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water temperature

검색결과 603건 처리시간 0.027초

Evaluation of Antifreeze Proteins on Miniature Pig Sperm Viability, DNA Damage, and Acrosome Status during Cryopreservation

  • Kim, Daeyoung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55-365
    • /
    • 2016
  • The cryopreservation of sperm has become the subject of research for successful artificial insemination technologies. Antifreeze proteins (AFPs), one of the factors necessary for effective cryopreservation, are derived from certain Antarctic organisms. These proteins decrease the freezing point of water within these organisms to below the temperature of the surrounding seawater to protect the organism from cold shock. Accordingly, a recent study found that AFPs can increase the motility and viability of spermatozoa during cryopreservation. To evaluate this relationship, we performed cryopreservation of boar sperm with AFPs produced in the Arctic yeast Leucosporidium sp. AFP expression system at four concentrations (0, 0.01, 0.1, and $1{\mu}g/ml$) and evaluated motility using computer assisted sperm analysis. DNA damage to boar spermatozoa was measured by the comet assay, and sperm membrane integrity and acrosome integrity were evaluated by flow cytometry. The results showed that motility was positively affected by the addition of AFP at each concentration except $1{\mu}g/ml$ (p<0.001). Although cryopreservation with AFP decreased the viability of the boar sperm using, the tail DNA analyse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and the addition of 0.1 or $0.01{\mu}g/ml$ AFP. In addition, the percentage of live sperm with intact acrosomes showed the leas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and $0.1{\mu}g/ml$ AFP (p<0.05), but increased with $1{\mu}g/ml$ AFP (p<0.001).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addition of AFP during boar sperm cryopreservation can improve viability and acrosome integrity after thawing.

동중국해에서 해양환경 변화에 따른 노무라입깃해파리의 연간 출현 변동 파악 (Inter-annual occurrence variation of the large jellyfish Nemopilema nomurai due to the changing marine environment in the East China Sea)

  • 윤은아;차철표;황두진;윤양호;신형호;곽두성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8권3호
    • /
    • pp.242-255
    • /
    • 2012
  • The Nemopilema nomurai a very large jellyfish that has been found in the East China Sea and is now are migrating to Korea and Japan. To investigate the occurrence of N. nomurai based on the changing marine environment of the East China Sea, we conducted field survey in the early summer from 2006-2008. We observed the marine environment using CTD and the occurrence of N. nomurai using FMT and bottom trawling. We caught the most N. nomurai in 2007 and the fewest in 2008 and environment factors influencing its are more sensitive temperature than salinity. Large quantities of N. nomurai with a small bell diameter were caught in 2007 and large individuals with a significant bell diameter were caught in 2008. This appeared which between the catch and bell diameter of N. nomurai had (-) correlation (R=-0.988, p=0.098). Meanwhil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N. nomurai concentrations in lower salinity mixed seawater inflow in Changjiang Diluted Water.

황해에 분포하는 살오징어의 음향산란강도 특성 및 분포밀도 추정 (Acoustical backscattering strength characteristics and density estimates of Japanese common squid distributed in Yellow Sea)

  • 이경훈;최정화;신종근;장대수;박성욱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5권3호
    • /
    • pp.157-164
    • /
    • 2009
  • Due to change of various marine environments according to seawater temperature rising, Japanese common squid(Todarodes pacificus), which was distributed in East Sea, was recently caught in Yellow Sea during a summer season from 2006. The fishery resources density research was carried out in Korea-China Provisional Water Zone using trawl fishing gear and acoustics in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in Korea. This paper showed the analysis on the acoustical backscattering strength by two frequencies(38kHz, 120kHz) for Japanese common squid by acoustical scattering theoretical model based on size distribution for survey period, and estimate the density distribution for squid s integrated layer which was extracted from any scatterers distributed in water column using two frequency difference method which has been used to distinguish fish shoals or specific target scatterers from sound scattering layer which is composed of various zooplankton. Furthermore, the entire range of their density estimation was suggested using by Monte Carlo simulation under considering each uncertainty such as size distributions or swimming angle and so on in survey area.

인공위성자료를 이용한 황해의 해황 변동: 2004년 이상 수온 상승을 중심으로 (Oceanographic Variability in Yellow Sea using Satellite Data: from the Viewpoint of Abnormal Rise in Seawater Temperature in 2004)

  • 양찬수;문정언;안유환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137-140
    • /
    • 2006
  • 황해와 동중국해의 해황 변동에 관한 연구는 현장관측을 중심으로 체계적으로 많이 수행되어 왔지만, 인공위성자료를 이용한 황해와 동중국해의 해황 변동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것은 인공위성자료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관측항목이 표층수온자료에 국한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SeaWiFS 해색위성과 같은 인공위성자료들을 이용하여 부유물 농도, 엽록소 농도 등이 원활하게 생산되고 있으며 최근 연구결과에 의해 염분과 유향성분 등도 추정 및 추출이 가능케 되었으므로 이들 인공위성자료를 이용한 황해와 동 중국해의 해황 변동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특히 2004 년도는 계절변동에 있어서 이상기후의 해라고 점철되고 있다. 2004년 봄철의 폭설과 일시적인 고온현상, 여름철에는 10 년만의 무더위, 겨울철에는 36년만에 가장 포근한 날씨가 지속되었다. 이러한 이상기후의 발생은 해양과 대기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기인했을 것이라고 생각되어 한반도 주변 해역에서 황해와 동중국해의 해황변동이 연안 해역의 해황변동과 어떠한 연관성이 존재하고, 이러한 요인들은 2004년도에 발생한 이상기후와 어떤 상관관계를 갖는지 연구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진행하였다. 2003년 12월 - 2004년 2월과 2004년 12월 - 2005년 2월에 동일한 시기에 관측된 NOAA 표층수온 분포 영상 자료들을 황해와 동중국해 해역을 중심으로 월별로 비교해보면 2003년 12월 2004년 1월에 관측된 표층수온 분포값보다 2004녀 12월 - 2005년 1월에 관측된 표층수온 분포값이 상대적으로 높은 분포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와 같은 현상은 국립수산과학원의 2004년 10월과 12월의 정선관측자료에서도 나타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2004년 2월에 관측된 표층수온 분포값보다 2005년 2월에 관측된 표층수온 분포값이 상대적으로 낮은 분포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따라서 인공위성자료를 이용한 황해의 2004년 해황 분석 결과는 이상수온 상승의 원인이 쿠로시오 해류의 변동과 관련성이 높다고 판단되며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현재 진행중에 있다.

  • PDF

해양 심층수의 안정성 조사 및 분석 (I)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 Stability of Deep Ocean Water (I))

  • 김현주;문덕수;정동호;윤상준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0-34
    • /
    • 2004
  • 동해 해양심층수의 자원적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2001년 3월부터 2002년 2월까지 조사한 해양조사 및 수질분석이 수행되었다. 해양심층수 시범개발해역 및 강원북부 주변해역에 대한 해양자원적 수질특성의 시공간적 변동이 분석 및 비교되었다. 특히, 자원성이 인증된 해양심층수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필요한 취수 수심의 결정을 위해 월별 수온 및 염분의 연직분포에 대한 조사해석 및 수질분석 이 이루어져 고찰되었다.

  • PDF

낙동강 하구 생태계의 종속영양세균의 군집구조 분석 및 수리학적 분류 (Characterization and Numerical Taxonomy of Heterotrophic Bacterial Community in Naktong Estuarine Ecosystem)

  • 귄오섭;조경제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44-449
    • /
    • 1992
  • 낙동강 하구생태계에 분포한 종속영양세균의 환경 변화에 따른 군집구조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총 858 균주를 분리하여 수리학적 방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종의 다양성(H') 은 1.54-3.49 로, 하구언 건설 전의 수치와 큰 차이가 없었으나, 균등성지수(evenness index)(J') 는 0.31-0.80 으로 감소하였다. Physiological tolerance index 중 수온에 대한 지수(P') 는 수심이 얕은 정점에서, pH 와 염분에 대한 $P_{h}$$P_{s}$ 는 담수와 해수가 교차하는 정점에서 높았다. 우점의 cluster 를 속 (genus) 수준에서 동정한 결과 Aeromonas, Vibrio, Pseudomonas, Acinetobacter-Morexella, Alcaligenes, Flavobacterium, Micrococcaceae, Enterobacteriaceae 등으로 분류되어 하구언 축조 전과 동일한 종류의 세균뷴포를 나타냈으나 그 출현비율은 달랐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하구언 축조 등에 따른 낙동강 하구역의 환경변화는 분포세균의 종류보다는 생리적 특셩에 영양을 미쳐 특정종의 우점을 나타나게 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erratia marcescens JM에 의한 Chitinase의 정제와 특성 (Purification and Some Properties of Chitinase from Serratia marcescens JM)

  • 이상환;유의경
    • 대한화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2-80
    • /
    • 1996
  • Chitinase를 생성하는 세균인 serratia marcescens JM을 해안 갯벌 시료로부터 분리하여,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affinity adsorption, hydroxylapatite와 Sephadex G-200 column chromatography를 통하여 정제하였다. 정제된 chitinase는 7.1% 회수율과 4.22의 정제도를 나타내었으며, 전기영동시 단일밴드를 얻을 수 있었고, SDS-PAGE에 의해 측정된 분량은 59,000으로 나타났다. 정제된 chitinase의 $K_m$$V_{max}$는 5.71mg/mL과 39.8 unit/mL로 나타났다. Chitinase의 최적활성 pH와 온도는 7과 50$^{\circ}C$였고 최적안정pH는 7.0이며 50$^{\circ}C$이하에서는 안정하였다. $Cu^{2+}\;Ca^{2+}$$Mg^{2+}$는 효소활성을 증가시켰으나 $Hg^{2+}$$I_2$는 효소 활성을 억제시켰다. 또한 cysteine은 효소활성을 증가시키나 EDTA, MIA, PCMB, 및 SDS는 효소활성을 억제시켰다. 해수 음이온 중 $MG^{2+},\;Ca^{2+},\;K^+$는 효소활성을 약간 증가시켰으나 $Na^{2+}$ 이온은 1mM이상농도에서 활성이 억제되었다. 본 논문에서 정제된 chitinase는 여러가지 특이점이 있는 serratia효소였다.

  • PDF

Reproductive Biology of the Femal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Bivalvia: Veneridae) on the West Coast of Korea

  • 정의영;허영백;신문섭;김용민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1
    • /
    • 2005
  • Reproductive cycle, first sexual maturity, spawning amount related with the size and spawning interval in female Ruditapes philippinarum were investigated by histological observation and the analysis of morphometric data during artificial spawning induction. Ruditapes philippinarum is dioecious and oviparous. The reproductive cycle of this species can be subdivided into five successive stages: early active stage (January to March), late active stage (February to May), ripe stage (April to August), partially spawned stage (May to October), and spent/inactive stage (August to February). The spawning period was once a year between May and early October, and the main spawning occurred between July and August when seawater temperature was approximately $20^{\circ}C$. Percentages of first sexual maturity of female clam of 15.1-20.0 mm in shell length were 56.3%, and 100% for the clams > 25.1 mm. The mean number of the spawned egg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size classes (shell length). In case of spawning induction by the same size class, the number of spawned eggs were gradually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spawning frequencies (the first, second, and third spawnings). In the experiments of artificial spawning induction during the spawning season, the interval of each spawning was estimated to be 15-17 days (average 16.5 days).

  • PDF

Sexual Maturation and Artificial Spawning of the Hard Clam, Meretrix Iusoria (Bivalvia: Veneridae) on the West Coast of Korea

  • Chung, Ee-Yung;Kim, Yong-Min;Hur, Young-Baek;Ryu, Dong-Ki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81-93
    • /
    • 2005
  • Reproductive cycle with the gonadal phases, first sexual maturity, artificial spawning amount by the size and spawning interval of the hard clam, Meretrix lusoria were investigated by histological observations and morphometric data by artificial spawning induction. Meretrix lusoria is dioecious and oviparous. The reproductive cycle of this species can be classified into five successive stages: early active stage (January to March), late active stage (February to May), ripe stage (April to August), partially spawned stage (June to September), and spent/inactive stage (September to February). The spawning period was from June to September, and the main spawning occurred between July and August when the seawater temperature exceeds over $20^{\circ}C$. Percentage of first sexual maturity of female and male clams ranging from 40.0 to 45.0 mm in shell length was over 50%, and all clams over 50.0 mm in shell length sexually matured. Female and male clams ranging from 40.0 to 45.0 mm in shell length are considered to be two years old. Therefore, we assume that the hard clams of both sexes begin reproduction from two years of age. The mean number of the spawned egg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size (shell length) classes. In case of artificial spawning induction, the number of spawned eggs from the clams of a sized class was gradually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the spawning frequencies (the first, second, and third spawnings). In the experiments of artificial spawning induction during the spawning season, the interval of each spawning was estimated to be 15-18 days (average 17 days).

  • PDF

아연 메쉬 희생양극을 이용한 콘크리트 파일의 음극방식 특성 및 방식전류 유효거리 (Cathodic Protection Characteristics and Effective Length of Protection Current of Concrete Pile using Zn-mesh Sacrificial Anode)

  • 김기준;정진아;이우철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20권2호
    • /
    • pp.773-776
    • /
    • 2008
  • 해양환경에서 철근 콘크리트의 부식은 매우 심하며, 염해는 콘크리트 교량과 항만 구조물의 부식을 일으키는 주요 요인 중 하나이다. 특히 비말대 및 간만대의 수면 부분은 구조물의 안전과 수명의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하다. 지난 수십 년간 토목, 건축분야에서 콘크리트구조물 부식을 억제하기 위한 방식법 중 음극방식(cathodic protection, CP)은 많은 발전을 이룩하였으며 이제 보편화되는 추세에 있다. 최근 해양환경에서 콘크리트구조물의 음극방식을 위해 아연 메쉬 희생양극법이 개발 소개되었으나 아직까지도 이에 대한 구체적 내용이 잘 알려지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연 메쉬 음극방식이 환경인자에 따라 콘크리트교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아연 메쉬와 철근의 거리에 따라 음극방식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약 100cm의 파일 시험편에 10cm 세그먼트 철근 8개를 설치하였으며, 아연 메쉬 희생양극에 의한 음극방식의 설계에 관련된 정보를 얻고자 파일 시험편의 높이에 따른 음극방식 전위의 변화와 전류의 감소치를 측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