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경북 일원의 화성암 산지와 퇴적암 산지의 삼림식생에 대한 식생학적 비교

A Phytosociological Comparison of Forest Vegetation between Igneous and Sedimentary Rock Areas in Kyungpook Province, South Korea

  • 발행 : 2003.02.01

초록

본 연구에서는 경북 청송·영천 지역의 화성암 산지와 의성·안동 지역의 퇴적암(역암 또는 역질사암) 산지에 대한 식생 구조를 비교하여 토지적 지표성을 가지는 식물종과 식물군락을 규명하였다. 두 지역에서 3영급 이상의 삼림식생으로부터 Z.-M.방법에 의해 108개의 식생자료를 획득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총 85과 239속 444종로 이루어진 25개 식물군락을 구분하였으며, 식물군락 간의 유사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출현식물종의 상대순기여도에 의한 PCA(Principal Coordinates Analysis)의 좌표결정법을 이용하였다. 화성암 산지에서는 졸참나무, 신갈나무, 생강나무, 쇠물푸레나무 등 139종의 상대순기여도가 증가하였으나 서어나무와 때죽나무는 감소하였다. 퇴적암 산지에서는 갈참나무, 산초나무, 양지꽃, 붉나무, 방아풀 등의 96종이 증가하고, 신갈나무-생강나무군단의 주요 표징종들인 신갈나무, 졸참나무, 철쭉나무, 고로쇠나무, 쪽동백나무 등은 감소하였다. 뿐만 아니라 조릿대, 느티나무-박쥐나무군락, 들메나무-고광나무군락 등은 결석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의성·안동의 퇴적암 산지의 종조성과 식물군락은 지역의 퇴적암 토지, 구릉성 지형의 인간간섭의 용이성, 그리고 과우기후 등의 독특한 환경조건의 총화로부터 기인하는 왜생(倭生)한 소나무림 및 소림상(疏林相)의 활엽수림으로써 화성암 산지의 삼림식생과 구별되는 지역식생형(regional vegetation type)으로써의 그 독특성이 인정되었다.

In order to identify plant species and communities characteristic of lithospheric condition, forest vegetations of igneous(mainly granite) and sedimentary(mainly sandstone) areas in Kyungpook province were compared. We collected 108 phytosociological releves from the older forests over 20 years old. 444 vascular plant species and 25 plant communities were identified. Results of Principal Coordinates Analysis (PCA) indicated that lithospheric conditions and human impacts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related to the plant community diversity and species richness. In the igneous rock areas net contribution degree (rNCD) of 139 species including Quercus serrata, Q. mongolica, Lindera obtusiloba and Fraxinus sieboldiana increased and those of Carpinus laxiflora and Styrax japonica decreased. In the sedimentary rock areas, to a lesser extent, 96 species including Q. aliena, Zanthoxylum schinifolium, Potentilla fragarioides var. major, Rhus javanica, and Plectranthus japonicus increased, whereas character species of Lindero-Quercion mongolicae such as Q. mongolica, Q. serrata,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Acer mono and Styrax obassia decreased, and particularily the species Sasa borealis, the Alangium-Zelkova serrata community and the Philadelphus-Fraxinus mandshurica community were absent. The vegetation of sedimentary rock area is characterized as a regional type shaping dwarf pine forests and sparse and light broad-leaved forests.

키워드

참고문헌

  1. 경북통계연보 경상북도
  2. 기상청 홈페이지 기상청
  3. 우리나라의 자연환경 현황분석 연구 김종원
  4. 한국생태학회지 v.20 다항목 매트릭스 식생평가 기법(식생의 자연성 평가에 대한 새로운 기법과 그 적용) 김종원;이은진
  5. 제 2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청송·영천(10-13)의 자연환경 김종원;제갈재철
  6. 제 2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의성(10-07)의 자연환경 김종원;제갈재철
  7. 우리 나라 강수의 지역성 문영수
  8. 경북대논문집 v.7 한국유관속식물의 분포와 식물지리학적 연구 오수영
  9.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이우철
  10. 한국생태학회지 v.12 한국산 소나무림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이우철;이철환
  11. 목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한국 다도해역과 일본 장기현에 분포하는 상록광엽수림의 비교연구 오장근
  12. 임상도 임업연구원
  13. 임상도 임업연구원
  14. 한국 지질도 자원개발연구소
  15. 계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화성암산지 및 퇴적암산지 삼림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비교연구 제갈재철
  16. 제 2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청송·영천(10-13)의 자연환경 환경부
  17. Bot. Rev. v.23 The Zurich-Montpellier school of phytosociology Becking,R.W. https://doi.org/10.1007/BF02872328
  18. Pflanzensoziologie (3rd. ed.) Braun-Blanquet,J.
  19. Korean J. Ecol. v.15 Classification of calcicoles and calcifuges on the ratio of soluble to insoluble ${Ca}^{2+}$ and ${Mg}^{2+}$ in the leaves Kim,J.H.;Y.S.Kwak;H.T.Mun
  20. Abstracta Botanica v.14 Syntaxonomic scheme for the deciduous oak forests in South Korea Kim,J.W.
  21. PhD thesis of the Vienna University Vegetation of Northeast Asia. On the syntaxonomy and syngeography of the oak and beech forests Kim,J.W.
  22. J. Plant Biology v.39 Floristic characterization of the cool-temperate oak forests in the Korean peninsula using high-rank taxa Kim,J.W.
  23. J. Inst. Nat. Sci. v.16 A map of vegetation naturalness using the MM-technique Kim,J.W.;E.J.Lee
  24. Academia Sinica Monogrph v.16 Plant diversity in the cool-temperate forests of northeast Asia, with emphasis on Korea Kim,J.W.
  25. Korean J.Ecol. v.17 Syntaxonomical and synch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ol-temperate mixed forest in the Southern Sikhote Alin, Russian Far East Kim,J.W.;Y.I.Manyko
  26. Korean J. Ecol. v.17 Comparison of the structure of grassland communities and the perfomance of calcicoles and calcifuges on the limestone and the granite areas Kwak,Y.S.;Y.S.Chong;K.J.Chin;K.S.Min;J.H.Kim
  27. Syn-Tax 2000 Computer program for data analysis in ecological and systematics Podani,J.

피인용 문헌

  1. Syntaxonomical and Synecological Research of Forest Vegetation on Mt. Byeokbang vol.25, pp.6, 2015, https://doi.org/10.5352/JLS.2015.25.6.646
  2. Korean traditional village forest (Ma-Eul-Soop) and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A case study on the Sachon-Ri Garo-Soop in Gyeongsangbuk-do, South Korea vol.59, pp.5, 2016, https://doi.org/10.1007/s12374-015-0572-0
  3. Syntaxonomical and Synecological Description on the Forest Vegetation of Juwangsan National Park, South Korea vol.32, pp.1, 2018, https://doi.org/10.13047/KJEE.2018.32.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