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tific explanations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31초

묽은 용액의 성질에 대한 교과서 내용 분석 및 화학전공교사의 사고유형 조사 (An Analysis of Textbook Contents and Survey of Chemistry Major Teachers' Thinking Types Related to Dilute Solutions Properties)

  • 김성혜;이은실;백성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91-301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묽은 용액의 성질에 대한 고등학교 화학II 교과서의 설명과 화학전공 교사들의 사고유형을 조사하여 학생들이 가지는 어려움의 원인을 밝히는 것이다. 8종의 교과서를 분석하고 교사들이 어떤 설명 유형을 선호하는지를 알아보는 설문지를 개발하여 교사들의 사고 유형을 알아보았다. 설문지 분석 후에 개별 면담을 실시하여 교사들의 사고 유형을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과서의 설명들이 과학적 개념을 형성하기에는 불충분하다는 점이 밝혀졌다. 또한 교과서 그림과 설명이 서로 일치하지 않았다. 화학전공 교사들은 자신의 사고 유형과 다른 상황이 제시되면 인지 갈등을 겪는 것으로 나타나, 사고 유형이 견고하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2009 개정 과학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물리 교과서 탐구활동 분석 (An Analysis of Inquiry Activities in High School Physics Textbooks for the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 강남화;이은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32-143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과학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물리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활동을 과학적 실천 개념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교과서를 통해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가능한 탐구 학습의 경험을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하기'와 '설명 구성하고 문제해결 고안하기'가 다른 과학적 실천에 비해 강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질문하고 문제 규정하기'는 물리 교과서 4권을 통틀어 단 1건이 있었다. 단원별로 강조되는 과학적 실천의 차이가 거의 없어 특정 과학적 실천의 강조가 교과 내용과는 무관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탐구활동에서 수행한 과학적 실천이 교과서 내용 전개상의 탐구활동의 목적과는 무관하게 사용되고 있음이 드러났다. 교육과정과 교과서 그리고 교사 교육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중등 과학 교사들의 과학의 본성, 과학적 인과성 및 자연에 대한 종합적 관점 조사 (Comprehensive Presuppositions Regarding Nature of Science, Scientific Causality, and Nature Held by In-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 홍행화;박종원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2호
    • /
    • pp.454-469
    • /
    • 2014
  • 교사 개인의 자연 및 과학에 대한 관점은 학교교육과정에서 교육받기 이전부터 주변 환경과의 상호 작용 및 일상생활 속에서의 경험 등을 통해 형성되어, 과학학습지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의 본성, 과학의 인과성, 그리고 자연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교사의 관점을 종합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Q방법론을 이용하였다. 과학의 본성, 과학적 인과성, 자연에 대한 81개의 진술문이 사용되었고, 12명의 과학교사가 각 진술문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응답한 후, 요인분석을 통해 교사의 관점을 유형별로 구분하였다. 분석결과, 과학의 본성, 과학적 인과성, 그리고 자연에 대해서 교사의 관점이 크게 5개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었고, 유형별 특징을 알아볼 수 있었다. 그리고 과학의 본성, 과학적 인과성, 자연에 대한 관점들이 서로 연관되어 있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방법은 앞으로도 교사의 다양한 관점을 상호 연관지어 종합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과학교육에서의 온라인 지식검색 서비스 활용 현황과 역할: 중·고등학교 화학교과를 중심으로 (Using Online Knowledge-based Search Service in Science Education: focused on Secondary School Chemistry)

  • 최취임;이은아;김미연;김민욱;문성현;최보경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6권1호
    • /
    • pp.49-55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과학교과 내용과 관련한 온라인 지식검색 서비스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과학 탐구에서는 정보와 지식을 습득하고, 평가하고, 교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온라인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와 지식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현실에서, 어떻게 이들 정보와 지식을 습득, 평가, 교류해야 하는가는 과학교육의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자료의 수집을 위하여 국내의 유명 포털사이트인 네이버의 지식검색 서비스 지식iN을 대상으로 중고등학교 화학교과 관련 내용을 13일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은 단순 개념의 검색보다는 과학 원리에 대한 설명이나 문제풀이 등의 목적으로 지식검색 서비스를 활용하고 있었으며, 제공된 내용의 출처는 객관성과 신뢰성이 부족하고, 약 30%정도의 내용오류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과학 탐구활동에 있어서 정보의 습득과 평가, 교류가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는 상황에서 온라인 지식검색 서비스의 적절한 활용법도 과학교육에서 담당해야 할 과제일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은유적 과학 용어들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및 이해도 조사 (Korean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Highly Metaphorical Science Terminologies)

  • 김영민;홍성희;김재권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718-734
    • /
    • 2013
  • 본 연구는 오래된 은유적 과학 용어들과 2009 개정교육과정에 새로 포함된 은유적 과학 용어들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이해정도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은유적 과학 용어들을 선정하였으며, 대상 학생들은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을 학습한 고등학생 176명과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을 학습한 학생 175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7차 교육과정과 2009개정교육과정 둘 다에 포함되어 있는 오래된 은유적 용어에 대해서는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학습한 그룹과 7차 교육과정에 의해 학습한 그룹 모두 은유적으로 이해하는 학생보다 교과서의 표현 그대로 또는 부분적으로 과학적으로 이해하는 학생의 수가 많았다. 이 경향은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학습한 그룹과 7차 교육과정에 의해 학습한 그룹 사이에 차이가 거의 없었다. 둘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새로 포함된 은유적 과학 용어들에 대해서는 '블랙홀'과 같이 방송 매체나 인쇄매체를 통해 자주 접할 수 있는 개념들은 과학적으로 설명하려고 하는 경향이 어느 정도 있지만 거의 일상생활 속에서 접하지 못하는 은유적 과학 용어들은 학습 후에도 과학적으로 설명하는 것을 매우 어려워했다. 과학에서 오래 사용한 은유적 용어들의 경우에는 과학적인 이해로 변화하는 경향이 높긴 하지만 새로운 은유적 용어들의 경우에는 학생들이 개념을 바르게 이해하기 전에 그 용어가 가지는 은유적인 의미가 학생들로 하여금 과학적 이해를 어렵게 하는 것으로 보인다.

과학 교과서 천문 단원의 탐구 활동 분석 (Analysis of Scientific Inquiry Activities in the Astronomy Section of School Science Textbooks)

  • 김경미;박영신;최승언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04-217
    • /
    • 2008
  • 본 연구는 초 중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천문영역에 수록된 탐구활동을 NRC(2000)에서 제시하는 탐구기본요소 5가지와 SAPA에서 제시하는 기초 및 통합적인 탐구과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과학 교과서의 탐구 활동이 과학교육의 목표인 과학적 소양을 실현하기에 제한점이 있음을 제시하고, 보완적인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천문영역을 분석한 결과 초 중 고등학교 대부분의 교과서가 NRC(2000)의 탐구요소 5가지 중 탐구요소 2에 해당하는 증거 수집이 가장 많이 나타난 반면에 탐구요소 1의 문제제기와 탐구요소 5의 발표 및 정당화 부분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탐구과정인 SAPA로 분석해 본 결과, 천문영역의 교과서 탐구 활동은 기초탐구과정에는 관찰, 의사사통, 조작, 시공간관계사용 과정 빈도수가 학년에 따라 증가하며, 통합과정에서는 조사, 모델설정, 데이터 해석, 그래프 작성, 실험과정이 늘어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에 개정 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과학적 소양 함양을 위한 교과서에서는 제한적인 탐구활동을 확장하여, 천문영역에서도 전반적이고 다양한 탐구요소 및 탐구과정을 학생들이 경험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탐구활동을 가르치는 교사들을 위한 수업모듈뿐만 아니라 이를 사용하는 교사들의 탐구에 대한 이해도 및 교수전략에 있어서도 전문성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중학교 과학교과서 생명과학 단원의 탐구 활동 분석: 과학탐구 기능과 8가지 과학 실천을 중심으로 (Analysis of inquiry activities in the life science chapters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Focusing on Science Process Skills and 8 Scientific Practices)

  • 김미정;홍준의;김성하;임채성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1권3호
    • /
    • pp.318-33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2009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과학교과서에 포함된 탐구 활동이 기존 과학교육에서 강조되어왔던 탐구 기능과 구체적 학생 활동이 강조되는 NGSS의 8가지 과학 실천 측면에서 상호 분석되었을 때 어떤 특성을 나타내는지 생명과학 단원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년 구분 없이 탐구 기능에서는 '추리', 관찰', '분류' 순으로 많이 치중되었고, 과학 실천에서는 '자료 분석하고 해석하기'와 '설명구성하고 문제해결 고안하기'에 치우쳐 있었다. 이를 통해 중학교 교과서 내 생명과학 탐구 활동이 탐구 기능뿐만 아니라 과학 실천 요소에서도 다양성이 부족하며 제시하는 활동의 목표가 한정적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과학탐구 기능과 과학 실천 요소 각 상호 매칭작업을 통해 탐구 기능 중심에서 과학 실천으로의 이행 시 내용 관련성을 검토하고 교과서의 탐구 활동에서 보이는 결과와 비교 분석한 결과 사전 매칭분석에 비해 교과서 내 탐구 활동의 결과가 대체적으로 기초탐구-자료해석/기초탐구-설명고안에 치우쳐 있어서 단조롭게 매칭 되었다. 이는 교과서에 제시된 활동내용의 다양성이 부족함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9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 분석을 통해 단순하고 다양성이 부족한 탐구 활동에서 벗어나 2015개정 교육과정을 구현해나가는 과정에 다양한 과학 실천 요소를 포함시키도록 하는 노력이 절실하게 요구됨을 제언한다.

과학활동에서 연역적 사고의 역할 (The Role of Deductive Reasoning in Scientific Activities)

  • 박종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7
    • /
    • 1998
  • 과학적 사고가 논리적이라는 말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 본 논문에서는 과학적 설명과 예측의 구조 및 가설의 검증 과정이 연역적인 구조로 되어 있음을 설명하였다. 과학적 설명과 예측의 구조를 보다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3단 논법의 간단한 구조를 사용하였으며, 특히, 동역학이 바로 과학적 설명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는 것임을 지적하였다. 이때, 많은 과학 활동이 과학적 설명보다는 예측 활동을 주로 함으로서 학생들이 동역학에 대한 이해 부족을 낳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가설의 검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심리학의 유명한 과제 중의 하나인 와슨의 선택과제를 가설로부터 (실험) 현상을 예측하는 과정과 (실험)관찰로부터 가설을 검증하는 두단계 과정으로 재해석하였다. 또한 가설 검증 과정에서의 대표적인 오류 중의 하나인 후건 긍정의 오류가 과학활동에서 왜 빈번하게 나타나는지를 설명하고 로슨의 다중가설 이론과 비교하였다. 연역적 사고에서 내용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심리학의 연구들과 과학자의 실제 활동에 대한 과학 심리학적 논의를 간단히 언급하였다. 나아가 실제 학생들의 과학 활동에서 연역적 사고가 어떠한 역학을 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실제 학생들의 과학 활동을 분석한 일련의 연구들을 조사 정리하였다.

  • PDF

기후변화와 식품안전에 관한 소고 (Impact of Climate Change on Food Safety: A Mini-review)

  • 김종규;김중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465-477
    • /
    • 2016
  • Objectives: This review examined the scientific evidence regarding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food safety. Methods: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food safety was assessed based on a survey of related publications reported in the past 20 years. The terms used for literature selection reflect three aspects: climate change; food; and food safety. Results: Climate change is expected to affect the key elements of food production - water and climate. These impact on food safety through many different pathways. Directly, food shortages according to the population grovoth result in a food security/food supply problem, These relationships are commonly understood. The indirect impacts include an increase in food-borne diseases and pathogens, increased mycotoxin production, and increased risk of pesticide residues in foods due to greater use of pesticides in response to warming and increased precipitation and the accompanying diseases in certain crops. Field studies and statistical and scenario analyses were performed to provide evidence. However, quantification of these relationships is still lacking. Conclusion: Adaptation measures at the local and community levels are essential since the pressures from weather and climate events may differ according to region and sector. It is recommended that we go beyond empirical observations of the association between climate change and food safety and develop more scientific explanations. We also need to explore alternative materials for bioenergy demands in order to improve sustainability.

공간디자인에 있어 에코디자인(Eco-design)적 접근의 유형과 사상적 배경에 관한 연구 - 동서양 자연관의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ypes of ecological approach in space design and their philosophical backgrounds - A focus on the comparison between eastern and western philosophical views of nature -)

  • 이정민;홍의택;임종훈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45-55
    • /
    • 2005
  • The progress made by scientific development achieved the goal for making human environment convenient and functional. However, it also caused excessive expanse of artificial environment, which in turn produced undesirable segregation between human and nature. Recently we frequently see ecological space designs which try to be synchronized with nature not only in technological terms, but also in psychological terms. This paper examines various viewpoints for ecological space design. First, it studies philosophical backgrounds of ecological space desig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eastern and western ideas of nature. Then it classifies the types of viewpoints for ecological space design with supporting explanations from scientific proofs. Finally, it provides case analyses for each of these views. This research aims at proving the value of ecological space design so that it can guide future direction of space design toward reestablishing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