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soning

검색결과 519건 처리시간 0.035초

기능성 고추드레싱의 개발 및 품질 안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search & Development and Quality Stability of Functional Red Pepper Dressing)

  • 손무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07-120
    • /
    • 2004
  • 점진적으로 식품에서도 건강지향성 및 패션성을 추구하는 시대조류에 발 맞추어 과거 드레싱의 대명사로 불려오던 마요네즈가 퇴조해가면서 그 대용품의 개발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조미료의 일환으로 흔히 사용되는 간장, 식초, 마늘 등 총 13종의 원료를 이용하여 고추조미유, 조미간장, 조미액, 조미유를 제조하고, 이를 혼합하여 새로운 형태의 드레싱오일을 제조하였다. 야채류, 피자류, 육류 등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특성화가 요망되었으며, 따라서, 여기에 각종 기능성 원료를 첨가한 고추 드레싱오일, 당뇨병 환자용, 성인병 환자용, 어린이용, 일식용, 일반인 대상 기능성 드레싱오일 등의 제조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뿐만 아니라 이 드레싱오일은 상층부의 기름층과 하층부의 조미간장층을 흔들어 섞어서 사용하는 특성상 중간에 미관상 좋지 않을 층이 생성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는 gum류 및 유화제를 겸용하여 어느 정도 해결이 가능한 것으로 밝혀졌다.

  • PDF

조미배합 조건과 과일농축물 첨가에 의한 노령 사슴육포의 품질특성 (Effect of Seasoning Condition and Fruit Extracts Level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Venison Jerky)

  • 양철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45-351
    • /
    • 2009
  • The principal objectives of the experiments in this study were to assess the quality of venison jerky made from Elk deer (female, weight; 380 kg, age; 15 old years) in accordance with various seasoning sauce and mixture fruit extract level. Salinity, saccharinity and acidity values of the seasoning sauces were all high(VJ-1; 3.72%), (VJ-3; 3.95%), (VJ-1; 0.35%). The salinity range of the venison jerky products was 5.65~5.92%, the saccharinity range was 3.75~4.18%, and the seasoning sauce samples resulted in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idity values(p<0.05). Crude protein, fat and ash contents of the venison jerky products satisfied the Korean jerky standard value, but the moisture content range was 36.18~38.59%, and this was also in excess of the jerky standard level. The manufacturing yield was 42.24~44.48%, with VJ-1 at lowest levels followed by VJ-2 and VJ-3. The pH value of VJ-1 was high, but not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samples(p>0.05). The water activity value range was measured at 0.68~0.71, and the lightness(L) and redness(a) value evidenced marked increases with increased amounts of added sodium nitrite(p<0.05), and the yellowness(b) value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p>0.05). The overall sensory acceptance scores ranged between 5.53~7.49, in the order VJ-3, VJ-2, VJ-1(p<0.05).

중화요리용 향미유의 제조 및 향미특성 (Preperation and Flavor Characteristics of Seasoning Oil for Chinese Dish)

  • 구본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14-220
    • /
    • 2005
  • Methionine과 xylose를 이용한 Maillard 반응생성물을 첨가하고 autoclaving mothod로 중화요리용 향미유를 제조하였다. 이 향미유와 서울 시내 중국 음식점에서 자장면용 양념자장 3종을 구하여 이들의 휘발성 물질을 GC, GC-MSD로 측정하였다. 향미유에서는 61종, 404.92ppm의 휘발성 물질이 분리 정량 되었고, 양념자장 3종에서는 각각 39종, 42종, 42종이 확인 되었으며, 그 양은 각각 333.52ppm, 330.01ppm, 393.18ppm이었다. 중화요리용 향미유의 주요 휘발성 성분은 diallyl disulfde, pentane, diallyl trisulfide, t, t-2, 4-decadienal 및 zinngiberene이었으며, 이들의 함량은 각각 40.15ppm, 32.32ppm, 19.57ppm, 15.06ppm 및 13.23ppm이었다. 시중 자장시중 3종에서는 pentane, propenal, hexanal, t-2-heptanal, 2, 4-heptadienal, t, t-2, 4-decadienal 및 미확인 물질이었다. 본 실험에서 제조한 향미유는 3종류의 sample과 유사한 향미 물질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aldehyde, ethane, alcohol 등의 함량은 낮은 편이었다.

유산균으로 발효한 다시마(Saccharina japonica) 추출물 첨가 명란젓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Myungran-Jeot with Saccharina japonica Water Extract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 황지영;장종수;류대규;김경태;허만규;엄성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193-198
    • /
    • 2019
  • Natural seasoning are trends of food industries to replace synthesized seasoning due to consumer preference. However, unexpected results can be happened in a point of sensory evalua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by adding natural seasoning such as reduced flavor, color change and so on.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potential of sea tangle Saccharina japonica extract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STE) for myungran (pollock roe)-jeot instead of present synthesized seasoning. Among various STE concentration (0%, 5%, 10%, and 15%) in myungranjeot, there was no significant physicochemical changes in a point of crude lipid, pH, total acidity, salinity and color difference. Microbiological profiles was also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10% STE-myungran-jeot showed higher ${\gamma}$-aminobutyric acid (GABA) content as 24.4 mg/100g at free amino acid analysis than other STE-myungran-jeot without decline of sensory properties. In overall, it revealed that STE could replace the synthesized seasoning and improve the quality of Myungran-jeot. The results suggest that STE can be useful to develop a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

액상칼슘을 첨가한 육류조리용 간장양념 및 그 제조방법 (The Effect of Calcium Supplementation on Soy Sauce Seasoning and Cooking Meat)

  • 이승욱;유미희;최준혁;임효권;이인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969-974
    • /
    • 2013
  • 육류조리용 간장양념 제조 시 건강기능성 부가의 목적으로 액상칼슘과 올리고당을 첨가하여 양념을 제조한 후 품질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4^{\circ}C$에서 저장한 양념들의 경우 pH와 적정산도는 9일간의 저장기간 동안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20^{\circ}C$에서 저장한 양념의 pH는 대조구와 2% 첨가구가 6일째부터 큰 감소를 보인 반면, 4%와 8% 첨가구는 6일째까지 큰 변화를 보이지 않다가 9일째 약간의 감소를 보여 대조구와 2% 첨가구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그리고 적정산도 역시 pH의 경우와 유사하게 4%와 8% 첨가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낮은 증가를 보여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미생물 검사 결과, $4^{\circ}C$에서 저장한 양념들은 경우 저장기간 동안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총균수의 경우 $20^{\circ}C$에서 저장한 양념은 3일 이후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4%와 8% 첨가구가 저장 3일과 6일째에 무첨가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생균수를 나타냈다. 젖산균도 3일 이후 급격히 증가하여 대조구는 6일째에 최고치를 나머지는 9일째 최고치를 보였다. 젖산균수에서도 역시 4%와 8% 첨가구가 저장 3일과 6일째에 무첨가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수를 나타냈다. 효모는 젖산균과 같은 경향으로 3일 이후 급격히 증가하여 대조구는 6일째에 최고치를 나머지는 9일째 최고치를 보였으며, 4%와 8%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낮은 효모수를 나타냈다. 양념의 색도는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모든 양념이 전체 항목에서 소폭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저장온도와 시간 그리고 액상칼슘의 첨가에 따른 양념의 색도 변화는 그 변화폭이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념들은 액상칼슘의 첨가량에 따라 칼슘함량이 일정하게 증가하였으나, 그 양념을 이용해서 제조한 양념육을 조리한 후 칼슘함량을 각각 측정한 결과는 2%, 4%, 8% 첨가구가 각각 33.47 mg/100 g, 54.72 mg/100 g, 58.23 mg/100 g의 칼슘함량을 보여 칼슘의 첨가량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는 외관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실험구별로 약간의 차이는 보였지만 모든 구간에서 통계적인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액상칼슘이 첨가된 양념은 관능적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저장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현대인의 식생활에서 가장 부족하기 쉬운 칼슘의 섭취 및 흡수의 증대를 가져와 특히 칼슘 섭취가 많이 필요한 성인이나 성장기 어린이에게 풍부한 영양학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새우젓 분말을 이용한 seasoning/mix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asoning/mix using salted-fermented shrimp powder)

  • 신승미;김애정;정경희;조재철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집 2부
    • /
    • pp.907-910
    • /
    • 2011
  • 현대인의 식생활에서 편리성, 기능성, 다양성을 부여할 수 있는 신제품 개발로 기능성 소재를 첨가한 새우젓 분말 seasoning/mix를 제조하였다. 일반성분 중 조단백과 조지방 함량은 새우젓분말이 높게 나타났고, 탄수화물은 SFM-3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무기질 중 칼슘, 철분, 인의 함량은 다른 첨가군에 비해 새우젓분말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나트륨 함량은 새우젓 분말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색도에 있어서 L값은 표고버섯 첨가군이 어두워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a값은 뽕잎분말 첨가군이 높게 나타났다. b값은 백년초가루 첨가군이 높은 값으로 나타났으며 대장균은 음성으로 검출되지 않았다.

  • PDF

우리나라 발효조미료 산업의 발달사 (History of fermented condiments industry in Korea)

  • 임번삼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52권1호
    • /
    • pp.68-83
    • /
    • 2019
  • The history of fermented condiments symbolizes that of the fermentation industry of Korea. Daesang Co. (ex Miwon) initiated the production of MSG using fermentation process in 1960 for the very first time. Ever since, both Daesang and CJ Co. (ex Cheil Jedang) have scrambled for taking up bigger share of Korean market in the field of MSG, IG-coated MSG, and mixed seasoning. It is noteworthy that both companies have powerful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fermentation industry. Daesang initiated exporting plants to Indonesia in 1973, whereas CJ has become the global leader of the IMP market. Furthermore, both of them have developed such as not only amino acids but also nucleic acid-related substances, organic acids, enzymes etc. with glutamic acid as a platform. It is anticipated that the two will develop the newly diversified edible substances and various kinds of fermented foods along with new food cultures.

유산균 발효 다시마(Saccharina japonica) 분말이 첨가된 조미간장의 품질 특성 (Characteristics of Seasoning Soy Sauce with Added Saccharina japonica Powder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 이인선;송호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1권6호
    • /
    • pp.613-622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the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oy sauce with added Saccharina japonica powder (FSP). Soy sauce was prepared with acid-hydrolyzed soy sauce, brewed soy sauce, honey, ginger, garlic, dried red pepper, ${\gamma}$-aminobutyric acid (GABA)-enriched sea tangle fermented in lactic acid, and 1% or 3% S. japonica powder by soy sauce volume. The color, pH, microbiology, amino nitrogen, free amino acids, antioxidant activity, and sensory qualities of the soy sauce were evaluat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r antioxidant activity. However, the addition of FSP to the soy sauce enhanced the delicate flavor. Furthermore, soy sauce containing FSP had higher levels of GABA (50 mg/100 mL), a biofunctional ingredient.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seasoning soy sauce with enhanced functionality seems possible.

한약재 물 추출물 첨가에 의한 양념우육의 저장성 및 품질 증진 효과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torage Property and Quality in the Traditional Seasoning Beef Containing Medicinal Herb Extracts)

  • 박진규;허종현;이소영;조선희;윤선경;최정수;박선미;안동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13-119
    • /
    • 2005
  • 한국의 전통적인 식육가공품인 양념 불고기에 한약재 물 추출물을 첨가함으로서 얻어지는 저장성 및 품질 증진효과를 살펴본 결과, pH는 4$^{\circ}C$에서 저장 9일 이후에도 변화가 거의 없이 안정하게 유지되었다. 수분함량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한약재 물 추출물을 2% 첨가한 구에서는 가장 안정하게 유지되었다. 양념 우육의 전단력은 저장기간 동안 점점 낮아졌는데, 한약재 물 추출물 처리구가 무 처리구보다 전단력이 낮게 나타나 식육의 연화효과가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양념우육의 색은 적색도에 있어 한약재 2% 처리구에서 저장 기간 중 큰 변화가 없이 가장 안정하게 유지되었다. TBA값은 저장 9일 이후에 한약재 물 추출물을 첨가한 구에서 매우 낮게 나타났고 증가 비율도 낮았다. 양념 우육의 생균수 변화는 무 처리구에서 가장 빠르게 증가해, 한약재 물 추출물을 첨가한 경우 저장 6일까지 $10^{5}$ CFU/g으로 안정하게 유지되어 가식기간을 연장시켜 주었다. 관능평가에서 양념우육의 색, 외관, 연도, 탄성, 다즙성, 향, 맛은 전반적으로 한약재 물 추출물 처리구에서 무 처리구보다 더 높은 값을 얻었으며, 양념우육의 저장성과 연도에 있어서 한약재 물 추출을 0.5%에서 1% 첨가했을 때 관능적 특성과 색 등에 관하여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양념우육에 한약재 물 추출물을 0.5%에서 1% 정도 첨가하는 것이 저장성의 증진 및 연도의 개선, 관능적 특징의 개선 등으로 양념우육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적합한 방법이라 사료된다.

창란젓갈 제조의 신기술 개 발 3. 조미공정의 개량 및 품질평가 (Development of New Manufacturing Process for Changran-Jeotgal 3. Improvement of Seasoning Process and Quality Estimation)

  • 이원동;이재진;장동석;윤지혜;이명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19-124
    • /
    • 2001
  • 창란젓갈의 조미공정에서 효율적인 수분조정과 물엿에 의한 맛의 이질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물엿을 먼저 첨가하여 교반당장을 한 후 부재료를 첨가하는 방법으로 조미공정을 개선하였으며 그 최적화 방안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물엿을 첨가하여 당장을 할 경우 첨가농도 $20\%$, 처리온도 $20^{\circ}C$, 교반속도 10rpm으로 4시간 교반하는 것이 최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조건으로 당장을 할 경우 4시간만에 당농도가 평형에 도달하여 기존의 정치당장에서 6시간 이상 소요되는 것에 비하여 당장시간을 2시간 이상 단축할 수 있었다. 한편 개선된 창란젓갈 신제조 기법과 재래식제조 방법의 각 제조공정별 제품의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품질평가 결과, 공정전반에 걸쳐 염도나 pH, VBN값, 조지방, 조단백 등의 성분들에 대하여는 두 방법이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A_{w}$와 수분함량에 대해서는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재래식 제조법에 의한 완제품의 $A_{w}$가 0.90인데 비해 공정을 개선한 경우 완제품의 $A_{w}$는 0.82로 감소되었다. 뿐만 아니라 각 제품을 대상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개선된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한 제품이 일반 소비자에게 (부산 지역의 40대 이상을 제외하고는) 종합적인 수용도가 높았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관능평가의 결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