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ene simulation technique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초

선형배열 적외선 검출기의 배경 기반 불균일 보정기법 (A Scene Based Nonuniformity Correction Technique of Linear Array Infrared Detector)

  • 송인태;안상호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4)
    • /
    • pp.73-76
    • /
    • 2000
  • A Scene Based Technique(SBT) that corrects linear array infrared detector's nonuniformity is proposed. Basically, this technique dispenses with using temperature references on a linear array infrared detector. To correct the nonuniformity of infrared images, we use three methods. Firstly, we detect bad channels by using the information which is cumulated all the same line pixels. Secondly, a variable window method is applied to compensate more accurately. Thirdly, an adaptive method which updates gain and offset coefficient is used only on a stationary region. These results are demonstrated on a computer simulation with various images. As a result, the nonuniformity is corrected completely, so that images are enhanced and PSNR(peak signal to noise ratio) is improved much.

  • PDF

연속해석 데이터의 상호운용성을 지원하는 CAE 미들웨어와 가시화 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a CAE Middleware and a Visualization System for Supporting Interoperability of Continuous CAE Analysis Data)

  • 송인호;양정삼;조현제;최상수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85-93
    • /
    • 2010
  • This paper proposes a CAE data translation and visualization technique that can verify time-varying continuous analysis simulation in a virtual reality (VR) environment. In previous research, the use of CAE analysis data has been problematic because of the lack of any interactive simulation controls for visualizing continuous simulation data. Moreover, the research on post-processing methods for real-time verification of CAE analysis data has not been sufficient. We therefore propose a scene graph based visualization method and a post-processing method for supporting interoperability of continuous CAE analysis data. These methods can continuously visualize static analysis data independently of any timeline; it can also continuously visualize dynamic analysis data that varies in relation to the timeline. The visualization system for continuous simulation data, which includes a CAE middleware that interfaces with various formats of CAE analysis data as well as functions for visualizing continuous simulation data and operational functions, enables users to verify simulation results with more realistic scenes. We also use the system to do a performance evaluation with regard to the visualization of continuous simulation data.

겹쳐진 물체의 인식을 위한 정합 알고리즘 (ON THE MATCHING ALGORITHM FOR THE RECOGNITION OF THE OCCLUDED OBJECTS)

  • 남기곤;박의열;이양성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88년도 전기.전자공학 학술대회 논문집
    • /
    • pp.671-674
    • /
    • 1988
  • This paper describes a matching method to solve the problem of occlusion in a two dimensional scene. The technique consist of three steps: generation of hypotheses, clustering of hypotheses by matching probability, updating of hypotheses. Using this algorithm, simulation results have been tested for 20 scenes contained the 80 models, and have obtained 95% of properly correct recognition rate in average.

  • PDF

내용기반 동영상 기하학적 변환을 위한 실시간 처리 기법 (A Real Time Processing Technique for Content-Aware Video Scaling)

  • 이강희;유재욱;박대현;김윤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8권1호
    • /
    • pp.80-89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동영상이 가지고 있는 컨텐츠를 보존하면서 영상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실시간 동영상 표가 변환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동영상 내의 연속하는 두 프레임 사이에 존재하는 상관성(correlation)을 이용하여, 이전 프레임의 seam 정보로부터 현재 프레임의 seam을 결정한다. 따라서, 전체 프레임들을 분석하지 않으면서도 컨텐츠의 떨림 현상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먼저, 전체 동영상 내에서 특정이 서로 비슷한 프레임들을 scene으로 구분하고, 각 scene 내의 첫번째 프레임은 정지영상의 seam carving을 사용하여 최대한 컨텐츠를 보존할 수 있도록 크기를 변환한다. 이 때, 영상의 크기를 변환하기 위해 추출한 seam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그 이후의 프레임들은 이전 프레임에서 저장된 seam 정보를 참조하여 프레임 단위로 영상의 크기를 조절한다. 실험 결과는 제안하는 방법이 처리 속도와 메모리 사용량 면에서 실시간 처리에 적합하고, 영상이 가지고 있는 컨텐츠를 보전하면서 영상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MPEG 압축 영상에서의 고속 특징 요소 추출을 이용한 장면 전환 검출과 키 프레임 선택 (Scene Change Detection and Key Frame Selection Using Fast Feature Extraction in the MPEG-Compressed Domain)

  • 송병철;김명준;나종범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155-163
    • /
    • 1999
  • 본 논문은 새로운 장면 전환 검출과 키 프레임 선태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MPEG 압축 동영상에서 직접 DC 영상 및 에지(edge) 영상을 추출하여 이용하는데, 공간 영역으로 변환 후 에지 연상을 추출할 경우 계산량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그 계산량을 줄이기 위해 DCT 블록 당 5개의 저 대역 AC 계수들만을 이용하여 축소된 에지 영상을 고속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AC 예측(prediction)을 이용한 고속 에지 추출 기법도 추가적으로 제안하였다. 화질 측면에서 전자가 후자보다 약간 우수하지만, 두 방법 모두 영상의 중요한 에지 특징들을 잘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얻어진 에지 영상 및DC 영상을 이용하여 에지 에너지 다이어그램(dege energy diagram)과 히스토그램(histogram)을 구하여 급진적인 장면 전환 및 페이드(fade), 디졸브(dissolve) 같은 점진적인 장면 전환을 정확하게 검출함을 모의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공간 영역에서 구한 에지 영상들에 비해 제안한 방법들에 의한 에지 영상들이 점진적인 장면 검출에 있어 훨씬 적은 계산량으로 비슷한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HVS(human visual system)에 기반하여 각 장면에서 키 프레임을 선택하는 방법도 제안하였다. 위에서 얻어진 에지 및 DC 영상을 이용하기 때문에 optical flow를 이용하는 기존 방법에 비해 적은 계산량으로 의미 있는 키 프레임을 선택할 수 있었다.

  • PDF

깊이정보 카메라 및 다시점 영상으로부터의 다중깊이맵 융합기법 (Multi-Depth Map Fusion Technique from Depth Camera and Multi-View Images)

  • 엄기문;안충현;이수인;김강연;이관행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185-195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정확한 3차원 장면복원을 위한 다중깊이맵 융합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은 수동적 3차원 정보획득 방법인 스테레오 정합기법과 능동적 3차원 정보획득 방법인 깊이정보 카메라로부터 얻어진 다중깊이맵을 융합한다. 전통적인 두 개의 스테레오 영상 간에 변이정보를 추정하는 전통적 스테레오 정합기법은 차폐 영역과 텍스쳐가 적은 영역에서 변이 오차를 많이 발생한다. 또한 깊이정보 카메라를 이용한 깊이맵은 비교적 정확한 깊이정보를 얻을 수 있으나, 잡음이 많이 포함되며, 측정 가능한 깊이의 범위가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두 기법의 단점을 극복하고, 상호 보완하기 위하여 이 두 기법에 의해 얻어진다. 중깊이맵의 변이 또는 깊이값을 적절하게 선택하기 위한 깊이맵 융합기법을 제안한다. 3-시점 영상으로부터 가운데 시점을 기준으로 좌우 영상에 대해 두 개의 변이맵들을 각각 얻으며, 가운데 시점 카메라에 설치된 깊이정보 카메라로부터 얻어진 깊이맵들 간에 위치와 깊이값을 일치시키기 위한 전처리를 행한 다음. 각 화소 위치의 텍스쳐 정보, 깊이맵 분포 등에 기반하여 적절한 깊이값을 선택한다. 제안한 기법의 컴퓨터 모의실험 결과. 일부 배경 영역에서 깊이맵의 정확도가 개선됨을 볼 수 있었다.

Digital Image Simulation of Electro-Optical Camera(EOC) on KOMPSAT-1

  • Shim, Hyung-Sik;Yong, Sang-Soo;Heo, Haeng-Pal;Lee, Seung-Hoon;Oh, Kyoung-Hwan;Paik, Hong-Yul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1999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349-354
    • /
    • 1999
  • Electro-Optical Camera (EOC) is the main payload of the KOMPSAT-1 satellite to perform the mission of cartography that builds up a digital map of Korean territory including a digital terrain elevation map. This paper discusses the issues of the digital image simulation of EOC for the generation of EOC simulated scene as taken by EOC at 685km altitude on orbit. For the purpose, simulation work has been performed with the sensor models of EOC and the satellite platform motions models through image chain analysis from the illumination source (Sun) to a simulated image output in digital number. MODTRAN fur radiance calculation, MTF models of optics, detector and motions of EOC for system point spread function (PSF), and signal chain equations for digital number output are described. Several noise models of EOC are also considered. The final output is the EOC simulated image in digital number. The simulation technique can be used in several phase of a spaceborne electro-optical system development project, feasibility study phase, design, manufacturing, test phases, ground image processing phases, and so on.

  • PDF

조망경관 평가를 위한 경관 시뮬레이션의 신뢰도 제고 연구 -시뮬레이션 화각 표준화를 중심으로- (The Study for Securing of Reliability of Landscape View Evaluation by Simulation Work - The simulation angle of view to the standardization of -)

  • 박병규
    • KIEAE Journal
    • /
    • 제13권1호
    • /
    • pp.109-123
    • /
    • 2013
  • The study is to probe a technical alternative to enhance the reliability and accuracy of the results of various landscape simulations. This study to present technical criteria that are necessary in each stage of target site analysis, picture taking, and computer synthesis and, through these to present supplementary plans to enhance the reliability and accuracy of landscape simulations. In order to derive more practical and empirical results in terms of the reliability of the results of landscape simulations, examples that actually passed landscape review were selected. With regard to study process, an analysis was made first to analyze the landscape report data of designs that passed the review to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to be followed by an integrated analysis of problems that were revealed in various landscape simulations.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 directly the work of landscape simulations such as the specification of camera lenses that were used in picture taking, distance, and angle. Design the work was carried out using Auto CAD, 3DS Max, and Photoshop program in the same way as in actual design. For verification of their accuracy and reliability, the results were entrusted to experts who have implemented similar jobs. To seduce differences from those too landscape simulations that conduct trial experiment of the virtual space that are to be created in the future with accurate numerical values.

스캔 영상 기반의 밀리미터파(Ka 밴드) 복합모드 탐색기 표적인식 알고리즘 연구 (Target Recognition Algorithm Based on a Scanned Image on a Millimeter-Wave(Ka-Band) Multi-Mode Seeker)

  • 노경아;정준영;송성찬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30권2호
    • /
    • pp.177-180
    • /
    • 2019
  • 유도무기의 명중률 개선을 위해 해상 클러터 환경에서 표적을 정확하게 탐지하고 인식하는 연구가 다수 수행되고 있다. 해상 표적과 클러터의 신호가 다양하고 복잡한 특성을 보이기 때문에 능동 표적인식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스캔 영상(scan image)으로 형성된 이미지에 프랙탈 차원기법(fractal dimension)인 FS(Fractal Signature) 분류기와 영상정합기법(scene matching)인 HRTI(High Resolution Target Image)을 적용하여 표적과 클러터를 구분하고 표적 간의 인식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알고리즘을 적용한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 HRTI 분류기는 표적1과 표적2를 모두 100 %, FS 분류기는 표적 1과 표적 2를 각 각 90 %, 93 % 이상 구분 및 인식한다.

인터넷상에서 실시간 3차원 경관시뮬레이션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ealtime 3D Sight Simulation System on Internet)

  • 김병수;이지형;임창영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6권7호
    • /
    • pp.1738-1748
    • /
    • 1999
  • 최근의 시뮬레이션 도구들은 새로 발표된 여러 가지 3차원 구현 기술들을 접목하여 제한된 2차원 화면 속에서 3차원 요소들을 효율적으로 구현 시켜 나가고 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현재의 기술적 상황에 기초를 둔 경관 시뮬레이션 도구를 구현하였으며, 자연과의 조화를 통한 인간의 보다 향상된 생활환경을 구상하여 설계할 수 있도록 고려하였다. 응용된 기술로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가상현실구현에 대한 3차원상의 표준으로 주목받고 있는 VRML(Virtual Reality Modeling Language)과 자비를 연계한 EAI(External Authoring Interface)를 적용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