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lerotia

검색결과 198건 처리시간 0.028초

Sclerotirum cepivorum에 대한 마늘 재배종의 저항성 검정 (Screening for Resistance of Garlic Cultivars to White Rot Caused by Sclerotium cepivorum)

  • 이용훈;이왕휴;이두구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94-597
    • /
    • 1998
  • The optimal quantity of inoculum was determined to screen resistance of garlic cultivars against Sclerotium cepivorum and 30 cultivars was tested. The growth of the pathogen in detached roots, Disease incidence was increased when the inoculum density was raised form 10 to 100 sclerotia. The optimal inoculum density to differentiate resistance or susceptibility of garlic cultivars was seemed to be 50 sclerotia. The cultivars collected from England, Japan, Nepal and Turkey, and cultivars such as common red, PI1356104 and PI135693 were less than the other cultivars in their disease incidence. The growth of S. cepivorum in detached roots varied from 23 to 33 mm according to garlic cultivars.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disease incidence and the growth in detached roots. The sclerotial germination was increased significantly when root extract was extract was added. The addition of only distilled water resulted in 13% germination, but the addition of 0.25 g of root extract in 100 ml distilled water resulted in more than 85% germina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timulation of sclerotial germination among cultivars which showed different resistance.

  • PDF

Stem Rot of Strawberry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in Korea

  • Kwon, Jin-Hyeuk;Shen, Shun-Shan;Park, Chang-Seu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0권2호
    • /
    • pp.103-105
    • /
    • 2004
  • A destructive stem rot of strawberry (Fragaria x ananassa cv. Akihime) sporadically occurred in farmers' fields in Daegok-myon, Jinju city, Gyeongnam province in Korea. The infected plants showed stem and crown rot, with occasional blighting of the whole plant. White mycelia appeared on stems of infected clones and sclerotia formed on the old lesions near soil surface. The fungus formed white colony on PDA and showed maximum mycelial growth and sclerotial formation at $30^{\circ}C$. The fungus usually have many narrow hyphal strands, 2.6-10.0 $\mu\textrm{m}$ in width, in the aerial mycelium. Typical clamp connections were formed on the mycelium. Sclerotia were spherical and 1.0-2.4 mm in size. The fungus was repeatedly isolated from infected tissues and identified as Sclerotium rolfsii. Its patho-genicity was confirmed when inoculated onto straw-berry.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stem rot of strawberry caused by S. rolfsii in Korea.

Variation in Biochemical Composition among Indian Isolates of Sclerotinia scle-rotiorum

  • Basha S. Ameer;Sarma B.K.;Singh K.P.;Singh U.P.
    • Mycobiology
    • /
    • 제34권3호
    • /
    • pp.114-119
    • /
    • 2006
  • Biochemical variability among 20 Indian isolates of Sclerotinia sclerotiorum collected from different hosts/soil samples from different localities in India is reported.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HPLC) analysis of ethyl acetate fraction of culture filtrate, mycelia, sclerotia and sclerotial exudate showed $15{\sim}23$ peaks but only 11 could be identified. They were tannic, gallic, oxalic, caffeic, vanillic, ferulic, O-coumeric, chlorogenic, cinnamic, salicylic and gentisic acids. The amount of phenolic compounds varied among the culture filtrates, mycelia, sclerotia and sclerotial exudates of S. sclerotiorum.

저령(Grifola umbellata)균핵의 추출성분 (Chemical Constituents of the Sclerotia of Grifola umbellata)

  • 이학주;이경태;박영기;이민웅
    • 임산에너지
    • /
    • 제21권1호
    • /
    • pp.16-24
    • /
    • 2002
  • 저령의 균획으로부터 3개의 알카로이드와 2개의 스테로이드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단리된 물질들은 NMR, MS 등의 기기분석에 의해 9-β-D-ribofuranosyladenine (adenosine)을 비롯하여 1-β-D-ribofuranosyluracil (uridine), 그리고 2, 4-pyrimidinedione (uracil)과 ergosta-4, 6, 8 (14), 22-tetraen-3-one, ergosta-5, 7, 22-tritene-3β-ol (ergosterol)으로 각각 동정하였다.

  • PDF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팔레놉시스 흰비단병 (Sclerotium blight of Phalaenopsis Orchids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in Korea)

  • 한경숙;이성찬;한유경;김수;박종한
    • 식물병연구
    • /
    • 제17권3호
    • /
    • pp.402-404
    • /
    • 2011
  • 2009년 9월 경기도 동두천시와 화성시 소재 농가에서 팔레놉시스 재배중 생육이 부진하고 하엽이 황화되며 심한 경우 뿌리와 기부가 마르고 식물체 전체가 말라죽는 증상이 발생하였다. 말라죽은 기부와 수태표면에 흰색 곰팡이 균사와 함께 둥근 형태의 적갈색 균핵이 관찰되었다. 균학적 특징으로 균사는 $25-30^{\circ}C$에서 가장 활발한 생장을 보였으며, 균핵은 갈색의 둥근형태로 직경은 1-3 mm 였다. 병원성 검정결과 병징이 접종 후 5일째 관찰되었으며 그 후 급속하게 진전되어 강한 병원력을 보였다. 팔레놉시스에서 발생한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및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이 증상은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흰비단병으로 동정되어 본 병을 팔레놉시스 흰비단병으로 명명하고자 한다.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소엽풍란 흰비단병 (Sclerotium blight of Neofinetia falcata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in Korea)

  • 한경숙;이성찬;한유경;김수;김동휘
    • 식물병연구
    • /
    • 제16권3호
    • /
    • pp.320-322
    • /
    • 2010
  • 2010년 2월 경기도 용인시 소엽풍란 재배농가에서 뿌리와 벌브가 심하게 마르고 식물체 전체가 말라죽는 증상이 나타났다. 마른 뿌리와 수태표면에 흰색 곰팡이 균사와 함께 뚜렷한 둥근 형태의 적갈색 균핵이 관찰되었다. 균학적 특징으로 균사는 $25{\sim}30^{\circ}C$에서 가장 활발한 생장을 보였으며, 균핵은 갈색의 둥근형태로 직경은 1~3 mm였다. 병원성 검정결과 발병이 초기부터 빠른 강한 병원성을 보였다. 균학적 특성 조사 결과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흰비단병으로 동정하였으며 본 병을 소엽풍란 흰비단병으로 명명하였다.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미나리 흰비단병 발생 (Occurrence of the Collar Rot of Water Cress (Oenanthe javanicav)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 권진혁;강수웅;박창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2-74
    • /
    • 2001
  • 2000년 9월 상순경 경상남도 의령군 가례면 밭 미나리 재배포장에서 미나리 흰비단병(Sclerotium rolfsii)이 대발생하였다. 이 병의 병징은 미나리 줄기 절단부가 갈색으로 변하고 물러져 썩으며 그 위에 흰색의 곰팡이가 솜털처럼 밀생하고, 병발부위에 작은 갈색의 둥근 균핵을 형성하며 지제부 부근의 토양 표면에도 형성되었다. 균사의 폭은 $4.1{\sim}10.3{\mu}m$이고, 균사 생육적온은 $30^{\circ}C$에서 90.0 mm로 가장 잘 자랐으며 $5^{\circ}C$$45^{\circ}C$에서는 자라지 않았다. PDA 배지상에는 $20^{\circ}C$에서 균핵을 많이 형성하였다. 균총의 색깔은 흰색이며 clamp connection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균핵의 모양은 구형이며 크기는 $1.0{\sim}6.3{\times}10{\sim}5.2mm$ (평균 $2.4{\sim}2.2mm$)이었다. 이 병원균을 Sclerotium rolfsii로 동정하였고, 미나리 흰비단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 PDF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할미꽃 흰비단병 (Sclerotium Rot of Pulsatilla koreana Nakai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 권진혁;황갑춘;이슬비;최용조;이상대;응웬레민
    • 식물병연구
    • /
    • 제21권4호
    • /
    • pp.334-336
    • /
    • 2015
  • 2013년 7월 경상남도 진주시농업기술센터 양묘장 전시포에 재배중인 할미꽃에서 흰비단병 증상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할미꽃의 꽃줄기와 꽃자루 부분이 수침상으로 물러지면서 부패되어지고 서서히 시들면서 포기 전체가 말라 죽었다. 병반부와 토양 표면에 흰색의 곰팡이가 발생하며 갈색의 작은 둥근 균핵이 많이 형성되었다. 감자한천배지에서 균총은 흰색이고 배양 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갈색의 작은 둥근 균핵을 많이 형성하였다. 균핵의 크기는 1-3 mm이며 균사의 폭은 $4-9{\mu}m$였다. 균사생육과 균핵 형성 적온은 $30^{\circ}C$이었다. 균사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다. 할미꽃에서 발생한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그리고 ITS rDNA 염기서열 비교분석 결과, 이 병을 S. rolfsii Saccardo에 의한 할미꽃 흰비단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동부 흰비단병 (Sclerotium Rot of Cowpea (Vigna sinensis King)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 권진혁;강동완;한인영;최용조;이상대;손대영
    • 한국균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61-63
    • /
    • 2016
  • 2015년 9월 경상남도농업기술원 시험연구 포장에서 재배 중인 동부에 흰비단병 증상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동부의 줄기 지제부위가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부패되어 서서히 시들면서 포기 전체가 말라 죽었다. 줄기의 병반부와 토양표면에 흰색의 곰팡이가 발생하며 갈색의 둥글고 작은 균핵이 많이 형성되었다. 감자한천배지에서 균총은 흰색으로 잘 자라며 배양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갈색의 둥글고 작은 균핵을 많이 형성하였다. 균핵의 크기는 1~3 mm이며 균사의 폭은 $4{\sim}9{\mu}m$였다. 균사생육과 균핵형성 적온은 $30^{\circ}C$이었다. 담자균 균사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다. 동부에서 발생한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DNA 염기서열을 비교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이 병을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동부 흰비단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

문고병균(Corticium sasakii)의 균사생장, 색소형성 및 균핵형성에 미치는 광선의 영향 (Effect of Light on Mycelial Growth, Pigmentation and Sclerotial Production of Corticium sasakii (shirai) Matsumoto)

  • 유승헌;박종성
    • 농업과학연구
    • /
    • 제2권2호
    • /
    • pp.375-380
    • /
    • 1975
  • 본 연구는 인공배지(Rice Polish Agar) 위에서 자라는 문고병균(C. sasakii)의 균사생장, 색소형성 및 균핵형성에 미치는 광선의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배양적 성질이 다른 두균주(D-3, D-15)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두 균주 모두 연속관선조사구, 광암교호구 및 암처리구에서 균사 생장량에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균주 D-3는 균사 및 배양기가 갈색으로 착색되엇고 암처리구보다 관선조사구에서 더 많이 착색되었으나 균주 D-15에서는 갈색 색소형성이 없었다. 2) 균핵형성에 미치는 광선의 영향은 두 균주간에 차이가 있었다. 즉 균주 D-15는 각 처리간의 총 균핵형성량에는 유의차가 없었으나, 암처리구에서 광암교호구 및 연속 광선조사구 보다 대형균핵이 많이 형성되었다. 반면 균주 D-3는 연속광선조사구에서는 많은 균핵을 광암교호구에서는 중간정도, 암처리구에서는 적은량의 균핵을 형성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