 배치하여 진행하였다. 종자의 발아율은 25.7~61.1%의 범위로 조사되었으며 전광 내 수침처리구에서 61.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병풍쌈 유묘의 초장생장은 95% 차광에서, 근원직경은 전광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엽생장(엽면적, 엽장, 엽폭, 엽두께)과 뿌리생장(전체뿌리길이, 뿌리투영단면적, 뿌리표면적, 평균뿌리직경, 뿌리부피)은 전반적으로 35%~75% 차광에서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95% 차광에서는 가장 저조한 생장을 보였다. 또한, 부위별(잎, 줄기, 뿌리) 및 전체 생중랑은 모두 50% 차광에서, 지상부(잎, 줄기)와 전체 건중량은 75% 차광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95% 차광에서는 모든 부위에서 가장 저조한 생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를 종합하면, 병풍쌈의 종자는 수침처리하여 높은 광도에서 발아시킨 후 어느 정도의 차광처리(50%~75% 차광)를 하는 것이 용기 유묘생산에 보다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SBN 박막의 결정화 및 전기적 특성에 관한 씨앗층 두께의 영향 (Effect of Seed-layer thickness on the Crystallization and Electric Properties of SBN Thin Films.)

  • 장재훈;이동근;이희영;조상희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Vol.16
    • /
    • pp.271-274
    • /
    • 2003
  • [ $Sr_xBa_{1-x}Nb_2O_6$ ] (SBN, $0.25{\leq}x{\leq}0.75$) ceramic is a ferroelectric material with tetragonal tungsten bronze (TTB) type structure, which has a high pyroelectric coefficient and a nonlinear electro-optic coefficient value. In spite of its advantages, SBN has not been investigated well compared to other ferroelectric materials with perovskite structure. In this study, SBN thin film was manufactured by ion beam sputtering technique using the prepared SBN target in $Ar/O_2$ atmosphere. SBN30 thin films of different thickness were pre-deposited as a seed layer on $Pt(100)/TiO_2/SiO_2/Si$ substrate followed by SBN60 deposition up to $4500\;{\AA}$ in thickness. As-deposited SBN60/SBN30 layer was heat-treated at different temperatures of 650, 700, 750, and $800\;^{\circ}C$ in air, respectively, The crystallinity and orientation behavior as well as electric properties of SBN60/SBN30 multi-layer were examined. The deposited layer was uniform and the orientation was shown primarily along (001) plane from XRD pattern. There was difference in the crystal structure with heat-treatment temperature, and the electric properties depended on the heating temperature and the seed-layer thickness. In electric properties of Pt/SBN60/SBN30/Pt thin film capacitor prepared, the remnant polarization (2Pr) value was $15\;{\mu}C/cm^2$, the coercive field (Ec) 65 kV/cm, and the dielectric constant 1492, respectively.

  • PDF

야생 참당귀(Angelica gigas N.)의 기내발아 및 기관유도에 미치는 PGRs의 영향 (Effects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In Vitro Germination and Organ Formation of Wild Angelica gigas N.)

  • 이수광;조원우;이송희;박광우;최경;강호덕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56-464
    • /
    • 2012
  • 본 연구는 야생 참당귀의 무균묘 확보, 대량생산체계 확립 및 품종개발을 위해 기내발아와 기관유도에 미치는 PGRs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종자발아 실험은 전처리로 $GA_3$ 침지시간(0, 24h, 48h, 72h) 및 종자의 처리 방법(대조구, 기계적가상 처리, 표면 메탄올 가열 소독법)을 달리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 $GA_3$에 침지시키지 않고 메탄올 가열법으로 처리한 종자를 0.5 mg/L $GA_3$가 첨가된 배지에서 가장 높은 발아율(15%)을 보였으나 저조하여 발아율 향상을 위해 초음파(frequency 80 KHz) 및 PGRs($GA_3$, BA, TDZ)를 처리하였다. 그 결과 초음파 처리 후 메탄올 가열법으로 처리 한 종자를 0.1 mg/L $GA_3$가 첨가된 배지에 치상하여 발아율(60%)을 증진 시킬 수 있었다. 기내 발아된 식물체로부터 기관유도에 미치는 PGRs(2,4-D, NAA, TDZ, BA)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캘러스 유도는 줄기, 뿌리, hypocotyl을 1.0 mg/L NAA + 0.5 mg/L BA 처리구에 치상하였을 때 높은 유도율을 보였다. 신초와 뿌리유도는 각각 hypocotyl(PGRs 무첨가)과 뿌리(0.1 mg/L NAA 첨가구)에서 효율적으로 분화되었다. 또한 줄기(1.0 mg/L 2,4-D 처리구)와 hypocotyl(0.1 mg/L NAA 처리구) 조직에서 체세포배가 발생되어 MS 기본배지에 계대배양하여 정상적인 식물체로의 육성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무균묘 확보 및 대량생산 체계를 확립하였으며 이를 통해 신품종 개발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s of Plug Cell Trays, Soil and Shading Rates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Characteristics of Hippophae rhamnoides L.

  • Lee, Songhee;Cho, Wonwoo;Chandra, Romika;Han, Jiwon;Kang, Hoduck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6권1호
    • /
    • pp.55-61
    • /
    • 2020
  • In this study, basic data with respect to the introduction of Hipphophae rhamnoides L. and its cultivation in Korea could be obta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lug cell tray, Chinese origin's rate of seed germination was relatively high in 128 plug cell tray, and growth was vibrant in 50 plug cell tray. The germination and growth of Russian origin seeds showed that they were relatively effective in 50 plug cell tray and with respect to soil environment, TKS-2 soil with untreated shading relatively promoted both germination and growth for Chinese origin, the rate of germination was high in bed soil for horticulture and growth result was good in TKS-2 in the case of Russian origin. It was confirmed that the germination rate of Chinese origin H. rahmnoides L. was highest in untreated shading and the shoot growth was vibrant in 70% shading while the growth in roots was vibrant in the untreated shading. In the Russian origin, H. rhamnoides L. the germination rate in 30% and 70% shading was about 50% which was higher than that in the untreated shading and general growth was vibrant in 30% shading.

콩의 종자크기, 온도 및 GA처리가 하배축신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 Size, Temperature and GA Treatment on Hypocotyl Elongation in Soybean)

  • 이성춘;서홍일;김진호;최경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68-77
    • /
    • 1992
  • 대두재배에 있어서 단위면적당 주수를 결정하기 때문에 수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출아ㆍ입묘에 대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한국 대두 장려 품종들에 대한 하배축신장성 및 출아에 대한 조사를 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하배축신장은 파종 후 3.0-3.5일 사이에 가장 왕성하였으며 하배축신장성이 '양호'한 품종은 은하콩, 장경콩, 보광콩, 등 3품종이었고, '중' 품종은 남해콩, 단경콩, 단엽콩, 밀양콩, 덕유콩, 팔달콩, 망운조생, 남해콩, 새알콩, 등 9품종 이었고 '불량'했던 품종은 광교, 백운콩, 장백콩 등 3품종이었다. 2. 같은 품종에 있어서 종자크기별 하배축신장은 종자크기와는 반대로서 소립, 중립 및 대립 순으로 종자크기가 작을수록 오히려 하배축신장이 양호하였다. 3. 100입중과 하배축신장성과의 관계는 r=-0. 2506$^{**}$ 으로 100입중이 클수록 하배축신장성은 오히려 저조하였다. 4. 처리온도가 높을수록 하배축신장은 양호하였고, 낮을수록 저조하였는데 우리나라 대두의 하배축신장에는 30-35$^{\circ}C$가 적온이었다. 또한 처리온도 $25^{\circ}C$에서 특이하게 하배축신장이 억제되었던 품종은 발견할 수 없었다. 5. G $A_3$는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하배축신장을 촉진하였고, ABA, Kinetin및 BA는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하배축신장을 억제하여 서로 상반되는 .반응을 보였는데 그 정도는 하배축신장이 큰 품종에 비해 작은 품종에서 뚜렷하였다. 6. 습윤ㆍ고온처리에 의한 종자노후화 정도는 하배축신장이 양호하였던 품종이 불량하였던 품종보다 노후화 속도가 느려 습윤ㆍ고온처리를 하였을 때도 하배축신장이 뚜렷하게 컸다.

  • PDF

담배종자의 파종 전처리가 발아 및 묘의 균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sowing Treatments of Tobacco Seed on Germination and Seedling Uniformity)

  • 민태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507-512
    • /
    • 1993
  • 담배종자는 매우 미세하기 때문에 육묘과정에서 많은 노동력이 소요된다. 또 담배종자는 보통 2월 하순경부터 조기에 파종하는 경향이므로 저온조건에서의 발아의 안정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저온조건에서 발아가 촉진되고 또한 균일한 묘를 확보하기 위한 기술은 담배종자를 묘상에 직파했을 경우에 반드시 필요한 요건이 된다. 따라서 본시험에서는 파종 전에 담배종자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전처이하여 발아속도의 촉진 및 묘의 균일성에 미치는 영향 등을 조사하여 육묘의 성력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1. 파종 전 처리로 인하여 최종 발아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발아속도, 온실에서의 출현속도는 SMP, PEG, DPI처리에서 모두 향상되었으며 특히 SMP처리에서 월등하였다. 2. SMP처리에서 묘의 생장도 가장 켰고 아울러 묘가 가장 균일하였다. 3. SMP처리시 처리재료로 사용된 Agro-Lig의 수분함량은 일정량이상일 경우에 전처리효과에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처리시의 온도는 높은 온도(2$0^{\circ}C$)에서 처리한 것이 낮은 온도(15$^{\circ}C$)에서 처리한 것보다 정의 방향으로 발아속도 및 출현속도에 영향이 켰다.

  • PDF

Anti-inflammatory effect of Arctium minus o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 Yang, Hye-Ji;Jang, Min-Hye;Kang, Yoon Joong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15-115
    • /
    • 2019
  • Arctium minus (AM), commonly known as lesser burdock, is a dried fruit (seed) of Aructium lappa L. that belong to Asteraceae. It has been used traditionally as herbal medicine because of its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it has been applied to treat various diseases like allergies, skin aging, hyperlipidemia and urinary ston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ffects of AM on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Pre-treatment of the RAW 264.7 cells with AM considerably inhibited and reduced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interleukin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and also shows suppression of nuclear factor-kappa B (NF-${\kappa}B$) translocation. In addition, AM treatment considerably reduced phosphorylation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i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AM has potential to inhibit inflammation through suppressing produc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via both the NF-${\kappa}B$ and MAPK signaling pathway. We therefore suggest that AM might be effective therapeutics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inflammatory diseases.

  • PDF

Effect of Supplementary Feeding Strategies on the Performance of Stall Fed Dual-purpose Dairy Cows Fed Grass Hay-based Diets

  • Bwire, J.M.N.;Wiktorsson, 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3호
    • /
    • pp.359-367
    • /
    • 2003
  • Supplementary feeding strategies were evaluated from pre-calving throughout lactation on 24 dual-purpose Mpwapwa breed cows in their second or greater lactation, weighing 246-455 kg. The Mpwapwa breed is an established breed of 4 Bos indicus breeds and 8% of Bos taurus. The cows were penned and stall-fed individually. Eight weeks before calving to eight weeks after calving, the cow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offered hay ad libitum with either 2 kg DM (L) or 4 kg DM/day (H) concentrates. Nine weeks after calving half of the cows on L-level continued with 2 kg DM/day (L-L) while the remainder received 4 kg DM concentrate daily (L-H). Half of the cows on H-group continued with 4 kg DM/day (H-H) while the remainder received 2 kg DM/day (H-L). The concentrate mixture comprised of sunflower seed cake (33%) and maize bran (67%). The cows consumed all the concentrate offered. Hay DM intake was similar (6.8 kg/day) and tended to decrease the last two weeks before calving increased again after calving. Live weight change and body condition score were similar across treatments before calving but differed after calving (p<0.05). Heavier cows with higher condition score pre-calving had a higher body weight loss and regained weight later. After treatment reallocation, live weight change and condition differed between treatments (p<0.05). Calves were allowed to suckle milk from one quarter. The amount of milk suckled and calf weight gai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reatments. The cows were removed from the experiment when the milk yield was below 4 kg per day. Cows on treatment H produced 6.2 kg and on treatment L 5.0 kg saleable milk/day (p<0.05) during the first 8 weeks post partum. During the period 9-18 weeks post partum the saleable daily milk on H-H, L-H, H-L and L-L were 5.2, 4.8, 4.7 and 4.3 kg, respectively (p>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