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ndy shore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31초

인공 구조물에 의한 해빈변형 연구 (The Study of the Beach Change into Structures)

  • 김효섭;정병순;오병철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회
    • /
    • pp.1445-1449
    • /
    • 2004
  • Even though there can be a relative long-term or short-term change of their size in natural beaches due to various changes of sea condition such as the location, weather condition (wind and rain) and sea water flow, the budget of deposits in a specific area is generally regarded to be in a condition of equilibrium in terms of technology. However, as coasts are developed by many different kinds of ways (such as construction of sea walls and estuarine, dredging for gathering the aggregate and shore protection construction for establishing a structure) and sources of silt and gravel from rivers are decreased in balanced beaches, the beaches are in a serious danger of lack of sand and sand sources which are one of the maul elements to consist of them. Many swimming beaches in East Sea are directly exposed by waves generated and transmitted from outer seas. On the other hand, the Song-Do sandy beach which is this study's target area has a great condition for beach development because it locates the deepest place that is relatively shallow in Young-Il Man and there is big energy decrease given to waves from outer seas while the waves are reaching the Song-Do beach. Nevertheless, it is considered that artificial condition changes such as dredging for site extension by POSCO, getting straight of Hyoung-San Gang river flow and extension of Po-Hang harbor caused the sand loss of the beach. Therefore, some recovery plans of Song-Do sandy beach will be presented in this study and they will be compared and examined each other by numerical modeling experiment. After that, the best plan will be recommended.

  • PDF

갯버들 삽수의 규격에 따른 연간 근계 생장량 변화 (The Root Growth Curve of Salix gracilistyla Miq. Depending on The Cutting Size)

  • 박명안;이춘석;김태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1-19
    • /
    • 2003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pplication of the root system as a shore protection material through the measurement of the 개ot growth curve of Salix gracilisyla Miq. depending on the cutting size. As materials and methodology, nine group of cuttings were classified by the length(l0cm, 20cm, 40cm) and the diameter(0.72cmm$\pm$0,02, 0.58cm$\pm$0.02, 0.35cm$\pm$0.02), Each group was stuck to a flooding bed of sandy loam(Sand 60,36%, Silt 28%, Clay 11.64%) on 27th March 2001, After 65 growing days, the weight and length of the newly developed roots, shoots, and leaves were measured and analysed, This was repeated at 99, 129, 159, and 190 growing day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primary determinant of the root growth rate was on the weight of cutting, The secondary determinant was on the number of growing days. In addition, the dominant dimension of the cutting was the diameter rather than the length, The thicker cutting caused more rapid and stable growth however the longer cutting made the growth of the root slower and more unstable.

약학대학생대상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예방접종 약료활동 교육계몽을 위한 국제협력 (Virtual Global Collaboration to Advocate Students for Pharmacy Immunizations during Coronavirus Disease-19)

  • 이정연;호에안 트롱;서시원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81-85
    • /
    • 2023
  • Background: It was to describe collaborative educational efforts under Coronavirus disease 2019 period to advocate pharmacy-based immunization delivery and meet unmet needs of partnership institution using virtual learning platforms. Methods: A partnership was established among three pharmacy schools from two countries. The class content included the history of pharmacy immunization, pharmacists' roles and contribution to public health of the USA. The class also reviewed the value of pharmacists as frontline healthcare workers to foster student insights and the scope of pharmacy. The virtual class featured an interactive video simulation and small breakroom discussion besides a lecture. Results: Participants indicated that public accessibility to pharmacy and six-year education system in South Korea as advantages. However, legislative restrictions, pharmacist burden, and interprofessional disagreements were expressed as barriers to introduce the pharmacist immunization. Conclusion: A virtual learning platform was used to advocate for pharmacy-based immunization and fulfilled an unmet educational gap at a partnership institution.

동해 영일만 쇄파대에 서식하는 곤쟁이 Archaeomysis kokuboi와 Acanthomysis nakazatoi의 성장단계에 따른 주야 및 조석간 분포 (Diel and Tidal Distributions of the Sand-burrowing Mysids Archaeomysis kokuboi and Acanthomysis nakazatoi on a Sandy Shore Surf Zone of Yongil Bay, Eastern Korea, in Relation to Growth Stages)

  • 조수근;김청아;서해립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7권2호
    • /
    • pp.112-119
    • /
    • 2012
  • 한국 동해안 영일만 쇄파대에 서식하는 두 종의 곤쟁이, Archaeomysis kokuboi와 Acanthomysis nakazatoi의 성장 단계에 따른 주야 및 조석간의 분포에 관해 조사하였다. 곤쟁이의 채집은 썰매형 채집망을 이용하여 3 지점, 즉 수심 1 m의 해수 표층과 해저 모래 표면, 물가장자리에서 2시간 간격으로 24시간 동안 이루어졌다. Archaeomysis kokuboi의 유체는 주야간 모두 출현개체수가 없거나 매우 적어 주야간의 차이를 알 수 없었다. A. kokuboi의 미성숙개체는 해수표층에서 야간의 밀도가 주간보다 유의적으로 더 높았으나, 다른 곳에서는 주야간 밀도 차이가 없었다. A. kokuboi 성체, 특히 숫컷에서는 바닥에서 주간의 밀도가 야간보다 유의적으로 더 높았으며, 해수표층에서는 주야간 모두 전혀 출현하지 않았다. 그에 비해서 Acanthomysis nakazatoi의 경우, 유체는 모든 정점에서 주야간에 유의적인 밀도 차이가 없었으나, 바닥에서 가장 높은 밀도로 분포하였다. A. nakazatoi의 미성숙단계에서도 모든 곳에서 주야간에 유의적인 밀도 차이가 없었으며, 해수표층에는 전혀 출현하지 않았다. A. nakazatoi의 성체, 특히 암컷에서는 바닥에서 야간의 밀도가 주간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 다른 장소에서는 주야간 밀도 차이가 없었다. 두 종 곤쟁이의 밀물과 썰물 간의 밀도 차이는 A. kokuboi의 미성숙개체를 제외하고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A. kokuboi의 미성숙개체, 특히 숫컷은 해수표층에서 썰물 때의 밀도가 밀물 때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쇄파대 모래해변에서 두 종의 주야간 분포는 종간에는 물론이고 종내의 성장단계에 따라서도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며, 밀도변화는 주로 주야간에 의해 일어나고 조석의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쇄파대에서 A. nakazatoi의 개체수 밀도는 주야간 모두 A. kokuboi보다 훨씬 더 높았으며, 유체단계부터 성체에 이르기까지 높은 밀도로 주로 모래바닥에 서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A. nakazatoi는 유체단계부터 모래 저층으로의 잠입능력이 A. kokuboi보다 더 뛰어나며 동해안 쇄파대에서 매우 잘 적응한 곤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돌산도 쇄파대에 사는 쿠마류 Bodotria biplicata의 조하대 대상분포 (Subtidal Zonation of the Cumacean Bodotria biplicata in the Surf Zone of Dolsando, Southern Korea)

  • 서해립;구영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9-45
    • /
    • 1997
  • 쿠마류 Bodotria biplicata의 조하대 대상분포를 돌산도 모래해안의 쇄파대에서 조사했다. 1993년 1월 소조와 대조때 수심 1m의 표층과 저층, 그리고 바닷가에서 쿠마류를 1조석주기 동안 한 시간마다 썰매 네트로 3회 반복 채집했다(시료수=225개). 조하대에서 가장 우점한 B. biplicata는 저층에서 밀도가 가장 높았고 표층에서는 전체 생물량의 약 $0.6\%$가 채집되었다. 소조때 평균 밀도는 대조때보다 조금 높았다. 채집 생물량은 조하대 수심의 영향을 받았다. 밀도 변화는 주야주기나 밀물-썰물보다 조하대 수심과 더 관련이 있었다. 조사기간에 주야 수직 이동은 뚜렷하지 않았다. 소조와 대조때 모두 B. biplicata 개체군은 낮은 저조 (LLW) 아래 약 90cm 되는 곳에서 밀도가 가장 높았다. 그러므로 이 종은 2주 주기로 해안쪽과 바다쪽으로 수평이동하는 듯하다. B. biplicata가 조하대 모래바닥을 이동하는 속도와 거리는 모래해안의 기울기와 조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개체발생 단계별로 분포양상이 달랐고 미성체와 만카유생이 성체보다 깊은 곳에 분포했다. 이것은 먹이를 둘러싼 종내경쟁을 줄이는데 기여할 것 같다.

  • PDF

저서성 단각류 Pontogeneia rostrata의 종내 대상분포와 주야-조석주기 (Intraspecific Zonation of the Benthic Amphipod Pontogeneia rostrata in Relation to Diel and Tidal Cycles)

  • 유옥환;서해립;서호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00-507
    • /
    • 1998
  • 돌산도 모래해안 쇄파대에서 1993년 1월 소조와 대조때 1조석주기 동안 채집한 저서성 단각류 시료를 가지고. 주야와 조석주기에 따른 Pontogeneia rostrata의 종내 대상분포를 조사했다. p. rostrata의 밀도는 대조보다는 소조때 높았다. 개체군을 성체 암$\cdot$수컷과 미성체로 나누어 보면. 미성체와 수컷의 밀도가 각각 소조와 대조때 가장 높았다. 체장빈도 자료에 따르면. 겨울철에 미성체의 사망이 큰 것 같다. 야간 표층에서 소조때는 미성체 그리고 대조때는 성체암$\cdot$수컷이 유의하게 많았다. 이것은 미성체와 성체의 수직이동 양상이 조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 것으로 여겨 진다. 대조 밀물때 평균해수면 (MSL) 위에 나타난 p. rostrata의 $90\%$ 이상이 성체였다. MSL 위에서 암컷/수컷의 비율이 감소했고. 암컷의 체장은 변동이 없었지만 수컷의 체장은 증가했다. 이것은 몸이 큰 수컷의 활발한 이동습성을 가리킨다. 이런 행동은 큰 수컷의 분포역 확장으로 이어지고, 교미와 섭식경쟁에 있어 큰 수컷에게 유리할 것으로 여겨진다. 성체가 대조 야간에 MSL 위 100cm에서 채집되기도 하지만. 나머지 기간에 p. rostrata 개체군은 대부분 MSL 아래에 머물렀다. 분포중심은 MSL 아래 50cm에서 200cm 사이였다.

  • PDF

실트질 점토 채움 시 지오텍스타일 튜브의 거동 및 시공 방법에 관한 연구 (Installation Technology and Behavior of Silty Clay Filled Geotextile Tube)

  • 신은철;오영인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13-21
    • /
    • 2002
  • 지오텍스타일 튜브를 활용한 해안 및 항만구조물은 해안침식방지 및 토사퇴적을 유도하는 구조물로 준설토를 수리학적 또는 기계적으로 채움을 실시하여 이안제(Detached brekwater), 돌제(Groin), 도류제(Jetty)등의 구조물을 축조한다. 일반적으로, 모래질 토사를 채움토사로 적용할 경우는 채움토사의 침강과 토목섬유의 배수특성을 효율적으로 만족하여 주입구의 간격이 가까우나, 점토질 토사 또는 오염된 슬러지를 채울 경우, 채움토사의 침강속도가 길며 토목섬유의 구멍막힘 현상으로 인하여 주입구의 간격을 넓게 하여 적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송도신도시 공유수면 매립공사 현장에서 점토질 토사를 채움토사로 적용한 지오텍스타일 튜브에 대하여 실대형 현장시험을 실시하였다. 지오텍스타일 튜브의 채움작업은 준설선을 이용한 수리학적 채움을 실시하였으며, 현장계측은 채움단계 및 시간에 따른 유효높이 변화, 내부 채움토사의 위치에 따른 단위중량 변화, 비배수 전단강도 등을 측정하였다. 본 실대형 현장시험에 따른 계측결과, 점토질 토사의 채움 시 침강 및 배수를 위한 단계별 채움 작업이 필요하며, 배수에 따른 최종 유효높이는 채움 작업 시 최고높이의 50%까지 감소하였다.

  • PDF

삽목에 의한 갯버들 근계의 토양전단강도 보강효과 (The Effect of Reinforcing Soil Shear Strength by a Root System Developed from Direct Sticking of Salix gracilistyla Miq)

  • 이춘석;임승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1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shore margin protection effect of a root system developed from direct sticking of Salix gracilistyla Miq., focusing on the reinforcement of soil shear strength. The materials were 20cm long sticks whose average diameter and weight were 7.52mm and 14.58g respectively, and sandy loam(Sand 60.36%, Silt 28%, Clay 11.64%), whose maximum dry weight(${\gamma}$$_{dmax}$) was 1.59gf/㎤ at the water ratio( $W_{opt}$) 13.8%. The direct shearing test(KS F 2343) was applied to cylindric columms(diameter 132mm) of pure soil and two years old root reinforced soil. At each condition of vertical stress, 10N/$ extrm{cm}^2$, 14.41N/$\textrm{cm}^2$ and 18.82 N/$\textrm{cm}^2$, five soil+root columns were sheared. After shear tests, the root area ratio and soil moisture on the shear plane were measur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of root area ratio was 1.86% and the soil moisture 14.67%. 2. Two years old root system was found to increase the soil shear strength of pure soil in terms of Cohesion(C) and Inner friction Angle($\phi$) as follows. 3. The relationship between root area ratio and the increased shear strength can be presented with the following equation, $\Delta$S ≒ 0.33ㆍ TrㆍAs/A $\Delta$S : Increased Shear Strength Tr : Average Tension Strength of Root, Ar/A : Root Area Ratioioage Tension Strength of Root, Ar/A : Root Area Ratio

시화호 인공습지 조성 후 조류군집의 변화 (Changes in Bird Community in Artificial Wetlands of Sihwa Lake, South Korea)

  • 허위행;이우신;임신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79-286
    • /
    • 2005
  • 본 연구는 시화호 인공습지 조성 후 이지역에 도래, 서식하는 조류군집의 특성과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변화양상을 파악하고 조류서식지로서 인공습지의 관리방안을 모색하고자2000년 5월부터 2002년 1월까지 실시되었다. 조사 기간 동안 관찰된 조류는총 71종이었다. 전반적으로 1차 년도에는 적은수의 종이 적은 개체수로 고르게 관찰되었으며, 2차 년도에는 종 수와 개체수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특히 도요$\cdot$물떼새류와 맹금류의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다. 시간 경과에 따른 조류의 증가 현상에 대한 원인을 명확히 판단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로서는 시화호 인공습지지역, 특히 담수 습지는 도요$\cdot$물떼새류 보다 수면성 오리류의 서식에 보다 적합한 서식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시화호 인공습지는 현재 갈대밭과 담수습지의 단순한 환경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다양한 조류가 도래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서식 환경의 다양성을 높이는 습지 관리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1) 계절에 따른 담수 습지의 수위조절,2) 다양한 종의 습지식물이 생육하는 환경을 조성, 3) 일정 면적에 모래밭이나 자갈밭, 초지 등을 조성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대조차환경 침식연안의 퇴적학적 특성 (Sedimentologic Characteristics of the Erosional Coast in the Tide-dominated Environment)

  • 금병철;오재경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565-574
    • /
    • 2002
  • 항공사진과 지형측량 등 기존의 연구자료를 기반으로 선정된 지역인 대부도 조간대 지역에서 침식연안의 퇴적학적 특징을 연구하기 위해 표층퇴적물 137개 및 1개의. 코아 퇴적물을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조상대 지역은 만조와 폭풍 시에 파랑과 조석에 의해서 침식되어진 육상퇴적물과 조석에 의해서 유입되는 세립 퇴적물이 퇴적되어 불량한 분급, 양의 왜도, 다모드(다기원)형 입도분포가 특징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주로 밑짐이동으로 운반되어 지고 있다. 반면, 상부조간대, 중부조간대, 하부조간대에서는 서해안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특징과 마찬가지로 외해로 갈수록 조립해지고 상대적으로 분급도가 양호하며 양의 왜도를 가지고 있다. 조석에 의한 승강작용에 의한 에너지 분산에 의해서 점이부유(graded suspension와 지속적 부유(uniform suspension)에 의해서 운반, 퇴적된다. 또한, 코아시료는 상향조립하고 분급도가 불량해지는데 이는 육상기원의 침식된 퇴적물이 유입되어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지역은 인위적 요인과 자연적 요인인 조석 만조 시에 태풍과 폭풍 그리고 장단기 해수면 상승에 의한 강한 파랑에 의한 자연적 침식된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해안침식을 받고 있다. 그러므로 대조차 침식연안은 만조시에 해안의 지역적, 시간적, 수리학적 상태에 의해서 영향을 받으며 조간대 지역은 전반적인 조간대 퇴적환경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