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ripture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3초

노면전철형식의 경량전철 운전규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Operation provision for lightrail of tram formats)

  • 이수환;김유호;이훈구;편선호;황현철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제39회 하계학술대회
    • /
    • pp.1023-1024
    • /
    • 2008
  • The road surface scripture season must be interpreted with hitherto whole aspect line scripture season different. TRAM (street cars) it respects an operation it stands and back must be operated the bus which runs place and riding grade different public transportation means and to be mixed. With the numerous crossroads zebra crossing and the coat platform must operate back. The role of the operation article most is important. It undergoes the influence of traffic signal specially directly. It considers each facility etc. of the road and must construct a proper equipment in him with connection method of the signal system which it follows in the middle urethra. Must secure the fixed time characteristic of the operation which road surface scripture season is efficient and expression speed and operation. In order the [le] according to interface plan with traffic signal it does to consider a traffic signal first of all. This the research of operation provision is necessary.

  • PDF

韓國大巡真理會《典經》之宗教醫療研究 (The Study of Religious Medical Treatment in the Canonical Scripture of Daesoon Jinrihoe in Korea)

  • 鍾雲鶯
    • 대순사상논총
    • /
    • 제39집
    • /
    • pp.249-274
    • /
    • 2021
  • 本文乃以韓國大巡真理會《典經》為主, 探討姜甑山的宗教醫療。姜甑山的醫療原理建立在「身心一體」的整體觀, 意即醫治疾病, 必先醫心, 也就是他所說的「大病之藥, 安心安身」。按摩是姜甑山經常運用的物理治療, 他運用按摩消除病患因氣鬱不順所導致腿部與腹部的諸多疾病 ; 而四物湯, 小柴胡湯, 木瓜, 生地黃是他常用的藥劑與藥材。道法醫療是姜氏宗教醫療的特色, 根據《典經》的記錄, 有正氣祛病, 驅除精怪, 代病與轉病, 更衣除病, 用藥於地等, 結合符咒, 藉以醫治百姓, 尤其用藥於地是他獨創的道法醫療方式。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ang Jeungsan and Jo Jeongsan Described in Chapter Two of Progress of the Order

  • KO Namsik;Jason GREENBERGER
    • 대순사상과 동아시아종교
    • /
    • 제3권1호
    • /
    • pp.33-56
    • /
    • 2023
  • Although English-language academic materials on Kang Jeungsan (강증산/姜甑山 1871-1909) are steadily increasing, the same cannot be said of Jo Jeongsan (조정산/道主 趙鼎山 1895-1958) who remains under-researched as figure of profound significance to the Korean new religion Daesoon Jinrihoe (대순진리회/大巡眞理會). Furthermore, in materials produced by Daesoon Jinrihoe that are later translated into English, the connections that exist between Kang Jeungsan and Jo Jeongsan are often reduced to a few representative examples, when, in fact, many additional examples could be provided for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Comprehending the basis for the first succession in the three-figure orthodox religious lineage of Daesoon Jinrihoe is crucial to task of properly differentiating Daesoon Jinrihoe from seemingly similar Korean new religions that enshrine Kang Jeungsan as their Supreme God. The research presented in this article,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ang Jeungsan and Jo Jeongsan Described in Chapter Two of Progress of the Order," will provide readers with a thorough overview of the basis for Jo Jeongsan's successorship in the orthodox religious lineage of Daesoon Jinrihoe, through an in-depth exploration of Chapter Two of Progress of the Order from Daesoon Jinrihoe's main scripture, The Canonical Scripture. Furthermore, this article will include special explanatory notes to ensure that it can be easily read even by non-specialists.

하브루타를 적용한 경전강독 수업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Havruta Method in the Reading the Chinese Classics)

  • 이해듬;김용진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89-98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applied Havruta, a learner-centered educational method, and verified its effectiveness, to break from the existing mechanical memorization methods of scripture reading classes, which are basic subjects of East Asian medicine at East Asian medicine universities. Method: To this end, D University's scripture reading course was redesigned according to Havruta's teaching model, and Havruta classe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instructional design. Results: As a result of the class, students' Chinese translation ability improved, and they were able to concentrate on class (M=4.24). Through class, they acquired knowledge in the field (M=4.21) and their ability to communicate with others improved (M=4.21). M=4.25), it can be inferred and interpreted that the learner is engaged.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amples of applying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required in the East Asian medicine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of East Asian medicine at East Asian medicine universities, and can be used as practical basic data that can be applied not only to scripture reading subjects but also to other subjects.

대순진리회 도장 건축물 내정(內庭)에 대한 연구 - 내정의 문헌 출처와 그 맥락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Naejeong (內庭) of Daesoon Jinrihoe Temple Complexes: Focusing on Literary Sources and Context)

  • 차선근
    • 대순사상논총
    • /
    • 제37집
    • /
    • pp.1-52
    • /
    • 2021
  • 대순진리회의 도장 건축물들 가운데 하나인 내정(內庭)은 대순진리회의 통솔·감독·운영을 상징하는 공간이다. 내정의 사전적 의미가 '궁(宮) 안에서 정사(政事)가 이루어지는 곳'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건물의 명칭과 기능은 일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내정이라는 명칭은 어느 도교 경전의 한 구절과 관련이 있다는 이야기가 종단 내에서 구전으로 전해오고 있다. 그 경전이란 게 실재하는지, 또 어떤 내용과 문맥을 담고 있는지는 밝혀진 바가 없다. 이 글은 이에 주목하여, 대순진리회 내정의 전거(典據)로 알려진 문헌을 추적하고 그것이 『여조전서(呂祖全書)』 속에 휘집(彙集)된 『전팔품선경(前八品仙經)』의 「오행단효(五行端孝)」임을 소개하며, 그 문헌의 내용과 도교사적(道敎史的) 맥락을 고찰한다. 이 문헌의 탄생은 명말 청초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중국의 여러 지역에는 백성을 구제하고 신선술을 가르쳐준다는 이유로 여동빈을 신앙하는 일단의 지식인들이 있었다. 이들은 난단도교(鸞壇道敎) 공동체를 형성하여, 강신술(降神術)로 여동빈을 응하게 하고 강계(降乩)라는 방법을 사용하여 그에게 가르침을 받아 여러 도교 경전을 만들었다. 그들 가운데 몇몇은 1589년부터 1626년 사이에, 중국 광릉(廣陵) 만점(萬店)의 집선루(集仙樓)에서 여동빈으로부터 '오토결중곡(烏兎結中谷: 까마귀와 토끼는 중곡에서 모이고) 구사반내정(龜蛇盤內庭: 거북과 뱀은 내정에서 서로 얽혀있네)'이라는 문구가 든 경전을 강계로써 받아 「오행단효」라고 이름 지었다. 이 문구는 인체 내에 존재하는 음양과 수화(水火)의 두 기(氣)가 교구(交媾)하는 내단(內丹) 수련으로써 신선의 경지에 오름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그 수련은 효행을 극진히 해야만 가능하다고 한다. 구사합체(龜蛇合體)가 이루어지는 '내정'은 바로 그러한 수련으로써 신선으로 변하는 것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용어였다. 「오행단효」는 여동빈의 다른 가르침을 담은 경들과 묶여 『전팔품선경』으로 합본되었고, 1744년에는 32권 분량의 여동빈 전집(全集) 『여조전서』에 포함되어 처음으로 세상에 나오게 되었다. 이처럼 여동빈이 도교 경전을 통해 전한 '내정'이라는 용어에는 백성을 구제하고 신선술을 가르쳐준다는 여조신앙(呂祖信仰)과 난단도교, 효사상, 그리고 수화 교구의 내단술이 배경으로 자리하고 있다.

구천상제론의 시각에서 본 천지공사의 실제와 교리적 의의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Doctrinal Significances and Analyzing Chunji-Gongsa Focused on View of Guchun-Sangje Theory)

  • 이경원
    • 대순사상논총
    • /
    • 제22권
    • /
    • pp.33-83
    • /
    • 2014
  • The most fundamental topic of the Daesoonjinrihoe faith is how the human Kang Jeongsan can be supreme god(GucheonSangje). This statement is based on the Great Work of Sangje that is called Chunji-Gongsa. The documents on Chunji-Gongsa is founded in Jeongyung, the scripture of Daesoonjinrihoe. But it's not easy for us to understand it because of its holistic and symbolic expression. There are duplicate phrase of Chunji-Gonsa in one scripture or included it in another chapter that is not Chunji-Gongsa as well. So we need to analyze it more systematically and understand it reasonably. Especially in order to write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use the view of Guchun-Sangje theory. This article is composed with three chapters except preface and conclusion. The first one is the relation between Chunji-Gongsa and Guchun-Sangje. The second one is to analyze Chunji-Gonsa. The third one is the doctrinal significances of Chunji-Gongsa.

神人調化或神人調和 - 以大巡真理會和召會的論述為比較 - (Harmonious Union between Divine Beings and Human Beings or the Blending of God and Man: A Comparison between Daesoon Jinrihoe and the Local Church)

  • 范俊銘;姚蘊慧
    • 대순사상논총
    • /
    • 제35집
    • /
    • pp.509-539
    • /
    • 2020
  • 大巡真理會以《典經》為主體, 闡述神與人的思維於教義之中, 含括神聖性, 宗教性與教義性等探討價值 ; 神與人的傳統意義, 經由《典經》的詮釋, 超越倫理性, 傳統性和社會性, 跨越世俗性的終極關懷。從《典經》的角度分析, 有助於了解大巡真理會的宗旨, 組織的推行方針與未來走向。召會以《聖經》為主體, 將神與人的關連, 作為經歷神聖生命與性情的植入, 而與人的生命與性情調和 ; 神聖的生命是一直不斷地與人的生命調和, 並使之成為神聖的人, 或可稱為屬人的神聖者。此即「神人」的原因, 使人的生命成為神人的生命, 生活是神性調著人性, 作為外顯的行事為人, 性格與生活 ; 因此, 「神人調和」的說法, 作為神與人的關係詮釋, 專注於神與人之間的神聖關連, 從而延伸至召會的範圍。大巡真理會與召會, 代表著歷史, 文化, 語言, 宗教等不同的分野, 卻在神與人的超然解釋上, 各自提出「神人調化」, 「神人調和」等見解 ; 二者可尋覓出論點上的類似點和相異觀, 作為探究的區分與貢獻。

모리스 꾸랑의 『한국 서지(Bibliographie Coreenne)』에 수록된 도교경전 연구 (A Study on Taoism Scripture included in Maurice Courant's Bibliographie Coreenne)

  • 김윤경
    • 한국철학논집
    • /
    • 제50호
    • /
    • pp.269-303
    • /
    • 2016
  • 본 연구는 모리스꾸랑의 "한국서지" '도교' 관련 해제들에 대한 고찰이다. 모리스꾸랑은 전임공사인 쁠랑시의 조언과, 한학에 능한 조력자들의 도움을 받아 3000종이 넘는 도서들을 수집하여 "한국 서지"(1896)를 집필하였다. 모리스꾸랑은 도교관련 경전들을 분류하면서 '경서류', '관성제군 문창제군 부우제군에 대한 숭배의식', '기타'의 세 부분으로 나누었다. 모리스꾸랑의 "한국서지"에 담긴 도교 부분은 다음의 세 가지 의미를 가진다. 첫째 19세기 말 관제신앙의 유행과 삼성신앙의 확대이다. 그의 도교서지는 대부분 19세기 말 조직화 되었고, 삼성신앙을 기반으로 하는 '무상단'에서 출판한 책들을 중점으로 다루었다. 둘째 모리스꾸랑이 자생적인 도교경전을 찾으려 노력했다는 점이다. 그는 한글본 "도덕경"을 찾으려 노력했고, 한국에서 새롭게 만들어진 '조선난서'인 "문창제군몽수비장경(文昌帝君夢授秘藏經)" 등을 다루었다. 셋째 그의 연구를 통해 당대의 도교의 지형도를 살필 수 있다는 점이다. 그가 살던 시기, 관묘를 중심으로 하는 도교가 활발히 활동하고 있었고, 최초의 도교교단이었던 '무상단'이 조직적으로 활동했으며, "번석자문(飜惜字文)"을 기반으로 하는 종교적 사회실천 모임이 있었다는 것을 살필 수 있었다. 1890년대 조선은 열강사이에서 나라의 주권을 잃어가고 있는 시기였다. 이러한 시기 왜 대량의 민간도교경전이 간행되고, 사회의 지도층까지도 삼성신앙을 가졌던 것인가? 이러한 지도층의 태도를 선교사들은 '무당들과 주술사들이 이 나라를 그리고 지배자들까지를 지배하고 있으며, 고종이 역술가에게 포위된 채 생활하였다'라고 기록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민간도교에 기반 한 '대종교'는 항일운동의 구심점이 되기도 하였다. 아직까지도 조선후기 난서의 유행과 삼성신앙에 기반 한 민간도교의 확대를 설명하기 위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1890년대 초 조선을 다녀가 "한국서지"를 남긴 모리스꾸랑을 연구해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

《典經》中的道術思想來源與轉化運用研究 (The Study of the Origin and Transformation of the Arts of the Dao in The Canonical Scripture)

  • 謝聰輝
    • 대순사상논총
    • /
    • 제36집
    • /
    • pp.267-298
    • /
    • 2020
  • 本文以〈《典經》中的道術思想來源與轉化運用研究〉為題, 主要採取溯源與比較的方法, 希望能較清楚梳理大巡真理會關於道術部分核心的思想淵源, 與其經實踐工夫轉變運用的巧妙智慧。除前言與結語兩節外, 第二節〈運度定數 : 《典經》天地公事與道教開劫度人比較〉中, 析論會造成否劫的原因, 除了歸諸於自古以來神明與人類的冤結怨深有關之外, 主要跟中國自古自然曆數週期的運行思想有關。而在調整度數的天地公事上, 姜聖上帝是主控且親力親為, 信徒只是配合的輔助角色 ; 道教則更強調經典的神聖經德功能, 以及需要負責的高真集體參與運作, 而不是至高神元始天尊一人所能獨為。第三節 〈道術儀式的來源與運用特質〉分析上, 除探究了五方將, 二十四將, 二十八將與四十八將的來源意涵外, 也論證了《典經》 中一部分道術經咒與道教神霄雷法的關係, 最後則提出了其中的遁甲步罡儀式與六壬式盤占卜操作有關的看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