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ponin content

검색결과 345건 처리시간 0.032초

인삼 하우스 직파재배 시 파종입수 및 재식밀도가 입모율 향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wing Density and Number of Seeds Sown on Panax ginseng C. A. Meyer Seedling Stands under Direct Sowing Cultivation in Blue Plastic Greenhouse)

  • 모황성;박홍우;장인배;유진;박기춘;현동윤;이응호;김기홍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469-474
    • /
    • 201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wing density and number of seeds sown on the emergence rate and growth characters of Panax ginseng C. A. Meyer under direct sowing cultivation in a blue plastic greenhouse. Ginseng seedlings, derived from seeds sown directly at different densities (90, 108, 135, and 162 seeds per $162m^2$), were cultivated in sandy loam soil within a blue plastic greenhouse. In contrast to the emergence rate, which decreased with an increase of sowing density, number of survival plant showed an increasing trend. Interestingly, the emergence and number of survival plant were significantly enhanced when 2 or 3 seeds were sown per hole compared with when one seed was sown per hole. Growth of the aerial parts of ginseng were not markedly influenced by sowing density or the number of seeds sown. However, chlorophyll content (SPAD values)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sowing density. Root parameters, such as root length, diameter, and weight, and the number of lateral roots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sowing density, but were not noticeably influenced by the number of seeds sown. Total saponin content was the highest in the treatment plot containing 135 seeds. Similarly, the content of each ginsenoside was also tended to be higher in this treatment than in other treatment plot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determine the optimal sowing density and seed number for the direct sowing cultivation of ginseng in blue plastic greenhouse.

백삼 및 홍삼 농축액의 사포닌 분석 (Analysis of Ginsenosides of White and Red Ginseng Concentrates)

  • 고성권;이충렬;최용의;임병옥;성종환;윤광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536-539
    • /
    • 2003
  • 백삼 가공품과 홍삼 가공품의 사포닌 분포 내용과 함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시판되고 있는 백삼 농축액(WGC)과 홍삼 농축액(RGC)을 각각 1종 선정하여 조 사포닌의 함량과 개별 ginsenoside의 함량분포를 조사하였다. Shibata의 방법과 우리나라 식품공전에 따라 측정한 조 사포닌의 양은 WGC가 각각 10.65와 21.77%이었으며 RGC는 5.80와 10.94%이였고, HPLC에 의한 총 사포닌의 양은 WGC가 7.40와 10.64%, RGC는 3.31와 3.13%로서 백삼 농축액의 사포닌 함량이 홍삼 농축액의 경우 보다 전반적으로 높았다. HPLC로 분석한 인삼 사포닌, ginsenoside $Rb_1,\;Rb_2,\;Rc,\;Rd,\;Re,\;Rf,\;Rg_1,\;20(S)\;Rg_3,\;20(R)Rg_3,\;20(S)\;Rh_1$ 그리고 $20(R)\;Rh_1$ 이었으며 대부분 홍삼농축액 보다는 백삼농축액의 함량이 높았으며, 특히 ginsenoside $Rb_1,\;Rg_1$ 그리고 $Rb_2$은 백삼 농축액에 3배 이상 더 함유되어 있었다. 또한 protopanaxadiol group과 protopanaxatriol group의 비율(PD/PT)에 있어서는 농축액간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홍삼의 특유 사포닌으로 알려진 20(S)- 및 20(R)-ginsenoside $Rg_3$가 WGC와 RGC에 비슷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0(S)-ginsenoside $Rg_3$의 조 사포닌 조제법에 따라 RGC에서 0.48과 0.47% WGC에 0.40와 0.53%, 20(R)-ginsenoside $Rg_3$도 RGC에 0.10과 0.11%, WGC에 0.14와 0.22%이었다.

천마 분말의 화학적 성분 (Chemical Components of Gastrodia elata Blume Powder)

  • 김현주;정신교;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78-284
    • /
    • 2000
  • 한국산 인공재배 천만의 동결건조 분말은 수분 2.12%, 조단백질 4.41%, 조지방 1.20%, 조회분 2.25%, 조섬유 4.60%, 무질소물 85.15%로 분석되었다. 환원당 함량은 2.66%였으며 유리당은 glucose 13.14mg/g, sucrose 10.81mg/g, fructose 8.69mg/g 함유되어 있었다. 지방산은 11종이 검출되었으며 포화지방산이 18.69%, 불포화 지방산이 81.31%였으며 포화 지방산으로는 palmitic acid가 11.55%, 불포화 지방산으로는 linoleic acid가 63.13%로 가장 높았다. 그 외 불포화 지방산으로는 cis-5,8,11,14,17-eicosapentaenoic acid가 6.42%, linolenic acid가 4.33%를 차지하였다. 유기산으로는 oxal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fumaric acid 등이 분리되었고 succinic acid의 함량이 1,238mg%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citric acid, malic acid, oxalic acid, fumaric acid의 순이었다. 분리된 18종의 총 아미노산중 aspartic acid가 522.8mg%로 가장 높은 함량을 차지했으며 taurin, hydroproline, alanine, threonine등이 존재했으며 taurin, hydroproline, alanine, threonine등이 존재하였다. 39종의 유리 아미노산 중 arginine이 15.01mg%로 가장 함량이 높았으며 asparagine, proline, sarcosine 순이었다. 총 페놀의 함량은 821.4mg%이었고 조사포닌의 함량은 3,738mg%를 나타내었다. 수용성 비타민으로는 ascorbic acid가 6.40mg%, 비타민 B1이 1.23mg%, 비타민 B2가 1.74mg% 함유되어 있었으며 지용성 비타민으로는 비타민 A가 1.22mg%, 비타민 E는 0.32mg%로 미량 함유되어 있었다.

  • PDF

노지 및 시설재배 삼채 뿌리 및 잎의 이화학 성분,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Nitric Oxide 생성 억제효과 (Chemical Component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Inhibitory Effects on Nitric Oxide Production in Allium hookeri Cultivated under Open Field and Greenhouse Conditions)

  • 원준연;유영춘;강은주;양해;김관후;성봉재;김선익;한승호;이석수;이가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9호
    • /
    • pp.1351-1356
    • /
    • 2013
  • 삼채를 식품으로써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노지 및 하우스 재배에 의한 삼채의 뿌리 및 잎에 대한 식품학적인 특성을 조사하였다. 삼채의 수분함량은 뿌리에서 81.05~84.18%, 잎에서는 88.85~90.12%이었으며, 가용성 무질소물인 탄수화물군은 뿌리에서 13.49~16.20%, 잎에서는 7.08~7.79%를 함유하고 있었다. 무기질 성분 중 가장 많은 무기질은 노지 및 하우스 재배 모두 K으로 잎에서는 503.98~512.08 mg%를 함유하고 있었다. 노지 재배에 의한 삼채는 뿌리 중 유리당 함량이 잎 부위보다 약 4배 이상 높은 함량이었고, 하우스 재배 삼채는 뿌리보다 잎에서 약 3배 이상 높았다. 특히 fructose의 경우는 하우스 재배 삼채보다 노지 재배 삼채 뿌리가 약 12배 정도 더 높았다. 삼채의 조사포닌 및 총폴리페놀 함량은 뿌리보다 잎에서, 하우스 재배보다 노지 재배 삼채에서 더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노지 및 하우스 재배 삼채의 뿌리와 잎 부위 추출물에 대한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70% MeOH 잎 추출물에서 훨씬 소거활성이 높았으며 특히 하우스 재배 삼채 잎의 70% MeOH 추출물은 소거활성이 가장 높아 $IC_{50}$의 값이 2.74 mg/mL이었다. 마우스 대식세포에서의 세포증식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하우스 재배 삼채 잎의 물 및 70% 메탄올 추출물 모두 가장 높은 농도인 10배 희석액을 처리하여서도 독성이 없었으며 LPS로 유도처리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NO의 생성을 억제현상은 70%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노지 및 하우스 재배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NO의 생성을 억제하였다. 특히 노지 재배 삼채 잎에서는 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90배 희석액 처리 시에도 NO의 생성을 강하게 저해시켰다.

산양산삼약침의 추출법 별 성분 및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Index Compounds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Wild Ginseng Pharmacopuncture by Extraction Methods)

  • 이대연;최병선;이인희;김재현;권필승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13-322
    • /
    • 2018
  • Objectives: Wild ginseng pharmacopuncture is widely used in oriental medicine. However, there is no standard method for efficiently extracting the active ingredient. In this study, in order to determine an efficient extraction method, wild ginseng was extracted by the distillation and 70% ethanol reflux methods, respectively. In comparing each extract, the index compounds were analyzed, and antioxidant activity was measured. Methods: The index compounds, ginsenoside Rg1 and ginsenoside Rb1, were detected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otal phenolic compounds, DPPH (${\alpha}$, ${\alpha}$-diphenyl-${\beta}$-picrylhydrazyl), ABTS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nd FRAP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were measured to compare their bioactivities. Since saponin is known to be hemolytic, the hemolytic activity of each extract was compared. Results: The index compounds were analyzed. Nothing was detected in the wild ginseng distilled extracts (WGDE). In the wild ginseng 70% ethanol reflux extracts (WGEE), ginsenoside Rg1 was 3.66 mg/g, and ginsenoside Rb1 was 16.70 mg/g. WGEE showed higher levels than WGDE in all antioxidative activities. In the hemolytic test, the extracts showed almost no toxicity, but WGEE showed lower toxicity than WGDE. Conclusions: In this study, it was concluded that WGEE is more advantageous than WGDE in the detection of index compounds and bioactivity. However, additional studies of additional extraction methods and other bioactivity tests are needed.

Intracellular Trafficking Modulation by Ginsenoside Rg3 Inhibits Brucella abortus Uptake and Intracellular Survival within RAW 264.7 Cells

  • Huy, Tran Xuan Ngoc;Reyes, Alisha Wehdnesday Bernardo;Hop, Huynh Tan;Arayan, Lauren Togonon;Min, WonGi;Lee, Hu Jang;Rhee, Man Hee;Chang, Hong Hee;Kim, Su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3호
    • /
    • pp.616-623
    • /
    • 2017
  • Ginsenoside Rg3, a saponin extracted from ginseng, has various pharmacological and biological activities; however, its effects against Brucella infection are still unclear. Herein, the inhibitory effects of ginsenoside Rg3 against intracellular parasitic Brucella infection were evaluated through bacterial infection, adherence assays, and LAMP-1 colocalization, as well as immunoblotting and FACS for detecting MAPK signaling proteins and F-actin polymerization, respectively. The internalization, intracellular growth, and adherence of Brucella abortus in Rg3-treated RAW 264.7 cel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e Rg3-untreated control. Furthermore, an apparent reduction of F-actin content and intensity of F-actin fluorescence in Rg3-treated cells was observed compared with B. abortus-infected cells without treatment by flow cytometry analysis and confocal microscopy, respectively. In addition, treating cells with Rg3 decreased the phosphorylation of MAPK signaling proteins such as ERK 1/2 and p38 compared with untreated cells. Moreover, the colocalization of B. abortus-containing phagosomes with LAMP-1 was markedly increased in Rg3-treated cell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ginsenoside Rg3 inhibits B. abortus infection in mammalian cells and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approach in the treatment of brucellosis.

인삼의 자동건조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utomatic Drying System of Ginseng)

  • 강현아;장규섭;장동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764-768
    • /
    • 1993
  • 자동으로 온도, 습도 및 중량을 감지하고, 히터, 송풍기, 가습기 및 제습기의 작동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자동 건조 시스템을 개발하여, 인삼을 시료로하여 열풍건조시의 건조온도와 건조기 내의 상대습도에 따른 건조특성을 구명하고, 각 건조조건에서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인삼의 건조속도는 건조온도가 높고 건조기내의 상대 습도가 낮을수록 빨랐으며, 건조된 인삼의 hardness는 건조온도가 높을수록 높고, 건조실내의 상대습도는 25%에서 높았다. 건조온도가 높을수록 Hunter L value가 감소하고 a와 b value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갈변도가 높았다. 인삼의 건조과정중에 일어나는 수축은 건조온도가 높고 건조기내의 상대습도가 낮을수록 컸으며, 직경의 수축률이 길이의 수축률에 비해 컸다. 인삼의 조사포닌 함량은 건조온도와 상대습도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 PDF

건조방법 달리하여 제조한 더덕 생식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변화 (Changes of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in the Codonopsis lanceolata Saengsik, Uncooked Food by Different Drying Methods)

  • 김철암;권오영;왕명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721-725
    • /
    • 2008
  • 더덕을 생식 원료로 동결건조 및 열풍건조를 통하여 생식을 제조하여 제조된 생식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기능성 성분의 함량 조사를 통하여 합리한 제조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수분,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회분 등 일반성분 함량은 동결건조 및 열풍건조를 실시한 시험구들 사이에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색도는 동결건조는 실시한 시험구가 열풍건조를 실시한 시험구에 비해 L값은 높게, b값은 낮게 나타났다. 식이섬유 함량은 열풍건조를 실시한 시험구가 동결건조를 실시한 시험구보다 높게 나타났고 총 페놀성 화합물과 조 사포닌 함량은 동결건조를 실시한 시험구가 높게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동결건조를 실시한 시험구가 색, 맛, 향, 전체적 기호도 등에서 모두 열풍건조를 실시한 시험구 보다 높게 나타났다. 위의 결과로부터 더덕을 원료로 생식을 제조 시 동결건조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된다.

Candida payapsilosis가 홍삼엑기스의 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andide parapsilosis on the Changes in Various Components of Korea Red Ginseng Extract)

  • 양재원;노길봉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60-65
    • /
    • 1989
  • 부패된 홍미삼엑기스로부터 분리동정한 내삼투압성 효모인 C. parapsilosis가 홍미삼엑기스의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C. parapsilosis를 배양하면서 pH의 변화, ginsenoside의 함량, 지방산, phenol 화합물 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엑기스를 소량 첨가하였을 때는 배지의 pH에 다소 영향을 주었으나 엑기스를 다량(10~20%) 첨가하였을 때는 pH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C. parapsilosis는 홍삼엑기스의 사포닌의 함량에 영향을 주지 않았고 사포닌을 탄소원으로 이용하지 못하였으며 사포닌 중량 첨가에 따른 생육 촉진경향 혹은 저해현상도 없었다. C. parapsilosis의 홍미삼엑기스의 유리당 이용 패턴은 glucose, fructose 등 단당류를 먼저 흡수 이용하고 다음에 sucrose, maltose 등을 2차적으로 이용하였다. 홍미삼엑기스의 대부분의 지방산은 C. parapsilosis 생육에 의하여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이중결합이 없는 stearic acid, palmitic acid는 변화가 거의 없었다. 또한 페놀화합물 중 maltol은 현저히 감소하였고 그 외에 vanillic acid, m-coumaic acid의 함량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비휘발성 유기산의 함량은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아미노산은 배양 전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하였고 특히 arginine은 완전 소진되었다.

  • PDF

Gypenoside V로부터 minor ginsenosides의 생산 (Production of Minor Gisenosides from Gypenoside V)

  • 손나리;민진우;장미;김효연;전지나;양덕춘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0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20-20
    • /
    • 2010
  • Panax ginseng C.A Meyer is frequently taken orally as a traditional herbal medicine in Asian countries. The major components of ginseng are ginsenoside, which are pharmaceutical activity. The six major ginsenosides, including Rb1, Rb2, Rc, Rd, Re and Rg1 account for 90% of total ginsenosides. Even though the minor ginsenosides, including Rg3, Rh2 and compound K has high pharmacetical activities, the price of minor ginsenosides is too high. Therefore we isolated the gypenoside V and made it converted to minor ginsenosides. In the plant Gynostemma pentaphyllum Makino, gypenosdie V was presented as dominant saponin (content about 2.4%), and was similar to protopanaxadol type ginsenosides such as ginsenoside Rb1.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the coversion of gypenoside V to minor ginsenosides after using the various treatment such as heating, acid treatment, commercial edible enzyme, and lactobacillus. Consequently, we optimizied the transformation of gypenoside V to minor ginsenoside using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LC/TOF/M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