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ondary wave system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9초

흡기계 능동소음제어를 위한 적응형 필터 알고리즘의 개발 (Design of a New VSS-Adaptive Filter for a Potential Application of Active Noise Control to Intake System)

  • 김의열;김병현;김호욱;이상권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146-155
    • /
    • 2012
  • The filtered-x LMS(FX-LMS) algorithm has been applied to the active noise control(ANC) system in an acoustic duct. This algorithm is designed based on the FIR(finite impulse response) filter, but it has a slow convergence problem because of a large number of zero coefficients. In order to improve the convergence performance, the step size of the LMS algorithm was modified from fixed to variable. However, this algorithm is still not suitable for the ANC system of a short acoustic duct since the reference signal is affected by the backward acoustic wave propagated from a secondary source. Therefore, the recursive filtered-u LMS algorithm(FU-LMS) based on infinite impulse response(IIR) is developed by considering the backward acoustic propagation. This algorithm, unfortunately, generally has a stability problem. The stability problem was improved by using an error smoothing filter. In this paper, the recursive LMS algorithm with variable step size and smoothing error filter is designed. This recursive LMS algorithm, called FU-VSSLMS algorithm, uses an IIR filter. With fast convergence and good stability, this algorithm is suitable for the ANC system in a short acoustic duct such as the intake system of an automotive. This algorithm is applied to the ANC system of a short acoustic duct. The disturbance signals used as primary noise source are a sinusoidal signal embedded in white noise and the chirp signal of which the instantaneous frequency is variable. Test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FU-VSSLMS algorithm has superior convergence performance to the FX-LMS algorithm and FX-LMS algorithm. It is successfully applied to the ANC system in a short duct.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기계식 판막의 생체외 모의 혈전현상 검출 (In-Vitro Thrombosis Detection of Mechanical Valve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 이혁수;이상훈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29-438
    • /
    • 1997
  • 기계식 판막은 매몰식 인공장기에 널리 사용돼 왔으며, 판막의 이상은 환자의 죽음으르 의미한다. 판막의 이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많은 요소들이 있는데 대표적으로 기계적인 고장과 혈전현상이 있다. 그래서 비침습적으로 이것들을 발견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스펙트럼의 해석과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혈전현상을 발견하는데 있다. 신호의 측정은 공압식 좌심실 보조장치에 장착한 기계식 판막으로부터 마이크로폰과 증폭기를 이용하였다. 디스크 위의 모의 혈전현상과 봉합링의 주위에 혈전현상, 20%, 40% 60%로 자라나는 혈전현상은 펠레세인과 실리콘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기초 성능 평가를 위해 1KHz 정현파를 인가하여 시스템을 평가하였으며, 정상적인 판막과 5 종류의 혈전현상의 스펙트럼은 혈전현상의 정보를 지닌 개폐시 peak의 신호 파형에서 구하였다. 데이터의 정량적인 해석을 위해 7,000개의 입력 노드와 20개의 은닉층과 1개의 출력층으로 이루어진 인공신경망을 사용하였다. 결론적으로 훈련된 인공신경망을 사용한 결과 정상 판막과 비정상 판막을 판단하는데 90%의 판단능력을 보였다. 이상의 실험을 통해 판막의 이상유무를 신호의 스펙트럼 해석과 인공신경망을 통해 평가할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의 결과는 앞으로 인공장기를 몸속에 지니고 있는 환자에게서 장기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기술적 토대를 제공할 것이다.

  • PDF

단일칩 마이컴을 이용한 위상변위 방식 풀브리지 직류-직류 전력변환기 (Phase-Shift Full-Bridge DC-DC Converter using the One-Chip Micom)

  • 정강률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517-527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단일칩 마이컴을 이용한 위상변위 방식 직류-직류 전력변환기를 제안한다. 제안한 전력변환기의 1차측은 위상변위 방식에 의하여 단극성 펄스폭변조(unipolar PWM)로 동작하는 풀브리지 전력구조이며, 2차측은 4개의 다이오드로 구성된 풀브리지 전파정류기이다. 제안한 전력변환기의 제어는 단일칩 마이컴에 의해 수행되고, 그 MOSFET 스위치들은 부트스트랩 회로에 의해 구동된다. 그래서 전력변환기의 전체 시스템은 간단하다. 제안한 전력변환기는 공진회로와 저지커패시터를 이용하여 고효율을 달성한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제안한 전력변환기의 전력회로의 동작을 각 동작모드를 따라 설명한다. 그리고 제안한 전력변환기의 전력회로 설계방식을 보이고 제안한 전력변환기를 동작시키는 마이컴 상의 소프트웨어 제어 알고리즘과 피드백 및 스위치 구동 회로에 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그 후, 본 논문에서 제시한 설계와 구현방식에 의하여 설계하고 제작된 시제품 전력변환기의 실험결과를 통하여 제안한 전력변환기의 동작 특성을 입증한다. 실험결과에서 약 92% 정도의 최고 효율을 얻었다.

Effects of Acupuncture Stimulation on the Radial artery's Pressure Pulse Wave in Healthy Young Participants: Protocol for a prospective, single-Arm, Exploratory, Clinical Study

  • Shin, Jae-Young;Ku, Boncho;Kim, Tae-Hun;Bae, Jang Han;Jun, Min-Ho;Lee, Jun-Hwan;Kim, Jaeuk U.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97-206
    • /
    • 2016
  • Introduction: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upuncture stimulation on the radial artery's pressure pulse wave, along with various hemodynamic parameters, and to explore the possible underlying mechanism of pulse diagnosis in healthy participants in their twenties. Methods and analysis: This study is a prospective, single-arm, exploratory clinical study. A total of 25 healthy participants, without regard to gender, in their twenties will be recruited by physicians. Written informed consent will be obtained from all participants. The participants will receive acupuncture once at ST36 on both sides. The radial arterial pulse waves will be measured on the left arm of the subjects by using an applicable pulse tonometric device (KIOM-PAS). On the right arm (appearing twice), electrocardiogram (ECG), photoplethysmogram (PPG), respiration and cardiac output (CO) signals, will be measured using a physiological data acquisition system (Biopac module), while the velocity of blood flow, and the diameter and the depth of the blood vessel will be measured using an ultrasonogram machine on the right arm (appearing twice). All measurements will be conducted before, during, and after acupuncture. The primary outcome will be the spectral energy at high frequencies above 10 Hz ($SE_{10-30Hz}$) calculated from the KIOM-PAS device signal. Secondary outcomes will be various variables obtained from the KIOM-PAS device, ECG, PPG, impedance cardiography modules, and an ultrasonogram machine. Discussion: The results of this trial will provide information regarding the physiological and the hemodynamic mechanisms underlying acupuncture stimulation and clinical evidence for the influence of acupuncture on the pressure pulse wave in the radial artery. Ethics and dissemination: This study was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of Kyung Hee University's Oriental Medical Center, Seoul, Korea (KOMCIRB-150818-HR-030). The study findings will be published in peer-reviewed journals and presented at national and international conferences. Trial registration number: This trial was registered with the Clinical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CRIS) at the Korea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NIH), Republic of Korea (KCT0001663), which is a registry in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s (WHO's) Registry Network.

적도 해류계 분석 및 엘니뇨 시기의 변동에 관한 논의: 중등 교육 현장의 관련 오개념을 중심으로 (A Review on the Analysis of the Equatorial Current System and the Variability during the El Niño Period: Focusing on the Misconceptions in the Field of Secondary Education)

  • 장유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96-310
    • /
    • 2021
  • 엘니뇨는 전지구적인 규모로 기후 변화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해양-대기 상호작용 현상으로서 지구과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교수-학습 소재로 사용되고 있다. 본 논고에서는 적도 해류계의 분포 특징 및 발생 역학에 관해 정리하였으며, 엘니뇨 시기의 적도 해류계 변동과 관련 오개념에 관해 조사하였다. 엘니뇨 시기에는 북적도해류, 남적도해류, 적도잠류들이 유의미하게 약화된다. 그러나 북적도반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남쪽 성분은 강화되고 북쪽 성분은 약화되면서 적도 쪽으로 남하하기 때문에 엘니뇨 시기의 북적도반류의 변동에 대해서는 일반화할 수 없다. 또한 서태평양에서는 북적도반류의 남하 폭이 커져 결과적으로 적도 서태평양에서는 동향류가 관측된다. 일부 대중 매체를 통한 과학 기사, 중등학교 평가 문항 뿐만 아니라 현직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결과 분석을 통해 엘니뇨 시기의 적도 해류계의 변동에 관한 개념이 통일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엘니뇨 모식도의 부정확한 해석과 적도 해류 및 파동 역학에 관한 이해 부족과 연관된다고 유추할 수 있다.

디젤분사계의 특성에 관한 해석적 연구 (An Analytical Study on Characteristics of a Diesel Injection System)

  • 장영준;박호준;전충환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3권4호
    • /
    • pp.63-74
    • /
    • 1989
  • 디젤기관의 연료분사계는 연소실과 함께 디젤기관의 성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의 하나로 이에 대한 이해는 디젤연소 규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이분사계는 발화 및 완전연소에 필요한 무화, 공기의 이용율을 증가시키는 관통성 및 분포성등의 요건뿐만 아니라 요구되는 분사율, 2차분사 그리고 분사펌프와의 결합등의 많은 문제와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복잡한 디젤기관의 연료분사계를 단순화시켜서 펌프측, 노즐측 및 분사파이프측의 세부분으로 나누어 모델링하여 해석함으로써 새로운 연료분사계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자료를 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사파이프내의 압력과 분사계의 실험을 통하여 본 모델의 타당성을 검토하였으며 각 분사계에 있어서 분사량을 최대로 하는 분사파이프직경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초음속 유동장에서의 충돌제트 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ransverse jet into a supersonic flow field)

  • 박종호;김경련;신필권;박순종;길경섭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124-131
    • /
    • 2003
  • When a secondary gaseous flow is injected vertically into a supersonic flow through circular nozzle, a complicated structure of flow field is produced around the injection area.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streams produces a strong bow shock wane on the upstream side of the side-jet. The results show that bow shock wave and turbulent boundary layer interaction induces the boundary layer separation in front of the side-jet.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e of flow fields and distribution of surface pressure on the flat plate according to total pressure ratio using a supersonic cold-flow system and also to study the control force of affected side-jet. The nozzle of main flow was designed to have Mach 2.88 at the exit. The injector has a sonic nozzle with 4mm diameter at the exit of the side-jet. In experiments, The oil flow visualization using a silicone oil and ink was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the structure of flow fields around the side-jet. The flow fields are visualized using the schlieren method. In this study,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 solution is also compared with experimental results.

기계적 편향판 설치위치의 변화에 따른 유동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Flow Characteristics with the Installed Location Change of Mechanical Deflector)

  • 김경련;박종호
    • 한국유체기계학회 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49-53
    • /
    • 2015
  • Thrust vector control is the method which generates the side force and roll moment by controlling exhausted gas directly in a rocket nozzle. TVC is classified by mechanical and fluid dynamic methods. Mechanical methods can change the flow direction by several objects installed in a rocket nozzle exhaust such as tapered ramp tabs and jet vane. Fluid dynamic methods control the flight direction with the injection of secondary gaseous flows into the rocket nozzle. The tapered ramp tabs of mechanical methods are used in this paper. They installed at the rear in the rocket nozzle could be freely moved along axial and radial direction on the mounting ring to provide the mass flow rate which is injected from the rocket nozzle. TVC of the tapered ramp tabs has the potential to produce both large axial thrust and high lateral force. We have conducted the experimental research and flow analysis of ramp tabs to show the performance and the structural integrity of the TVC. The experiments are carried out with the supersonic cold flow system and the schlieren graph. This paper provides to analyze the location of normal shock wave and distribution of surface pressure on the region enclosed by the tapered ramp tabs.

적응모델을 이용한 단일채널 능동 소음제어 (Single Channel Active Noise Control using Adaptive Model)

  • 김영달;이민명;정창경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시스템및제어부문D
    • /
    • 제49권8호
    • /
    • pp.442-450
    • /
    • 2000
  • Active noise control is an approach to noise reduction in which a secondary noise source that destructively interferes with the unwanted noise. In general, active noise control systems rely on multiple sensors to measure the unwanted noise field and the effect of the cancellation. This paper develops an approach that utilizes a single sensor. The noise field is modeled as a stochastic process, and a time-adaptive algorithm is used to adaptively estimate the parameters of the process. Based on these parameter estimates, a canceling signal is generated. Opppenheim model assumed that transfer function characteristics from the canceling source to the error sensor is only propagation delay. But this paper proposes a modified Oppenheim model by considering transfer characteristics of acoustic device and noise path. This transfer characteristics is adaptively cancelled by adaptive model. This is proved by computer simulation with artifically generated random noise and sine wave noise. The details of the proposed architecture, and theoretical simul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of the noise cancellation system for three dimension enclosure are presented in the paper.

  • PDF

구조적특성을 고려한 유한 덕트계의 FIR필터모델링에 의한 능동소음제어 (Active Noise Control in Finite Duct by the FIR Filter Modelling Considering the Stuructural Characteristics)

  • 이태원;송원식;오재응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59-67
    • /
    • 1992
  • 기계구조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부가적인 음을 발생하여 능동적으로 제어하는 문제는 오늘날 환경보전의 측면에서 중요한 여구과제가 되고 있다. 길이가 긴 무한덕트에 대한 능동소음제어에 대해 적응필터링 방법을 이용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반면 실제 기계구조물에 있어서 크기의 한계로 인해 덕트의 길이가 짧은 경우가 많으여 이 경우 덕트 내부의 반사나 공명과 같은 음향특성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길이가 짧은 덕트에 대해 전달매트릭스법을 이용하여 음향계의 모델링을 하고 이것으로부터 구한 제어계의 전달함수를 유한한 FIR필터로 구현하여 능동적으로 소음을 제어하는 문제를 검토하였다. 수치적계산에 의한 음향계 모델링방법으로써 최적한 FIR필터의 계수를 구하여 이를 제어계의 모델로 설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제어시 실제계에서 방생할 수 있는 음향계 내부의 공명과 제어계의 안정성 및 제어효과를 예측하는 방법을 제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