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based

검색결과 46,406건 처리시간 0.08초

지속가능발전 문제해결 중심 메이커톤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A Study on Effects of a MAKEathon Programme Focusing on Problem-Solving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이하나;박규리;이윤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17-133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태도 향상을 위한 기후위기와 식생활 문제해결 중심의 메이커톤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고, 참여자들의 변화를 분석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증명하고자 하였다. 메이커톤 프로그램에 참가한 청소년들은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사전-사후 검사를 시행하였다. 조사도구는 지속가능발전목표, 창의인재역량,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 프로그램 만족도, 인구학적 배경 등의 문항을 활용하였다. 대응표본 t검증을 위해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 모두 응한 응답자 29명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에 따르면, 참가자들은 세 가지 역량에 대해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본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입증하였다(M=4.46, SD=0.48, t=5.89, p<.001). 또한, 프로그램 만족도에 대해서도 4.55로 나타나 만족도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본 프로그램은 지속가능성과 관련한 비교과 프로그램의 가치를 확인하는 데 의미가 있으며, 추후 가정교과와 관련한 의, 식, 주, 아동가족 등 다양한 주제와 연관된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바이다.

위선종의 내시경 절제 후 이시성 재발의 예방을 위한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 체계적 문헌분석 및 메타분석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and Risks of Metachronous Recurrence after Endoscopic Resection of Gastric Adenom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김지현;남수연;천재영;윤영훈;박효진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 /
    • 제8권2호
    • /
    • pp.91-96
    • /
    • 2020
  •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박멸이 위선종의 내시경 절제술 후 이시성 재발 발생에 미치는 영향은 잘 정의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위선종의 내시경 절제술 후 헬리코박터 박멸이 이시성 재발 예방에 미치는 효능을 평가하는 것이다. Ovid-MEDLINE, EMBASE, Cochrane Library, KoreaMed 및 KMBASE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체계적인 문헌 검토 및 메타분석이 수행되었다. 헬리코박터 박멸에 따른 이시성 위병변에 대한 통합 위험비(Pooled risk ratio)를 계산하고 이질성도 측정하였다. 5개의 적격한 연구가 최종적으로 체계적인 검토에서 확인되어 메타분석에 포함되었다. 헬리코박터 박멸은 전체적으로 이시성 재발을 55% 낮출 수 있었다(RR=0.55; 95 % CI 0.34-0.92). 체계적인 문헌 검토 및 메타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헬리코박터 박멸은 위선종의 내시경 절제술 후 이시성 재발 예방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A 대학병원 Institutional Review Board 위원 기반 내부 점검 사례 및 Quality Assurance 담당자 내부 점검과의 비교: 내부 점검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Comparison of Internal Audits by A University Hospital Institutional Review Board Members and Quality Assurance Officers: Factors Influencing Internal Audit Results)

  • 하나야;최병인
    • 대한기관윤리심의기구협의회지
    • /
    • 제6권2호
    • /
    • pp.48-55
    • /
    • 202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member-based internal audit method performed at A University Hospital, a secondary medical institution, an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audit resul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uditor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rnal audit results. Furthermore, we will find out what needs to be improved in the internal audits to achieve Quality assurance (QA) objectives for human subject research conducted in medical institutions. Methods: The auditors were divided into group A (IRB member belonging to institution A) and group B (clinical trial QA administrator belonging to other institutions) and independently inspected the 2 studies using the same internal audit checklist (consisting of 11 domains, 130 items), and the differences in the internal inspection checklists written by each auditor were compared and analyzed. Results: In the case of audit for the study 1, the number of missing checklists is 1 for group A and 0 for group B, and the number of the matters to be pointed out is 1 for group A and 12 for group B. In the case of audit for the study 2, the number of missing checklists is 2 for both A and B, and the number of points is 5 for A and 4 for B. The differences in the internal audit results written by each auditor that the authors verified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more comments from group B auditor than from group A auditor. Second, the results may vary because each auditor has different criteria for evaluating the appropriateness of an item. Third, there are cases where the questions on the checklist are vague or the definition is not clear, so they have the same opinion but check it with different answers. Fourth, if the auditors make a mistake when filling out the checklist, it causes to led to different the results. Conclusion: We propose the following items that should be improved in order to conduct consistent and efficient internal audits. First, it is necessary to test the tool in order to carry out reliable and consistent internal audits. Second, it is necessary to complete specialized training related to internal audit before conducting internal audit. Third, before notifying the audit results, it is necessary to have a procedure or a final review system to check whether the audit contents are appropriate. Fourth, Institutional support is needed to recruit specialized personnel for internal audits.

  • PDF

제화시에 나타난 용(龍)의 표상과 그 의미 (The Dragon Symbol and its Meaning in the Painting Poetry)

  • 박혜영
    • 대순사상논총
    • /
    • 제49집
    • /
    • pp.157-186
    • /
    • 2024
  • 본 연구는 용 그림을 소재로 한 제화시(題畫詩)를 통해 당대 용에 함축된 상징의미를 파악하고, 용의 문학적 형상화 방식과 특징을 분석한 것이다. 먼저 그림 속 용을 대상으로, 화룡(畫龍)의 형상과 기운을 살폈다. 제화시에서 화룡의 형상은 '신(神)'의 기운으로 구체화된다. 신은 신이(神異)함, 즉 신묘·신령·기이·괴이 등으로 풀이할 수 있는데, 이는 용이 상상 속 동물인 데에 기인한다. 그렇지만 당대 사람들은 관습적으로 용이 실재한다고 믿었다. 이에 눈, 발톱, 뿔과 갈기, 비늘 갑옷 등으로 용의 형상을 실체화하고, 이 형상에서 신이함을 구현하고자 노력했다. 또한 화룡의 본령은 용덕·천진 등과 같은 용의 기운, 즉 '전신(傳神)'의 형상화에 있었다. 다음으로 그림에서 떠오른 용의 표상들을 짚었다. 제화시에서 용의 심상이 빈번하게 등장하는 것은 '송(松)·죽(竹)·매(梅)' 그림을 형용할 때였다. 용으로 현현되는 송죽매는 외형적으로 구불구불한 가지와 얽히고설킨 줄기, 푸른 옥빛의 자태 등을 공통분모로 하여, 화룡과 같이 비·바람·번개 등의 기상현상을 배경으로 삼는다. 이를 통해 '기(奇)'를 표출해 사람들에게 신이로움을 느끼게 만든다. 다만 조선 후기로 갈수록 송죽매가 세한삼우로서 선비의 절개로 상징의미가 굳어지면서 용의 비유적 수사는 점차 줄어드는 경향을 보인다. '용-화룡/그림-제화시'로 연결되는 도식엔 원래 용의 의미가 형상으로, 언어로 그 모습을 바꾸어 나타난다. 이 의미가 용의 표상이며, 이 상징의미는 시와 그림을 본 당대 문인들 사이로 공유되었다.

여성 관리자의 가족친화제도, 상사의 절차적 공정성, 복리후생이 일·가정 양립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male Managers' Family-friendly System, Supervisors' Procedural Fairness, and Benefits on Work-family Balance)

  • 임정하;조옥선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8호
    • /
    • pp.95-103
    • /
    • 2024
  • 연구에서는 여성의 관리자의 일·가정 양립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친화제도, 상사의 절차적 공정성, 복리후생을 단계적으로 투입하여 각 요인의 영향력의 크기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2022년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여성관리자 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자료의 전체 응답자 4,058명 중 여성이며 배우자가 있는 2,069 명을 추출한 뒤, 결측치 및 이상치, 가중치를 제거하여 총 1,814명의 여성 관리자를 최종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측정 변인 간 영향력 검증을 위해 SPSS WIN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가족친화제도, 상사의 절차적 공정성, 복리후생이 여성관리자의 일·가정 양립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일·가정 양립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단계적으로 독립변수를 투입한 결과 가족친화제도의 영향력은 줄어들었지만, 다른 변수에 비해 가장 높은 영향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여성관리자의 일·가정 양립 증진을 위한 사회복지 실천 개입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카메라 트래핑 기법과 YOLO-X 알고리즘 기반의 도시 야생동물 탐지 및 분석방법론 개발 (Development of Urban Wildlife Detection and Analysis Methodology Based on Camera Trapping Technique and YOLO-X Algorithm)

  • 김경태;이현정;전승욱;송원경;김휘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7-34
    • /
    • 2023
  • Camera trapping has been used as a non-invasive survey method that minimizes anthropogenic disturbance to ecosystems. Nevertheless, it is labor-intensive and time-consuming, requiring researchers to quantify species and populations. In this study, we aimed to improve the preprocessing of camera trapping data by utilizing an object detection algorithm. Wildlife monitoring using unmanned sensor cameras was conducted in a forested urban forest and a green space on a university campus in Cheonan City, Chungcheongnam-do, Korea. The collected camera trapping data were classified by a researcher to identify the occurrence of species. The data was then used to test the performance of the YOLO-X object detection algorithm for wildlife detection. The camera trapping resulted in 10,500 images of the urban forest and 51,974 images of green spaces on campus. Out of the total 62,474 images, 52,993 images (84.82%) were found to be false positives, while 9,481 images (15.18%) were found to contain wildlife. As a result of wildlife monitoring, 19 species of birds, 5 species of mammals, and 1 species of reptile were observed within the study area. In addi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the following species according to the type of urban greenery: Parus varius(t = -3.035, p < 0.01), Parus major(t = 2.112, p < 0.05), Passer montanus(t = 2.112, p < 0.05), Paradoxornis webbianus(t = 2.112, p < 0.05), Turdus hortulorum(t = -4.026, p < 0.001), and Sitta europaea(t = -2.189, p < 0.05). The detection performance of the YOLO-X model for wildlife occurrence was analyzed, and it successfully classified 94.2% of the camera trapping data. In particular, the number of true positive predictions was 7,809 images and the number of false negative predictions was 51,044 images. In this study, the object detection algorithm YOLO-X model was used to detect the presence of wildlife in the camera trapping data. In this study, the YOLO-X model was used with a filter activated to detect 10 specific animal taxa out of the 80 classes trained on the COCO dataset, without any additional training.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create and apply training data for key occurrence species to make the model suitable for wildlife monitoring.

건설현장 통합 스마트플랫폼 구축방향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the Direction of Building an Integrated Smart Platform at Construction Sites)

  • 신연철;문유미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620-634
    • /
    • 2024
  • 연구목적: 본 연구는 건설 현장과 본사 간의 연계를 강화하고, 현장에서 실제로 작동 및 활용할 수 있는 통합 스마트플랫폼 구축 방향을 제시하여, 안전관리를 효과적으로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방법: 애자일(Agile) 방법론을 적용하여, 클라우드 기반과 3-Tier 아키텍처를 통해 유연하고 확장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현장 실태조사를 통해 기능 요구사항을 설정하고, 개인정보 보호 및 법적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설계와 구축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통합 스마트플랫폼은 현장과 본사 간의 연계를 강화하여 안전사고 예방과 안전관리 효과를 극대화했다. 이 시스템은 근로자와 관리자의 안전인식을 개선하고, 일원화된 의사소통 시스템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안전관리를 실현했다. 결론: 통합 스마트플랫폼 구축에는 개발 방법 선정과 기능 계획 수립 시 현장 특성을 반영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기본설계와 상세설계 단계에서는 보안대책 수립, 모바일 기능 디자인, 디바이스 확장 검토가 필요하며, 전사적 안전관리와 사용자 편의성, 확장성을 고려해야 한다. 시스템 유지보수와 개선, 법적 요구사항 반영, 고령 및 외국인근로자 지원도 중요하다. 개인정보 및 CCTV 보안을 강화하고, 사용자 의견을 반영하여 지속적으로 개선함으로써 통합 스마트플랫폼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과정에 나타난 시민참여 특성 (Characteristics of Public Participation in the Restructuring of Gwanghwamun Plaza)

  • 박영석;배정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69-85
    • /
    • 2024
  • 오픈스페이스 조성은 지역의 경제, 사회, 문화, 환경 등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공공의 재원으로 조성되기에 주민을 비롯한 이해관계자들 간 공감대 형성을 통한 절차적 합리성의 확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오픈스페이스 조성 과정의 시민참여 흐름을 살펴보고 그 양상을 정리한다. 이에 국내 참여 기반 오픈스페이스 조성지 7개 사례를 종합하여 조성 단계별 참여 내용과 경향을 도출한다. 또한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2016-2022)을 의제 상정 단계, 설계 및 거버넌스 단계, 갈등 조정 단계, 시공 추진 단계로 나누어 시민참여를 분석한다. 그 결과 광화문광장의 시민참여는 불충분한 참여 여건, 부족한 정보 공유, 단조로운 참여 방식으로 수행되었다. 전반적으로 시민참여의 제도적 환경이 개선되고 있으나, 실천의 영역에서 한계가 산재하고 있었다. 향후 오픈스페이스 조성 과정의 시민참여에 관한 확장된 연구가 요청된다.

중등수학교사들의 통계적 추론 전략 및 수준 분석 연구: 상자그림을 활용한 두 집단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analyzing statistical reasoning strategies and levels of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Focusing on comparing two groups using boxplots)

  • 지영명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3권3호
    • /
    • pp.505-526
    • /
    • 2024
  • 본 연구의 목표는 상자그림을 활용한 집단 비교 과제에 대해 수학교사들의 통계적 추론 양상은 어떠한지를 살펴봄으로써 상자그림 관련 교사 교육 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어느 지역교육청의 교사통계캠프에 참여한 중등수학교사 48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한 다음, 이들을 대상으로 상자그림과 관련된 기본적인 통계 개념과 이를 활용한 집단 비교 활동을 포함한 4차시 분량의 교사 연수를 실시하였다. 이후 상자그림을 활용한 집단 비교 문항을 포함한 설문 조사와 온라인 면담을 실시하여 수집한 자료를 본 연구 문제에 초점을 맞춰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연구참여자들이 상자그림을 활용하여 두 집단을 비교할 때 요약 요소와 퍼짐 요소에 의지하여 추론한 반면, 이동 요소와 신호 요소에는 거의 주목하지 않았고 표집 요소를 사용한 응답은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연구참여자들의 전반적인 비교 추론 수준은 1수준의 빈도(44%)가 가장 높았고, 3수준에 도달한 응답은 확인할 수 없었다. 본고에서는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상자그림 관련 교사 교육 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도출하였다.

중등 예비교사의 교과서 과제 변형 및 수업 실행 중 나타난 과제의 특징 변화: 수학적 모델링 관점을 중심으로 (Investigating how the tasks' characteristics change according to modifying the textbook tasks and implementing the lesson by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Focused on the mathematical modeling perspectives)

  • 정혜윤;이지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3권3호
    • /
    • pp.527-547
    • /
    • 2024
  • 수학 교사가 수학적 모델링 수업을 위해 과제를 개발하고 수업을 설계하여 실행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이와 같은 어려움은 학교수학에서 수학적 모델링 수업이 잘 실행되지 않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교사의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하여, 중등 예비교사들이 수학 교과서 실세계 맥락 과제를 수학적 모델링 과제로 변형하고, 변형된 과제를 적용하여 수업을 실행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특히, 과제 변형과 수업 실행 과정에서, 수학적 모델링 과제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수학적 모델링 과정의 각 단계 및 과제의 개방성과 현실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중등 예비교사 의한 변형 전후 과제, 변형 전 과제 분석 결과 보고서, 과제 변형 보고서, 수업 실행 장면을 녹화, 녹음 및 전사한 자료, 수업 실행에 대한 동료평가와 자기평가를 수집하였으며, 사례 분석 절차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들은 과제 변형 시 개방성과 변수 정의하기 단계 및 수학적 모델 도출하기 단계에 주목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에 따라 변형된 과제에서는 변형 전과 비교하여 개방성과 변수 정의하기, 수학적 모델 도출하기 단계에 대한 학습 기회가 증진되었다. 둘째, 예비교사의 수업 실행 과정에서 변형된 과제의 개방성과 변수 정의하기, 수학적 모델 도출하기 단계가 다시 제한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셋째, 예비교사들은 위에서 언급한 수학적 모델링 과정의 단계들 외에 나머지 단계에 대하여 과제 변형과 수업 실행 과정에서 크게 주목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예비교사들이 수학적 모델링 과제의 변형과 수업 실행 시 갖는 어려움을 확인하고 향후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예비교사교육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