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tion area ratio

검색결과 304건 처리시간 0.025초

공벽 유지장치를 이용한 미고결 충적층의 수리특성 평가 (Using a Borehole Stability Device for Hydraulic Testing in Unconsolidated Alluvium)

  • 원경식;김천수;채수용;신동민
    • 지질공학
    • /
    • 제26권1호
    • /
    • pp.15-22
    • /
    • 2016
  • 충적 대수층의 수리지질특성 시험을 위한 충적층 공벽 유지장치를 개발하여 변수위법 투수시험(Falling Head Test) 및 순간 충격시험(Slug Test)을 수행하였다. 모래, 자갈을 비롯한 실트층이 주를 이루는 국내 충적층 수리시험은 시험구간의 공벽유지와 시험 중 토사층의 공벽붕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투수시험과 순간충격시험 등의 수리시험 수행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개공율이 안정적인 필터가 장착된 공벽 유지장치를 시험공에 삽입하여 시험구간 공벽붕괴를 최소화하고 시험시 정확한 단위면적의 산출로 토사층에서의 수리시험 신뢰성을 증대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기존의 변수위법 투수시험에 의한 투수계수는 8.82 × 10−5m/sec로 산출되었으며, 동일한 지층, 심도, 시간적인 조건에서 상기 공벽 유지장치 설치 후 투수시험 결과는 4.00 × 10−4m/sec로 나타나 최대 4.5배 가량의 투수계수 증가현상을 보인다. 이는 시추굴진 중 발생된 세립질의 슬라임이 투수시험 시 시험구간에 피복 또는 충전되어 토사층의 투수성을 저하시키고 시험구간 형성과정에서 최초 원기둥 형태의 시험공벽이 점진적인 붕괴로 인해 토사로 충전되고 시험구간 면적감소에 기인한 현상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미고결 충적층의 공벽 유지장치를 현장에 적용하여 시험구간 굴진 시 발생되는 점착력이 낮은 모래, 자갈층의 공벽붕괴에 따른 시험면적 변화가 투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연구로써, 충적 대수층 수리특성 평가의 신뢰성 및 적용성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사수트렉터를 위한 효율적인 정기방법과 포장형상에 관한 연구 (Studies on Efficient Plowing Methods and the Shapes of Field for 4 Wheel Tractor)

  • 원장우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019-2028
    • /
    • 1970
  • 1. 트랙터에 의(依)한 효율적(效率的) 경기방법(耕起方法)을 실험(實驗) 고찰(考察)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가. 포장내측경기(圃場內側耕起)에 있어서 선회소요시간(旋回所要時間)을 최소(最少)하는 효율적(效率的) 선회법(旋回法)은 선회간격(旋回間隔)이 zr(r=최소선회반경(最少旋回半徑))보다 작을때는 Q 자형(字型), 클때는 U 자형(字型)이다. 나. 포장내측경기(圃場內側耕起)의 단위선회구(單位旋回區) 건(巾) w는 2.5r 시(時) 가장 효율적(效率的)이다. 다. 포장주변부(圃場周邊部) 경기(耕起)에 있어서는 W>-0.0345L + 35.84 시(時)는 혼합경법(混合耕法)이 능률적(能率的)이고 W<-0.0345 + 35.84 시(時)는 반접속경법(半接續耕法)이 능률적(能率的)이다. 라. 포장주변부(圃場周邊部)의 건(巾)l는 내측경기시(內側 耕起時)와 주변경기시(周邊耕起時)에 있어서 모두 적을수록 효과적임으로 최소치(最少値)인 2r가 가장 적합(適合)하다. 2. 트랙터에 의(依)한 단위포장(單位圃場)과 경기능률(耕起能率)과의 관계(關係)를 고찰(考察)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가. 종횡비(縱橫比)$\frac{L}{W}$ 및 면적(面積) A가 크면 일반적(一般的)으로 경기능률(耕起能率)은 증가(增加)한다. 나. 경기능률(耕起能率)의 증가율(增加率)은 종횡비(縱橫比) 및 면적(面積)이 크면 클수록 증가율(增加率)이 점차적으로 감소(減少)한다. 다. $\frac{L}{W}-T$ 곡선(曲線)에서 $\frac{L}{W}$에 대(對)한 T의 변화(變化)가 큰 범위(範圍)는 대략(大略) 20a에서 6, 30a에서 5, 50a에서 4, 80a에서 3, 100a에서 2.5 이내(以內)이다. 라. T-A 곡선(曲線)의 변화율(變化率)은 $\frac{L}{W}$의 영향(影響)을 받으나 대략(大略) $T=A^{-\frac{2}{3}}$ 곡선(曲線)의 변화율(變化率)과 같다. 마. 종횡비(縱橫比)가 3이상(以上)일때는 면적(面積)의 크기에 상관(相關)없이 경기능률(耕起能率)에 미치는 10a 면적증가(面積增加)의 효과는 약(約) 5 정도(程度)의 종횡비(縱橫比) 증가효과와 같다. 바. 종횡비(縱橫比)가 $2{\sim}3$일때는 면적(面積)의 크기에 상관(相關)없이 경기능률(耕起能率)에 미치는 10a 면적증가(面積增加)의 효과는 약(約) $4{\sim}2$ 정도(程度)의 종횡비(縱橫比) 증가효과와 같으면 이는 종횡비(縱橫比)가 적을수록, 면적(面積)이 클수록 차차(次次) 감소(減少)한다.

  • PDF

Achieving a Nitrogen Balance for Japanese Domestic Livestock Waste: Testing the Scenario of Planting Feed Grain in Land Left Fallow

  • Kaku, K.;Ikeguchi, A.;Ogino, A.;Osada, T.;Hojito, M.;Shimada,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7호
    • /
    • pp.1026-1032
    • /
    • 2004
  • In this study, we assess the recent changes in the amount of excretion by the livestock industry, and discuss the effects of increasing the ratio of cultivated land on the reduction of surplus nitrogen from a cost-performance perspective. Nitrogen has contributed to acidification of ecosystems and nitrate concentrations in groundwater, especially in Europe. Therefore, we assessed the level of nitrogen waste from the domestic Japanese livestock industry, including cattle, swine and poultry during the period 1987-2001. This assessment assumed that 40% of the nitrogen from the domestic livestock industry was emitted as gas into the air and that 60% of the nitrogen was contained in manure used on domestic cultivated land. Nitrogen excreted from livestock, excluding gas emission, decreased by 11% from 0.504 million tons to 0.447 million tons during 1993-2001. Thus, the peak period of nitrogen excretion from livestock is already past in Japan. However, the area of cultivated land under management also decreased during 1990-2000. In addition, the area of paddy and upland fields left unplanted for a year increased during 1990-2000. Therefore, if all manure from the domestic livestock industry had been utilized on the fields as organic fertilizer, but not on arable land left uncultivated for the past year, the nitrogen per net area of cultivated land would have increased by 5%, from 125 to 131 N kg/ha, during 1990-2000. To reduce the nitrogen ratio on cultivated land through the planting of feed grain to utilize the nitrogen, a comparison of the cost performance of feed grains indicated that barley would be more suitable than wheat, rice or soybean. Had barley been planted in 100% of the land left fallow for the past year in 2000, 4% (20,000 tons) of the nitrogen from livestock waste would have been used in the harvest, and the nitrogen per land unit would have not increased but decreased from 125 to 121 N kg/ha during the same decade. Furthermore, when converted into Total Digestible Nutrients, 7% of imported feed corn could have been replaced with the harvested barley in 2000. Planting barley on this fallow land had three benefits; reducing the risk of manure overload on the land, slowing down the decrease in cultivated land, and raising the feed self-sufficiency ratio. Thus, it would be beneficial to plant feed grain such as barley in land left fallow for the past year through utilization of manure.

Comparative study on the osseointegration of implants in dog mandibles according to the implant surface treatment

  • Yoon, Wook-Jae;Kim, Su-Gwan;Oh, Ji-Su;You, Jae-Seek;Jeong, Kyung-In;Lim, Sung-Chul;Jeong, Mi-A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2권6호
    • /
    • pp.345-351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compared the impact of implant surface treatment on the stability and osseointegration of implants in dog mandibles. Materials and Methods: Six adult dogs received a total of 48 implants that were prepared using four different surface treatments; resorbable blast media (RBM), hydroxyapatite (HA), hydrothermal-treated HA, and sand blasting and acid etching (SLA). Implants were installed, and dogs were separated into 2- and 4-week groups. Implant stability was evaluated via Periotest M, Osstell Mentor, and removal torque analyzers. A histomorphometric analysis was also performed. Results: The stability evaluation showed that all groups generally had satisfactory values. The histomorphometric evaluation via a light microscope revealed that the HA surface implant group had the highest ratio of new bone formation on the entire fixture. The hydrothermal-treated HA surface implant group showed a high ratio of bone-to-implant contact in the upper half of the implant area. Conclusion: The hydrothermal-treated HA implant improved the bone-to-implant contact ratio on the upper fixture, which increased the implant stability.

비조밀단면을 가진 SC 합성 기둥의 비선형 해석 (Inelastic Analysis of Steel-Concrete Composite Column with Non-Compact Steel Section)

  • 오명호;장태영;김명한;김대중;김상대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7권1호통권74호
    • /
    • pp.63-71
    • /
    • 2005
  • 최근 기존의 합성 기둥들이 가지는 단점은 보완하고 장점은 유지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기둥 시스템으로 철골-콘크리트 합성 기둥(SC 합성 기둥)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자는 선행 실험 연구를 통해 SC 합성 기둥의 압축 내력을 평가하였지만, 실험실의 용량 부족으로 대형 기둥에서의 실험은 수행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실험 연구의 후속 연구로서 범용 유한요소 해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와 철골의 상호 작용 및 비조밀단면을 가진 철골 플랜지의 국부좌굴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유한요소해석 모델은 기 수행된 압축 실험값과 비교하여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이렇게 검증된 해석적 모델을 이용하여 대형 크기의 기둥에 대해 비선형 해석을 수행하여 단면 증대에 따른 SC 합성 기둥의 비선형 거동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비선형 해석 결과 SC 합성 기둥의 철골 단면의 폭-두께비는 25.0을 초과하지 않아야 하고, 연결재의 단면적은 $0.025d{\cdot}t$ 이상, 연결재의 간격은 d/2 또는 최대 300mm이하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매립장 주요 배출경로별 매립가스 표면발산량 및 산화율 분석 (Analysis of surface emission and oxidation rate of landfill gas by major discharge path of landfill)

  • 천승규;박종근;김명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425-434
    • /
    • 2023
  • 수도권에 위치한 S매립장 내 3개의 매립장을 대상으로 매립가스 배출 및 주요 경로별 표면발산과 관련된 분석을 하였다. 전체 매립가스 발생비율 10.9%인 LS1이 총 표면발산 비중은 49.4%를 차지하고 있었다. 3개 매립장에서의 메탄의 총 표면발산은 13.6 Nm3/min로서, LS1 8.4 Nm3/min (61.7%), LS2 4.0 Nm3/min(29.4%), LS3 1.2 Nm3/min(8.9%)이고, 발산경로별로는 상부 7.3 Nm3/min (53.2%), 사면 6.4 Nm3/min(46.7%), 다이크 0.02 Nm3/min(0.1%)이었다. 3개 매립장의 주요 배출경로별 산화율은 다이크가 87.5%로 가장 크고, 상부 72.3%, 사면 71.8% 순이었다. 메탄을 기준으로 표면발산 기여율은 매립장 별로 LS1이 전체의 61.7%로 가장 컸다. 주요 배출경로별로는 LS1의 사면이 전체의 41.7%, LS2의 상부 24.4%, LS1의 상부 20.0%로서 S매립장의 전체 메탄 표면발산량의 86.1%를 차지함에 따라 향후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UAV 기반의 공간정보와 무한사면해석모형을 활용한 산사태 위험도 평가 (Landslide Hazard Evaluation using Geospatial Information based on UAV and Infinite Slope Stability Model)

  • 이근상;최연웅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5권2호
    • /
    • pp.161-173
    • /
    • 2015
  •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집중호우로 산사태 및 토석류가 발생하여 많은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UAV 측량기술을 활용하여 산사태 평가에 필요한 DSM과 정사영상을 신속하게 구축하였으며, 이를 무한사면해석모형에 적용하여 산사태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대상지역에 대한 산사태 위험도를 평가한 결과, 산사태 위험도 구간인 $SI{\leq}1.0$에서의 분포면적이 $46,396m^2$로 분석되었으며 분포비율로는 전체지역의 18.2%로 나타났다. 특히 산사태 발생이 매우 심각하여 사면보강 대책을 시급히 시행해야 되는 구간인 $SI{\leq}0.0$의 면적은 $7,988m^2$로서 전체지역의 0.8%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사면안정지수에 의한 산사태 위험도와 물골분석에 의한 토석류 위험도를 종합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집중호우 시 산사태에 따른 토석류 위험지역을 선정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산사태 및 토석류 위험지역은 향후 사면보강이나 주민안전대책 수립을 위한 의사결정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RADICAL IGNITION TECHNIQUE IN A CONSTANT VOLUME CHAMBER

  • Park, J.S.;Ha, J.Y.;Yeom, J.K.;Lee, J.S.;Lee, C.J.;Chung, S.S.
    • International Journal of Automotive Technology
    • /
    • 제8권3호
    • /
    • pp.269-274
    • /
    • 2007
  • A prior fundamental study was executed using a constant volume chamber (CVC) to improve the burning characteristics of lean pre-mixture by the injection of active radicals generated in the sub-chamber of the CVC. The Radical ignition (RI) technique shows remarkable progress in the burning velocity and combustible lean limit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spark ignition (SI) technique. The optimum design value of the sub-chamber geometry is near $0.11cm^{-1}$ for the ratio of the total area of the holes to the sub-chamber volume $(A_h/V_s)$. In this study, based on the former experimental results, the additional works have been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geometry change in the number $(N_h)$, the total section area $(A_h)$, and diameter $(D_h)$ of the passage holes on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in the CVC. Also ambient conditions such as the initial temperature and the initial pressure of the mixture were selected as experimental parameters and the effects of residual gas at the chamber on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ssage hole number and overall passage hole area was grasped. The effects of the initial temperature were significant, but on the other hand, those of the initial pressure were weak. A more detailed analysis on the residual gas is required in the future.

Community Structure, Phytomass, and Primary Productivity in Thuja orientalis Stands on Limestone Area

  • Kwak, Young-Se;Lee, Choong-Il
    • Environmental Sciences Bulletin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 /
    • 제3권3호
    • /
    • pp.189-196
    • /
    • 1999
  • The community structure, phytomass, and primary productivity in Thuja orientalis stands on a limestone area located in Maepo-up, Chungbuk province in Korea were estimated quantitatively. Seven species including a small proportion of Quercus dentata were identified in the tree layer, 26 species including Ulmus macrocarpa in the shrub layer, and 79 species including Carex lnceolata in the herb layer of the Thuja stands.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the fine root phytomass exhibited a power functional decrease relative to the soil depth. The seasonal changes in the fine root phytomass at a soil depth of 5 cm were closely related to the pecipitation in the study area. The productivity of the stand of stems, branches, leaves, and roots were 10.72, 0.82, 0.45 and 6.46 ton DM. $ha^{-1}$ .$yr^{-1}$, respectively. The Thuja stand had a high foliage(25%) and low rate of production per unit of foliage. The annual turnover rate of the fine roots int he Thuja stand was 6.71 $yr^{-1}$. The net primary production of the overstory including the understory was estimated at 19.48 ton DM.$ha^{-1}$.$yr^{-1}$ including an underground section of 6.46 ton DM.$ha^{-1}$.$yr^{-1}$(33%). The allocation ratio of net production to root was lower in the limestone Thuja communities than at the nearby non-limestone ones, whereas the production efficiency to leaf weight was higher in the limestone communities. These results would seem to indicate that the limited production capacity is due to the calcium toxicity and low availability of iron and phosphorus in a limestone soil with a high pH, calcium, and bicarbonate content with a strategy for survival in a hostile habitat.

  • PDF

폐쇄성 수면무호흡 환자의 상기도 형태의 특징과 압력강하에 관한 3차원 전산유체역학해석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upper airway and pressure drop analysis using 3D CFD in OSA patients)

  • 모성서;안형택;이정선;정유삼;문윤식;배응권;성상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66-76
    • /
    • 2010
  • 폐쇄성 수면무호흡(obstructive sleep apnea, OSA)은 수면 중에 반복적으로 상기도의 완전폐쇄나 부분폐쇄가 일어나는 질환으로서 흡기된 공기는 반드시 상기도라는 연조직 관(tube) 구조를 통과해야 하므로 상기도의 폐쇄경향은 관의 형태 및 관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체역학적 특성에 따라서도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OSA 환자 3인의 치료 전 상기도 CT 이미지를 이용하여 개별화된 3차원 유한요소모델 A, B, C를 제작하고, 비공 당 170, 200, 230 ml/s의 흡기유량에 대하여 3차원 전산유체역학 해석을 시행하였다. 상기도의 유속, 음압 그리고 압력강하를 측정한 결과 관찰된 3개의 모델에서 모두 단면적이 가장 작은 부위에서 유속이 증가하였고, 음압이 크게 나타났다. 기도의 형태는 구개인두와 구인두 부위에서 좁아지는 형태를 가지며, 최소 단면적 영역과 하인두 단면적의 차이가 클수록 유속과 음압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비강 부위의 최고 압력과 최소 단면적 영역의 최저 압력의 차이를 의미하는 압력강하는 상기도 저항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이며, 유량에 따라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