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dimentation value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27초

우라늄계열(系列) 비평충(非平衝) 연대측정법(年代測定法)과 한반도(韓半島) 남해(南海) 상백도(上白島) 현생(現生) 퇴적층(堆積層)의 연대측정(年代測定)에 관(關)한 연구(硏究) (U-Series Disequilibrium Dating and its Application to the Recent Sediment Dating from Sangback-do, Southern Sea of Korean Peninsula)

  • 제원목;이철;박긍식;주승환
    • 자원환경지질
    • /
    • 제18권3호
    • /
    • pp.239-246
    • /
    • 1985
  • Uranium-thorium separation technique from shallow sediment and ${\alpha}$-source electrodeposition technique are established in the present work, and uranium series disequilibrium dating method is applied to the quaternary piston core from Sangback-do, South Sea of Korean Peninsula. The age of the piston core (depth 200~300cm) sampled from Latitude $34^{\circ}06^{\prime}37^{{\prime}{\prime}}$, Longitude $127^{\circ}37^{\prime}37^{{\prime}{\prime}}$ was determined as ranging from $9.0{\pm}2.2$ to $22.9{\pm}3.3$ Ky B.P, i.e., Later Pleistocene, older than Holocene which was stratigraphically known in the previous study. The sedimentation rate in the area is regular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sedimentation layer. Except a few split sections of the piston core the sedimentation rates are avarage 7.2cm/1,000 years. Where sedimentation layer is deeper, then sedimentation rate tend to be slower. It must be pointed in age calculation that initial $^{230}Th/^{234}U$ radioactivity ratio is much influenced when detrital material was introduced in the sample. The $^{230}Th/^{234}U$ activity ratio measured in the present work is 0.06 at $^{232}Th=0$, and this value shows higher analytical errors because of the low· radioactivity of $^{230}Th$ in the samples.

  • PDF

국산원료(國産原料)를 활용(活用)한 복합분(複合粉) 및 제품개발(製品開發)에 관한 연구(硏究) -제6보 복합분(複合粉)에 의한 제(製)빵에 있어서 첨가제(添加劑)의 영향(影響)- (Development of Composite Flours and Their Products Utilizing Domestic Raw Materials -Part VI. Effect of Additives on the Bread-making Quality with Composite Flours-)

  • 김형수;이희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06-115
    • /
    • 1977
  • 쌀보리가루, 옥수수가루, 감자가루, 고구마가루의 각 가루와 밀가루(강력분)를 3 : 7로 혼합(混合)한 복합분(複合粉)을 이용한 제빵에 있어서 첨가제(添加劑)로서 glyceryl monostearate(GMS), sodium stearyl lactylate(SSL),calcium stearyl lactylate(CSL), xanthan gum(XG),polysaccharide(PS)를 단독 또는 혼용(混用)하였을 때의 영향을 검토하고자 sedimentation test, amylograph 점성측정(?性測定), 제빵등의 실험을 통해서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Sedimentation value는 밀가루, 옥수수가루, 김자가루, 고구마가루, 쌀보리가루 순으로 그 값이 낮아졌으며, 밀가루와 3 : 7로 혼합(混合)한 후 첨가제(添加劑)를 첨가(添加)한 결과(結果) 모두 그 값이 증가 경향을 나타냈고. 특히 첨가제(添加劑)의 효과는 쌀보리가루 복합분(複合粉)에서 크게 나타났다. 첨가제별(添加劑別)로 살펴보면 GMS 1%+CSL 1%를 첨가(添加)한 것과 GMS 1%+SSL 1%첨가구는 비슷하게 증가효과가 크다. XG를 첨가(添加)한 경우는 gum이 산(酸)에 의해 응고되어 침전되지 않음으로 측정(測定)되지 못하였다. 2) 각 복합분(複合粉)의 amy!ograph점성(?性)에 미치는 첨가제(添加劑)의 영향은 GMS 1%+SSL 1%를 첨가한 것이 호화온도(糊化溫度), 최고점도(最高點度), 냉각정도에 있어서 그 상승효과가 가장 컸으며, 다음이 GMS 1%+CSL 1%를 첨가(添加)한 것이었고, GMS 1%+XG 1%, GMS 1%+PS 1%를 첨가(添加)한 것은 영향이 크게 못하였다. GMS 1%+XG 1%를 첨가(添加)한것은 모든 실험구에서 호화온도(糊化溫度)를 낮게 하였다. 3) 각종 복합분(複合粉)에 의한 제빵에 있어서의 첨가제(添加劑)의효과는 쌀보리가루 복합분(複合粉)에서는 GMS 1%+CSL 0.5% 첨가구가 빵의 SLV를 높이는 면에서 가장 우수 했고, 옥수수가루, 감자가루, 고구마가루 복합분(複合粉)에서는 GMS 1%+SSL 0.5% 첨가구가 가장 우수한 결과(結果)를 나타냈다. 반면에 XG의 첨가(添加)와 PS의 첨가(添加)는 빵의 loaf volume을 크게 개선하지 못하였다. 특히 쌀보리가루 복합분(複合粉)의 경우는 첨가제(添加劑)를 사용하면 그 loaf volume이 개선되어 표준빵과 매우 유사했고 외관, 식미(食味), texture등이 매우 좋았다. 4) 쌀보리가루 복합분(複合粉)에 SSL, CSL, XG, PS를 단독 1% 수준으로 첨가(添加)한 경우는 빵의 loaf volume이 개선되지 못하였다.

  • PDF

흑미가루 복합분의 이화학적 특성과 스펀지 케이크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Black Rice Flour)

  • 박영서;장학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06-411
    • /
    • 2007
  • 흑미가루 첨가비율(5-30%)에 따른 복합분의 이화학적 특성, 호화특성, mixograph 특성 및 스펀지 케이크의 제조적성을 측정하고, 이들 특성 간의 상관관계를 구명하고자 일련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흑미 가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alkaline water retention capacity, Pelshenke value, sedimentation value는 증가하였으나 water holding capacity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Mixograph peak time, height, width at peak와 Rapid Visco Analyser peak, minimum viscosity도 감소하였다. 스펀지 케이크 반죽의 pH와 비중은 증가하였지만 케이크의 부피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케이크의 경도는 증가하였다.

입자추적기법을 이용한 침전지의 효율 평가 (Estimation of Settling Efficiency in Sedimentation Basin Using Particle Tracking Method)

  • 이길성;김상훈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7권4호
    • /
    • pp.293-304
    • /
    • 2004
  • 침전지는 수처리 공정에서 중요한 조작 중 하나이며, 침전지내에서는 응집과 침전이 일어남에 따라 입자의 크기분포가 변하는 복잡한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침전지의 효율적인 설계나 운영을 위해서는 이러한 현상에 대해 이해해야만 하며, 침전효율의 극대화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침전지내의 흐름을 모의하기 위하여 범용 CFD 프로그램인 FLUENT를 이용하였으며, 침전효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FLUENT에서 제공되는 입자추적기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침전지의 형상을 지나치게 단순화시키는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실제 현장에서 사용되는 규모와 침전지내 인자들 (유입부 정류벽, 유출부 트라프 등)이 수치모의에 최대한 반영되었으며, 현장실험의 결과를 바탕으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해 수치모의에 사용되는 매개 변수들을 보정하였다. 민감도 분석 결과 입자의 직경이 입자의 밀도에 비해서 민감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고, 침전효율이 실헐결과와 가장 잘 일치할 때의 직경값을 결정해본 결과 입자의 직경값이 26.5 $\mu\textrm{m}$로 나타났다.

습식 분급으로 입도 조절된 서브 마이크론 크기의 Si 음극활물질의 전기화학적 특성 분석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Sub-micron Size Si Anode Materials Distributed by Wet Sedimentation Method)

  • 서진성;김현수;나병기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1권1호
    • /
    • pp.39-44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습식 분극을 통하여 Si 다결정의 입자 크기를 조절을 하였으며, 입자 크기에 따른 Si 음극활물질의 용량 및 수명 특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진동밀로 분쇄한 Si 입자를 습식법으로 분급한 시료의 입도를 분석한 결과 Si의 불균일한 입자 분포가 균일하게 조절이 되었다. Si를 24시간 분급한 시료의 d50이 0.50 ㎛로 감소하였다. 전기화학적 특성 분석 결과, 입자 크기의 감소로 인하여 전극 내의 저항을 나타내는 Rct 값이 현저하게 줄어들었다.분급하지 않은 Si 시료는 첫 사이클에서 2,869 mAh/g의 방전용량을 나타내었고, 100 사이클 후에는 85.7 mAh/g으로 방전용량이 감소하였다. Si를 24시간 분급한 시료의 경우에 초기에는 3,394 mAh/g의 용량을 보였으며, 100사이클 후에는 1,726 mAh/g의 용량을 유지하였다. 결과적으로 Si 입자의 크기가 감소할수록 방전용량이 증가하였으며, 사이클 수명도 증가하였다.

Dispersion stability of ultra-fine $BaTiO_3$ suspensions in aqueous medium

  • Chun, M.P.;Chung, Y.B.;Ma, Y.J.;Cho, J.H.;Kim, B.I.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239-243
    • /
    • 2005
  • The effect of pH and particle size on the dispersion stability of ultra-fine $BaTiO_3$ suspensions in aqueous medium have been investigated by means of zeta potential, sediment experiments, and powder properties (particle analysis, specific surface area) etc. Zeta potential as a function of pH for two particles of different size increases from -75 to +10 mV with decreasing pH from 8.5 to 1.4. The curve of zeta potential for small particle (150 nm) has slow slope than that of large particle (900nm), giving IEP (isoelectric point) value of pH=1.6 for small particle and pH=1.9 for large particle respectively, which means that it is more difficult to control zeta potential with pH fur small particle than large particle. The dispersion stability of $BaTiO_3$ particles in aqueous medium was found to be strongly related with the agglomeration of colloidal suspensions with time through the sedimentation behaviors of colloidal particles with time and pH value.

Investigation of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and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in Low Back Pain Patients

  • Park, Chan-Hong;Lee, Sang-Ho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3권2호
    • /
    • pp.147-150
    • /
    • 2010
  • Background: Chronic low back pain can be a manifestation of lumbar degenerative disease, herniation of intervertebral discs, arthritis, or lumbar stenosis. When nerve roots are compromised, low back pain, with or without lower extremity involvement, may occur. Local inflammatory processes play an important role in patients with acute lumbosciatic p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value of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ESR) and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hsCRP) measurements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or radiculopathy. Methods: ESR and hsCRP were measured in 273 blood samples from male and female subjects with low back pain and/or radiculopathy due to herniated lumbar disc, spinal stenosis, facet syndrome, and other diseases. The hsCRP and ESR were measured prior to lumbar epidural steroid injection. Results: The mean ESR was 18.8 mm/h and mean hsCRP was 1.1 mg/L. ESR had a correlation with age. Conclusions: A significant systemic inflammatory reaction did not appear to arise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부유성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처리법의 최적 설계 (The Optimum Design of Suspended Growth Systems)

  • 이정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1011-1019
    • /
    • 2000
  • 본 연구는 유입수의 농도, 수리학적 체류시간 및 F/M비와 슬러지 첨전성과의 상관관계를 새롭게 명확히 밝혀 기존에 제시된 각 처리법 즉 장기포기법, 재래식 활성슬러지법, 고율 활성슬러지법 및 수정포기법의 설계조건이 도출된 원인을 밝히고 동시에 이들 기 제시된 설계조건에 관계없이 설계가 가능함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실험은 특히 체류시간과 미생물의 침강성을 중심으로 고찰되었는데, 이는 슬러지의 침강성이 기존 각 처리법의 운전조건을 결정하는 주인자$^{1)}$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각각의 처리법에 대해 제시된 설계범위를 벗어날 경우 슬러지는 팽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설계의 기초를 제공한 Lesperance$^{1)}$의 실험결과에서도 침강성이 확보되지 않는 부하범위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냈다. 위와 같이 일정 조건에서 슬러지가 팽화하는 원인은 Lesperance가 이전 다년간의 실패와 시도로 밝혀진 연속운전이 가능한 것으로 밝혀진 몇몇의 운전조건을 실험조건으로 채용함에 따라 각각의 체류시간에 해당하는 최적의 부하가 적용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 실험결과 부하를 적절히 유지할 경우, F/M비 $6.3kg-BOD/kg-MLSS{\cdot}day$ 이하, HRT 0.67hr 이하의 조건에서 슬러지의 침강성이 SVI치 120 이하로 확보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체류시간과 그에 해당하는 최적 부하를 제시하였으며, 체류시간이 미생물의 침강성에 결정적 영향인자임을 밝히고, 아울러 본 실험결과를 근거로 이제까지 알려진 처리법에서는 적용된 바 없는 1시간 이하의 체류시간에서 고율 활성슬러지법의 적용 부하치를 수 배 능가하는 새로운 운전법 (UHR : Ultra high rate)도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 PDF

활성 글루텐 첨가가 쌀베이글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ctive Gluten Supplementation on the Processing and Quality of Rice Bagel)

  • 이영택;박영서
    • 산업식품공학
    • /
    • 제13권1호
    • /
    • pp.50-55
    • /
    • 2009
  • 활성 글루텐 첨가가 쌀베이글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쌀가루에 글루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보수력은 증가한 반면, 알칼리수 흡수율은 감소하였다. Pelshenke값과 침전가는 글루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유의적으로 증가는 하였으나 강력분의 Pelshenke값과 침전가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최고점도와 setback 및 peak height와 peak width는 글루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글루텐을 23% 첨가할 경우 베이글의 부피는 글루텐 11% 첨가 후와 비교할 때 2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글루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베이글의 경도, 검성 및 씹힘성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베이글의 비용적과 물 흡수력, Pelshenke값 및 침전가와는 고도의 정의 상관(r =0.962, r =0.964, r =0.966)을 나타내었다.

퇴사로 인한 저수지내용적 감소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Reduction of Reservoir Capacity by the Sedimentation)

  • 윤재한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741-2748
    • /
    • 1972
  • 이상의 조사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으며 계속 전국에 걸친 정밀한 조사를 실시하여 기설 저수지의 급수 능력과 이용방안 그리고 퇴사에 대한 연구를 해야 될 것으로 밉는다. 1. 저수지 유역의 기반암은 화강 암과 화강 편마암으로 분포되어 있고 모암 자체는 풍화 정도가 심하여 두터운 층을 나타내고 있으며 임상이나 피복상태가 비교적 불량하다. 2. 퇴사량은 년간 $120m^3/km^2-3,770m^3/km^2$의 큰 진폭을 나타내고 있어 유역 조건에 따른 차이가 극심함을 알 수 있으며, 평균 $877m^3/km^2$으로 대단히 많은 양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한국 동란등의 영향을 받아 임상상태가 불량 하였음에 기인되며 앞으로의 조림 계획에 따라 임상이 양호하여 진다면 이의 양은 감소 될 것이다. 3. 31개 저수지의 평균 퇴적기간은 26개년이며, 유역 면적 대 몽리 면적의 비율은 3:1이다. 저수지의 내용적은 계획 당시의 $2,010ha{\cdot}m$에서 $1,759ha{\cdot}m$로 감소되었다. 이는 12.4%로서 년간 0.48%의 내용적 감소가 있었다. 4. 단위 저수심은 현재 370mm이며 대부분의 저수지가 급수의 부족을 나타내고 있다. 현황에 따라 매립하여 신규 개발 계획에 삽입하여야 될 곳도 있으며 존속 시키는 저수지에 대하여는 준설 또는 제당을 더 쌓기하여 필요한 수자원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단지 계획 지구내에 있는 기설지구의 추가 필요수량은 신규 수원에서 보급하는 계획이 수립되여야 한다. 5. 보편적으로 규모가 크고 농조관내에 속하는 저수지는 유지관리 상태가 양호하나 규모가 작고 수리계 기타 형식으로 관리되는 저수지는 취수장치 또는 제당터에서의 누수등 극히 불량하며 수자원의 손실등 시설물의 유지 관리에 결함을 나타내고 있다. 6. 용수원 개발에 있어서 저수지의 시설과 아울러 중요한 것은 수원함양과 퇴사 방치를 위한 저수지 유역의 수림조성과 시설물의 유지관리 및 물관리의 철저를 기할 수 있는 강력한 대책이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