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food by-products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35초

황다랑어 복부 껍질을 이용한 콜라겐의 제조 및 물리화학적 특성 해석 (Processing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llagen from Yellowfin Tuna (Thunnus albacares) Abdominal Skin)

  • 유승재;조승목;우진욱;김상호;한유나;안주련;김수연;김태완;김선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427-434
    • /
    • 2008
  • Processing of collagen from yellowfin tuna (Thunnus albacares) abdominal skins was optimized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and central composite design. The values of independent variables at optimal conditions were NaOH concentration: 0.5 N, NaOH treatment time: 36.2 hr, pepsin concentration: 1:4.9 ratio (0.245%, w/v), and digestion time: 48.1 hr, respectively. The collagen content estimated under optimal conditions was 33.1%, and the actual experimental collagen content was 32.3%.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llagen from yellowfin tuna abdominal skin were investigated by amino acids analysis, SDS-PAGE, FT-IR, viscosity and denaturation temperature. Amino acids content of the collagen was 21.0%. SDS-PAGE pattern of the collagen showed two different $\alpha$-chain (${\alpha}_1$- and ${\alpha}_2$- chain), $\beta$-component and $\gamma$-component. The spectrum of FT-IR of the collagen showed wavenumber at 3,434, 1,650, 1,542 and $1,235\;cm^{-1}$ representing the regions of amide A, I, II and III, respectively. Relative viscosity of the collagen decreased continuously on heating up to $32^{\circ}C$, and the rate of decrease was retarded in the temperature range of $35-50^{\circ}C$. Denaturation temperature (Td) of the collagen solution (0.06%, w/v) was $31^{\circ}C$ and was lower than calf skin collagen ($35^{\circ}C$).

어류 단백질분해 조효소의 이용을 위한 몇가지 성질 (Some Properties of the Crude Pretenses from Fish for Application in Seafood Fermentation Industry)

  • 이동수;허민수;김두상;변재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09-319
    • /
    • 1996
  • 어체 중에 분포하는 단백질분해효소를 어류가공 부산물의 회수 이용 측면에서 검토코자 혈합육어 (멸치와 전어)와 백색육어 (농어와 도다리)의 육과 내장에서 추출한 조효소에 대하여 식염농도의 차이가 활성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진공동결건조와 glycerol의 혼합이 저장 중 단백질분해능에 미치는 영향 등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그리고 멸치의 육과 내장 단백질분해 조효소에 대하여는 효소작용 시간별로 방어근원섬유단백질의 분해 생성물에 대한 Sephacryl S-100 gel chromatography 및 $C_{18}$ reversed phase HPLC chromatography분석도 병행하였다. 육에서 추출한 단백질분해 조효소는 casein과 방어 근원섬유단백질 기질에 대하여 식염농도의 증가와 더불어 효소활성의 저해도 증대하였으며, 효소활성의 저해도는 방어근원섬유단백질에 비하여 casein기질에서, 혈합육어 단백질분해 조효소보다는 백색육어의 단백질분해 조효소에서 더욱 현저하였다. 내장에서 추출한 단백질분해 조효소의 경우, 혈합육어 단백질 분해 조효소는 식염농도의 차이에 의하여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이 적었으나 백색육어의 단백질분해 조효소는 활성의 현저한 저하를 초래하였다. 전어와 농어의 육 및 내장 단백질분해 조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동결건조 및 glycerol혼합에 의한 영향을 저장중에 비교한 결과, 기질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지만, 전어의 육과 내장 단백질분해 조효소에 비하여 농어의 육과 내장 단백질분해 조효소가 훨씬 불안정하였다. 멸치육과 내장 단백질분해 조효소의 방어근원섬유 단백질에 대한 가수분해작용은 반응초기에 신속히 진행되었고, 가수분해물의 생성량은 첨가된 단백질분해 조효소의 비율에 따라 규칙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효소작용에서 생성한 가수분해물을 분석한 결과, 효소작용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세분화된 획분의 종류와 양이 점차 증가하였으며, 이 같은 경향은 근육 단백질분해 조효소에 비하여 내장 단백질분해 조효소에서 더욱 현저하였다. 이 결과는 효소분해생성물의 종류와 양이 규칙적으로 분해되어 일정한 분해생성물이 증가하여 가는 것을 암시하였다.

  • PDF

멸치 액젓 중에 존재하는 미분해 펩티드의 특성과 이용 1. 미분해 펩티드를 이용한 멸치 액젓의 품질 지표 설정 (Properties and Utilization of Undigested Peptides in Anchovy Sauces 1. Use of Undigested Peptides as a Quality Parameter of Anchovy Sauces)

  • 최영준;김세환;임영선;김인수;김동수;조영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86-392
    • /
    • 1998
  • 액젓의 객관적인 품질평가 기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전통적인 방법에 따라 발효 숙성시킨 멸치 액젓과 시판 멸치 액젓의 일반성분, 총질소량, 아미노산 함량, SDS-PAG전기영동을 통한 특정 펩티드의 면적을 측정하였고, 아울러 액젓 원료어의 판정을 위해 등전점 전기영동을 시도하였다. 멸치 액젓의 수분 함량은 대조구가 가장 낮은 $60.5\%$였으며, 시판 제품은 $65.5\%\~69.2\%$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총질소 함량은 시판 제품간에 비교적 큰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액젓에 잔존하는 단백질의 함량은 Y사의 제품이 비교적 높은 $0.353mg/m{\ell}$ 였으며, 나머지 시판 제품은 $0.093mg/m{\ell}\~0.293mg/m{\ell}$의 범위였다 한편 SDS-PAG 전기영동상에서는 J사를 제외한 모든 액젓 제품에서 분자량 55,600 및 46,900 dalton의 band가 검출되었으며, 전기영동상에 나타난 단백질 band는 제조회사에 관계없이 거의 비슷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었다. 그리고 등전점 전기영동에서 멸치 액젓은 등전점 5.6에 해당하는 펩티드가 공통적으로 존재하며, 특징적인 band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아미노산 및 저분자 질소 화합물의 첨가 여부가 정량적인 값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전기영동 상의 특정 band의 면적비를 측정함으로서 인위적인 질소화합물의 첨가, 액젓 희석 여부 판정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전 질소 함량, 아미노산 함량 및 SDS-PAG 전기영동 상에 있는 특징적인 55,600 dalton에 해당하는 펩티드 면적비의 상관관계는 멸치 액젓의 품질판정을 위한 기준으로 활용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 PDF

어류뼈를 이용한 수산연제품의 기능성 개선 (Improvement of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Surimi Gel Using Fish Bone)

  • 염동민;주동식;김진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2호
    • /
    • pp.175-180
    • /
    • 1998
  • 어류뼈 속에 함유된 칼슘제를 이용한 적색육어류 연제품의 품질 개선을 위한 일련의 연구로 칼슘 강화 적색육어류 연제품의 제조조건 및 저온 저장 중 품질 안정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가용성 칼슘 및 젤리강도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적색육어류 연제품의 기능성 개선을 위하여 첨가하는 칼슘제의 적정농도는 고등어 육에 대하여 0.9%이었다. 가용성 칼슘함량은 이 조건으로 제조한 칼슘제 첨가 연제품(105.0 mg/100 g)이 칼슘 무첨가 제품(2.9 mg/100 g)보다 훨씬 높았다. 저장 중 칼슘 첨가 제품은 수분함량, 아미노산 조성, 칼슘 및 인함량의 경우 변화가 없었고, pH, 휘발성염기질소, 히스타민함량, 과산화물값 및 갈변도의 경우 대조제품에 비하여 완만하게 증가하였으며, 생균수 및 대장균군은 검출되지 않았다. 곡류에 부족하기 쉬운 Iysine 등과 같은 아미노산, DHA, EPA 및 칼슘함량은 칼슘제 첨가 적색육어류 연제품이 무첨가 제품보다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칼슘제 첨가 연제품은 영양 및 기능성이 우수하고, 식품위생적으로 안전한 식품으로 판단되었다.

  • PDF

굴 세척액을 이용한 인스턴트 분말 수프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of Instant Powdered Soup Using Oyster Wash Water and Its Characteristics)

  • 김진수;허민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534-539
    • /
    • 2001
  • 굴통조림 가공부산물인 세척수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굴세척액을 이용한 인스턴트 분말수프의 제조를 시도하였다. 대조구인 굴 열수추출물 분말 수프는 열수추출물 분말에 식염, 분말크림, 유대체 분말, 밀가루, 대두분말, 전분, 글루코스, 양파가루의 일정량씩을 각각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굴세척액 분말수프는 열수추출물 분말 대신에 세척액 분말을 첨가하고, 기타 첨가물의 경우 굴 열수추출물 분말 수프와 같은 비율로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굴통조림 가공부산물 유래 분말 수프인 세척수 분말 수프는 탄수화물이 71.1%로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조단백질(10.8%), 조회분(8.1%) 및 조지방(3.5%)의 순이었으며, 대조구인 열수추출물 분말 수프와 차이가 없었다. 굴세척액 분말 수프는 휘발성염기질소, 생균수, 대장균군 및 수분활성이 각각 29.4 mg/100g, $4.6{\times}10^4\;CFU/g$, <18 MPN/100 g 및 0.246으로 위생적으로 안전한 인스턴트 식품이었다. 굴통조림 가공부산물 유래 분말수프의 주요 지방산은 16 : 0(31.5%), 18 : 0(10.4%) 및 18 : 1n-9(27.4%) 등이었고, 단백질의 화학가는 59.4%이었으며, 주요 무기질은 철이었다. 관능평가 결과 대조구인 열수추출물 분말 수프에 대하여 세척수 분말 수프의 경우 점도, 색조, 향 및 맛과 같은 모든 항목에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검사 결과로 미루어 보아 굴통조림 가공부산물인 세척수는 분말화하여 배합농도를 적절히 조절하면 우수한 인스턴트 분말 수프의 소재로 이용 가능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서울지역 학교급식 식재료 납품업체 위생관리 실태 평가 (Field Assessment of Sanitation Management for School Foodservice Suppliers in the Seoul Area)

  • 이경미;류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50-663
    • /
    • 2007
  • 본 연구는 서울지역 학교급식에 공급되는 식재료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납품업체 인증제 도입을 위해 개발된 위생관리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납품업체 20개 업체를 대상으로 위생관리 실태를 평가하여 개선이 필요한 위생관리 항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식재료 납품업체의 작업장 면적은 평균 $289.8m^2$이었고, 납품직원은 평균 11.4명의 정규직원과 6.8명의 시간제 직원을 고용하고 있었다. 거래학교수는 $30{\sim}700$개로 크게 차이를 보였으며, 수산물 취급업체가 가장 많은 평균 192.4개로 조사되었다. 납품차량은 평균 9.5개의 냉장 냉동차량을 구비하고 있었다. 연 매출액은 5억${\sim}$240억원이었으며, 이 중 학교급식 매출 비율은 평균 85.9%로 나타났다. 2. 식품 품목에 따른 업체 평가 결과, 전체 평균 점수는 1.7점(85.8/100점)을 나타냈고, 업체 품목별 평균 점수는 농산물 1.7/2.0점(83.3/100점), 축산물 1.7/2.0 점(87.2점), 수산물 1.9/2.0점(95.4점), 공산품 1.3/2.0 점(65.8점)을 나타내었다. 납품업체의 위생관리를 영역별로 평가한 결과, 가장 높게 평가된 영역은 '용수관리'(2.0점)이었고, 가장 낮은 영역은 '검사관리'(1.4점)이었다. 3. 영업장 관리 영역의 평균은 1.8/2.0점(90%)으로 평가되었고, 수산물 업체가 가장 높았다(p<0.05). '전용화장실 구비'(1.1점) 항목은 모든 품목의 업체에서 공통적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작업장 시설 설비'에서는 공산품 업체가 5개 항목에서 가장 낮은 점수인 1.0점을 보였다. 4. 제조/전처리 시설 설비 관리 영역은 평균 1.8/2.0점 (90%)을 보였고, 수산물이 2.0점 만점으로 높았다(p<0.05). 가장 낮은 항목은 '소독효과의 주기적 평가'로 특히 농산물은 가장 관리가 미흡하였다. 5. 원재료, 보관, 운송 및 반품관리 영역은 1.6/2.0점(80%)이었고, 농산물(1.7점)과 수산물(1.8점)이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p<0.05). 위생관리 취약 항목은 '입고'에서 '검체채취, 검체 취급방법 구비'(0.6점)이었다. 특히 수산물(0점)과 공산품(0.4점)은 낮은 점수를 보였다. 공산품 업체는 '협력업체 위생관리의 주기적 평가'와 '보관'의 '유독, 인화성물질, 비식용 화학물질의 구분 보관' 항목에서 낮게 나타났다. 6. 작업공정관리 영역의 평균은 1.7/2.0점(85%)으로 나타났고, 농산물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가장 취약한 항목은 '전처리'에서 '세척용수의 온도관리' 항목에서 0.7점이었고, 더욱이 농산물은 0.4점으로 평가되었다. 농산물 업체는 '세절시 이물 혼입방지'와 수산물의 '냉장 냉동식품의 절단시 품온관리'가 문제시되었다. 7. 용수관리 영역의 평균은 2.0/2.0점(100%)으로 가장 높았다. 개인위생관리 영역의 평균은 1.8/2.0점(90%)이며, 모든 항목이 잘 관리되고 있었다. 검사관리 영역은 평균 1.4/2.0점(70%)으로 가장 낮게 평가되었으며, '적정 검사시설 및 기구 구비' 항목은 공산품에서 평균 0.2점으로 평가되어 타품목에 비해 현저히 낮았고(p<0.01), 평가한 93개 항목 중 가장 불량한 상태로 관리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검사용 장비 및 기구의 검교정' 항목은 농산물이 0.4점으로 관리상태의 개선이 필요하며, 품목별로 볼 때 낮은 점수로 평가되었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원재료의 입고 및 반품관리와 검사관리는 가장 관리가 미비한 영역으로 규명되었다. 구입되는 원재료의 안전성을 위해서는 입고 및 반품 기준이 정확하게 설정되어야 하고, 검사관리를 통해 원재료와 최종제품의 안전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납품업체들의 검사관리 수행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검사시설의 구비와 장비의 검교정에 대한 지속적인 지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내 학교급식 납품업체 중 거래학교수가 30개 이상인 대 중규모 업체만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나, 향후 소규모업체 대상으로 실태가 파악이 되면, 납품업체 대상 위생관리 프로그램의 개발과 업체 지도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소설 "토지"에 나타난 경상남도 향토 음식문화 (A Study on the Kyungsangnamdo Native Local Food Culture in the Novel "Toji")

  • 김미혜;정혜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583-598
    • /
    • 2011
  • This study was intended to outl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od culture in the area of Kyungsangnamdo and its modernization by interpretation and analysis of the novel Toji, which was set in Hadong, Jinjoo in the area of Kyungsangnamdo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characteristics of the Kyungsangnamdo area's native dish during the Japanese ruling era in the latter half of the Choson dynasty are as follows. In the first part of the novel, which spans from 1897 to 1908, vegetable and grain food development can be seen in the area of Hadong, the interior plains of Kyungsangnamdo, where there is a typical farming village in the mountains. The second part of the novel, which spans from 1911 through 1917, includes some mentions of the properties of Kyungsangnamdo area's native dishes through the lens of emigrated Koreans living on Gando island. Gando island is in China, and is where Seohee, the heroine, escapes from her homeland and remains for a period of years. There is a unique type of seafood in the Gando area using fresh marine products, exactly the same as in the Kyungsangnamdo area. The third part of the novel spans 1919 through 1929, after Seohee returns to her own country and regains her house. There is a noticeable description of food culture in the area of Jinjoo in Kyungsangnamdo through the description of Seohee focusing on the education of her children. The well-described features of Jinjoo are boiled rice with soup of beef leg bones and Jinjoo bibimbob, with vegetables and a variety of foods using cod. Cod are caught in large quantities in Kyunjgsangnamdo, and cities in the area grow to medium size as the area became traffic-based. The fourth part of the novel spans from 1929 through 1938, and includes very detailed descriptions of characters and background locations. Salted fish combined with the wild ingredients of Mt. Jiri feature prominently in the Kyungsangnamdo's area descriptions. The fifth part spans from 1940 through 1945, and as the Japanese colonization era ends, the foods described in Kyungsangnamdo seem to develop the usage of soybean paste. With abundant fish and shellfish Kyungsangnamdo, the dishes that evolve to use soybean paste include mussel soybean paste soup, picked bean leaves in soybean paste, chaitgook - cold soup from soybean paste, and seolchigook used with seaweed and sea laver.

무기질 소재로서 갑오징어갑의 성분 특성 (Pood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Cuttle Bone as a Mineral Source)

  • 조문래;허민수;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78-482
    • /
    • 2001
  • 갑오징어 가공부산물인 갑오징어갑을 식품 무기질 강화소재 등으로 이용하기 위한 일련의 기초 연구로 갑오징어갑의 식품학적 성분 특성을 검토하였다. 갑오징어갑의 수율은 약 $7.5\%$이었고, 이들은 회분이 약 $90\%$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갑오징어갑은 중금속 분석 결과 무기질 추출소재로서 중금속은 문제가 되지 않았다. 그리고, 갑오징어갑의 주요 무기성분은 칼슘이 약 $22\%$ 정도로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이와 같은 수율, 일반성분 중금속 및 무기질 함량에 있어 국내산 및 수입산에 있어 큰 차이가 없었다. 갑오징어라을 XRD 분석하여 본 결과 갑오징어갑은 탄산칼슘이 주성분이었고, 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비정형의 결정을 이루고 있었다 갑오징어잠은 pH 7 부근에서 상당히 강한 완충특성을 나타내었고, 탁도는 아주 높았다. 또한 용해도는 탄산칼슘보다는 약간 우수하였으나 전반적으로 낮아 칼슘제로 사용에 있어 제한을 받으리라 추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갑오징어갑은 칼슘 추출소재로 적절하리라 판단되었다.

  • PDF

환동해지역 거점도시에서의 시장성장과 경쟁 및 유통구조: 후쿠오카, 울산 및 옌지의 시장을 중심으로 (Market Growth, Competition, and Distribution Structure in Major Cities of the East Sea Rim)

  • 최영진
    • 유통과학연구
    • /
    • 제13권2호
    • /
    • pp.95-104
    • /
    • 2015
  • Purpose - This is a comparative study of the market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Ulsan in South Korea, Fukuoka in Japan, and Yanji in China, which are major East Sea Rim cities with adjacent areas of similar na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ea and the country. Particularly, it considers these aspects while focusing on the evolution of networks that appear in the distribution system and at the same time examining the institutions of market activation and regulations that are handled by the central and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changing logistics due to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the concern of food safety, using a meso-analysis approach.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study used a historical and comparative approach with a focus on case studies. It made us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local newspaper articles, reports, literature, interviews with experts, discussions with local merchants, discussions with customers, and so forth. Results - In the case of Fukuoka, from the 1960s, due to the entry of supermarkets, supermarkets expanded and they have now come to a dominant market position in the current market. They offer a convenient and comfortable environment while providing a large mall offering a variety of educational and cultural activities for customers to meet the customers' needs, such as the preferences of Korean tourists, who appear to prefer Japanese foods. The Fukuoka City Central Wholesale Market has been exporting fruits and vegetables as well as seafood products to Korea, China, and so forth. In the case of Ulsan, as in the early 2000s, due to the expansion of supermarkets, the traditional markets have been shrinking and further, the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markets was conducted under the auspices of the Small Business Administration. In addition to the large discount malls, the expansion of SSM is expected to further drive the small trader bay. Shopping malls, department stores, and traditional markets contend with each other in Yanji, China, but a large number of citizens appear to prefer traditional markets and imported milk in the supermarket after the melamine scandal in China. Recently, the WanYuan (萬源) wholesale market has been partially completed and made an attempt to become a logistics hub in Northeast Asia. Conclusions - For the development of Korea's retail industry, it is important to offer the government with proposals regarding desired regulation.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enable the business of traditional markets, it requires an association for cultural tourism. At present, it would be better to provide a venture fund for the youth rather than infrastructure support.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institutions and policy to develop networks in the East Sea Rim. Future studies should conduct a survey on customers, managers, and merchants more carefully and systematically to understand the market situation while considering the size of the city and its evolution of markets, as well as policies and institutions.

전자선 조사 양념 오징어 젓갈 및 부재료의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특성 (Microbiolog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Electron Beam Irradiated Squid Jeotkal and Its Ingredients)

  • 김빛나;정사무엘;최준호;류현덕;조철훈
    • 농업과학연구
    • /
    • 제35권2호
    • /
    • pp.155-165
    • /
    • 2008
  • 본 연구는 전자선 조사기술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전통 발효 식품인 젓갈류 중 오징어젓갈의 유통 안정성을 확보하고자 실시되었다. 저장성 감소에 가장 문제가 될 수 있는 총균수, 효모 및 곰팡이, 대장균군 등의 미생물에 대해 5 kGy 선량까지의 전자선 조사는 1-2 log cycle 정도의 감균효과를 나타내었고, 5 kGy 전자선 조사를 통해 검출한계치 이하로 측정되었다. 관능적 품질에 대한 결과에서도 모든 처리군에 대하여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젓갈뿐만 아니라 젓갈 제조시 사용되는 부재료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pH 측정 결과 젓갈의 pH가 전자선 조사시 대조구에 비해 오래 유지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전자선 조사는 젓갈의 미생물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이취 및 이미 등의 발생이 없이 우수한 관능적 품질을 유지하므로 저염 오징어 젓갈의 유통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살균 방법이라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