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dimentary rock

검색결과 414건 처리시간 0.031초

경북 일원의 화성암 산지와 퇴적암 산지의 삼림식생에 대한 식생학적 비교 (A Phytosociological Comparison of Forest Vegetation between Igneous and Sedimentary Rock Areas in Kyungpook Province, South Korea)

  • 제갈재철;김종원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6권1호
    • /
    • pp.23-28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경북 청송·영천 지역의 화성암 산지와 의성·안동 지역의 퇴적암(역암 또는 역질사암) 산지에 대한 식생 구조를 비교하여 토지적 지표성을 가지는 식물종과 식물군락을 규명하였다. 두 지역에서 3영급 이상의 삼림식생으로부터 Z.-M.방법에 의해 108개의 식생자료를 획득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총 85과 239속 444종로 이루어진 25개 식물군락을 구분하였으며, 식물군락 간의 유사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출현식물종의 상대순기여도에 의한 PCA(Principal Coordinates Analysis)의 좌표결정법을 이용하였다. 화성암 산지에서는 졸참나무, 신갈나무, 생강나무, 쇠물푸레나무 등 139종의 상대순기여도가 증가하였으나 서어나무와 때죽나무는 감소하였다. 퇴적암 산지에서는 갈참나무, 산초나무, 양지꽃, 붉나무, 방아풀 등의 96종이 증가하고, 신갈나무-생강나무군단의 주요 표징종들인 신갈나무, 졸참나무, 철쭉나무, 고로쇠나무, 쪽동백나무 등은 감소하였다. 뿐만 아니라 조릿대, 느티나무-박쥐나무군락, 들메나무-고광나무군락 등은 결석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의성·안동의 퇴적암 산지의 종조성과 식물군락은 지역의 퇴적암 토지, 구릉성 지형의 인간간섭의 용이성, 그리고 과우기후 등의 독특한 환경조건의 총화로부터 기인하는 왜생(倭生)한 소나무림 및 소림상(疏林相)의 활엽수림으로써 화성암 산지의 삼림식생과 구별되는 지역식생형(regional vegetation type)으로써의 그 독특성이 인정되었다.

강원도 삼척지역의 스멕타이트질 점토의 산상 및 특성 (Occurrence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Smectite-rich Clays from the Samcheok Area in Kangwon-do, Korea)

  • 황진연;박성완;이상현;최수용
    • 자원환경지질
    • /
    • 제28권1호
    • /
    • pp.1-8
    • /
    • 1995
  • The smectite-rich clays were found locally in Paleozoic calcareous sedimentary rocks in the Samcheok area. Their occurrences were investigated in detail, an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clays were also determined by X-ray diffraction, chemical analysis, thermal analysis and cation exchanging experiment. The smectite clays occur as the fissure filling dyke developed in calcareous sedimentary rock and as alteration products of intrusive rhyolite. Most of clays occur at the contact between the sedimentary rock and the rhyolite, and the alteration zone was observed only in rhyolite body close to the contact. Judging from their occurrences, it is believed that the smectite-rich clays in this area were formed by the hydrothemal alteration. The smectite clays from the area are mainly composed of Ca-montmorillonite, and associated with small quantities of quartz, opal-CT and feldspar. The montmorillonites from this area are lower in Fe content, and higher in exchangeable Ca ion, compared to those of bentonite from the Yangnam-Yeongil area.

  • PDF

江原道 旌善郡 檜洞理一帶의 石灰巖層(檜洞理層)에 대한 古海洋學的 (堆積巖石學的) 硏究 (Sedimentary Petrology and Paleo-oceanography of the Hoedongri Formation, Jeongseon,-Kun, Kangweon-Do, Korea)

  • 박용안;장진호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40-48
    • /
    • 1985
  • 강원도 정선군 회동리 일대와 행매동일대에 분포하는 조선누층군의 회동리 석 회암층(사일무리아기)에 대한 고퇴적환경의 규명을 목적으로 암상과 퇴적구조에 대 한 연구가 시행되었다. 연구 결과 회동리층은 불용성 잔류물의 함량이 많고 (평균17 %), 화석의 산출이 빈약한 mudstone facies와 wackestone facies로 구성되며 crypt-algalaminates, bird's eye structures, evaporite pseudomorphs, bioturbated mottle structures, detrital quartz pockets, 및 cross bedding등의 특징적인 퇴적구 조가 나타나고 있음이 밝혀졌다. 회동리층의 이러한 퇴적구조들의 층서적 분포양상 과 암상적 특성을 종합하여 볼 때, 본 역의 회동리석회암층은 주로 고염분의 상조 대(supratidal zone)와 조간대(intertidal zone)에서 퇴적된 것으로 사료된다.

한반도 동해안의 모래해안 발달과 암석 분포 사이의 상관성 (The Relation between Sandy Shore Distribution and Basic Rock in the Ea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 김영래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1-35
    • /
    • 2018
  • The distribution and size of sandy beaches along eastern Korea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presence of granite rocks. In general, elongated and wide beaches with abundant sands are likely to develop along the coasts where granitic basic rocks comprise the dominant geology or where a large amount of sands are supplied by streams from inland granitic rocks. Small sandy beaches, in contrast, appear in non-granitic rocks (i.e., under sedimentary and/or metamorphic geology). Hence, large beaches are observed continuously along the shore of Gangwon-do, of which coasts consist predominantly of granitic geology. Such continuity declines from Samcheok city to Pohang city. The rock of Gyeonbuk-do is commonly known as sedimentary, deposited between the late Triassic and the early Tertiary Periods. Because few sands are supplied from the upstream areas, sandy beaches unlikely develop along the coasts of the province, only showing a sporadic, discontinuous distribution under Bulguksa granite, granitic gneiss, and some volcanic rocks. Erosion was rarely observed in the beaches where granitic rocks are distributed, whereas merely five beaches seemed to have undergone some level of erosion in non-granitic regions. This is presumably because a larger amount of sands than that which had been eroded away was replenished in areas under granitic geology, while under non-granitic geology having a deficit in sands, no large sandy beaches had formed at first.

퇴적암 기반 터널에서의 지질인자별 변위 영향도를 고려한 RMR 수정 제안 (Suggestion of a Modified RMR based on Effect of RMR Parameters on Tunnel Displacement in Sedimentary Rocks)

  • 서용석;임성빈;나종화;박시현
    • 지질공학
    • /
    • 제18권2호
    • /
    • pp.197-205
    • /
    • 2008
  • 보강효과 및 계측조건의 영향이 배제된 무보강 상태의 전변위는 터널 굴착에 따른 암반 거동의 정량적 지표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위는 지질학적 특성에 의존한다. 본 연구는 암반 상태별로 굴착에 따른 암반의 거동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는 암반 평가법의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퇴적암을 기반으로 하는 터널을 대상으로 형상, 굴진장 및 굴착 조건 등이 고려된 3차원 수치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긍 암반 상태에 따른 무보강 상태의 전변위를 산정하였다. 그리고 산정된 전변위를 외적기준으로 하고, 각 RMR 인자들을 설명변수로 하는 수량화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각 RMR 인자의 변위 영향도를 결정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수정된 RMR 배점 체계를 제안하였다.

한국의 암석 열전도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rmal conductivities of rocks in Korea)

  • 박정민;김형찬;이영민;송무영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49-451
    • /
    • 2007
  • We made 980 thermal conductivity measurements on igneous, metamorphic, sedimentary, and volcanic rock samples from Korea. The average thermal conductivity of igneous, metamorphic, sedimentary, and volcanic rocks are 3.41 W/m-K, 3.98 W/m-K, 4.10 W/m-K, and 3.21 W/m-K, respectively. Thermal conductivity values of a rock type generally have a wide range because thermal conductivity depends on various factors such as dominant mineral phase, micro-structure, anisotoropy and so on. Thermal properties (thermal conductivity, thermal diffusivity and specific heat) are important variables which are used to design a geothermal heat pump(GHP) system. Therefore, our thermal property data can contribute on a efficient design of a GHP system.

  • PDF

암석의 탄성파속도 거동특성과 역학 parameter와의 상관성 해석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Velocity of Elastic Wav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Rocks)

  • 이종석;문종규;최웅의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1권1호
    • /
    • pp.50-65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퇴적암, 화성암, 변성암군의 10개 암종-1,417개의 시험자료를 이용하여 탄성파속도와 각종 역학적 parameter간의 상관성해석을 시행하였다. 해석 과정에서 나타나는 암종과 역학 parameter간의 거동특성이 상의함을 구명하였으며, 거동이 동일한 암종들을 모집단으로 상관성 해석을 하였다. 각종 시험자료는 표본의 규모 검정과 Chi-Square검정을 거친 후 해석에 임하였다. 도출된 추정식들은 95% 신뢰도가 확보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퇴적암에 대한 경험적 암석강도 추정에 대한 고찰 (Empirical Rock Strength Logging in Boreholes Penetrating Sedimentary Formations)

  • 장찬동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7권3호
    • /
    • pp.174-183
    • /
    • 2004
  • 퇴적암반에서의 암석 강도는 시추공 굴착 과정에서 동반될 수 있는 시추공 불안정이나 효율적인 모래 생산 평가, 또는 시추공 압축 파쇄대를 이용한 지반 응력장 추정 문제 등 다양한 범위의 지질 역학적 문제들에 있어서 선결적으로 규명되어야 할 요소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종류의 퇴적암(사암, 셰일, 석회암, 방해석 등)에서의 일축 압축 강도와 기타 물성(속도, 탄성계수, 공극률)을 관계 짓는 경험식들을 수집하여 검토하였다. 이들 경험식들은 시추공 물리검층을 통해 측정 가능한 파라미터들로 암석 강도를 추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일부 관계식들(예를 들어 사암이나 셰일의 강도-공극률 관계식)은 일정정도 만족스러운 강도 추정 도구로 이용될 수도 있지만, 각각의 물성 측정치에 대한 암석 강도가 상당히 분산되어 있어 모든 자료를 만족스럽게 예측하기에는 충분히 일반화 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들 경험식들을 이용하기 전에 해당 지역에 대한 강도-물성 관계 캘리브레이션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장 암석 강도의 최저 한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몇몇 경험식들은 시추공 불안정 분석과 관련하여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