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nd-gravel bar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8초

홍천 두촌천 사력퇴의 역과 모래 분석 (An analysis on gravel and sand ofsand-gravel bar in the Duchon stream of Hong-Cheon Region)

  • 오수정;조헌;황성한;김만규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09-120
    • /
    • 2014
  • 강의 상류부에서도 사력퇴가 잘 발달한 홍천강의 상류 유역 중 하나인 두촌천 유역을 대상으로 역과 모래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각 구간별 사력퇴의 발달 양상과 퇴적물의 차이를 비교해 보고 상류에서 하류로 이동되는 퇴적물의 변화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소유역 내에서도 다양하게 나타나는 하천의 지형발달 특색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역 분석 결과, 하류로 갈수록 화강암과 편마암 역이 공급되면서 원마도와 편평도가 증감을 반복하는 불규칙한 변화 경향을 보였다. 모래의 입도 변화는 전체적으로 중 조립사의 비율이 매우 높았으나, 화강암 지대를 흐르는 지류 합류점이 편마암 지대 합류점에 비해 다소 입경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Differences between Sand and Gravel Bars of Streams in Patterns of Vegetation Succession

  • Lee, Chang-Seok;Cho, Yong-Chan;Shin, Hyun-Cheol;Park, Sung-Ae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2권1호
    • /
    • pp.55-60
    • /
    • 2009
  • We analyzed the factors driving succession and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vegetation on sand and gravel bars in order to clarify the differences in vegetation succession in rivers with different river bed substrates. Woody plant communities (dominated by Salix), perennial herb communities (dominated by Miscanthus), and annual plant communities (dominated by Persicaria) appeared in that order from upstream to downstream on the sandbar. The results of DCA ordination based on vegetation data reflected a successional trend. This result suggests that sandbars grow in a downstream direction. Various vegetation types different in successional stage, such as grassland, young stands of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two-layered stands of young and mature pines, and mature pine stands also occurred on gravel bars, but the vegetation in earlier successional stage was established upstream, which is the opposite to the direction found on sandbars. Tho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dynamics of the bed load itself could be a factor affecting vegetation succession in rivers. In fact, sands suspended by running water were transported downstream over the vegetated area of sand bar and thereby created new areas of sandbar on the downstream end of the sandbar. Meanwhile, gravel, which is heavy and thereby is shifted by strong water currents, accumulated on the upstream end of the vegetated area, and thus created new areas of gravel bar in that direct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allogenic processes drive vegetation succession on sand and gravel bars in streams and rivers.

자갈 하중주에서 식생의 공간 분포 및 동태: 방태천의 사례 (Spatial Distribution and Dynamics of Vegetation on a Gravel Bar: Case Study in the Bangtae Stream)

  • 피정훈;김혜수;김경순;오우석;구본열;이창석
    • 생태와환경
    • /
    • 제46권2호
    • /
    • pp.215-224
    • /
    • 2013
  • 강원도 인제군에 위치한 방태천의 하중주에 성립된 식생과 하상물질을 지도화한 후 양자를 비교하여 식생의 성립 배경을 밝혔다. 전체적인 식피율은 하중주의 내부에서 높고 가장자리에서 낮은 경향이었다. 선단부(상류 방향)와 후미(하류 방향)를 비교하면, 전자보다 후자에서 식피율이 높은 경향이었다. 교목은 유수에 의한 교란의 영향이 적은 하중주의 후미에 제한적으로 분포하였고, 아교목 역시 교란의 영향이 적은 하중주의 중앙 이하에 분포하였다. 관목은 하중주의 종단면에 따른 차이는 적었지만 횡단상으로는 차이를 보여 부수로가 흐르는 하중주의 우측(좌안)보다 주수로가 흐르는 좌측(우안)에 주로 분포하였다. 초본류의 경우는 하중주의 위치에 따른 차이 없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분포하였다. 수고분포는 하류부근에서 높이가 높고 상류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이러한 식생과 하상물질의 분포로 보아 하중주는 상류방향으로 새로 형성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하중주에서 수집된 식생자료에 기초하여 식분을 서열화한 결과, 식분의 배열은 I축 상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1년생 초본식생, 다년생초본, 관목 그리고 교목의 순서로 나타나 식생의 발달단계에 따라 분포하는 경향이었다. 식물군락 별 종 순위-우점도 곡선에서 종 풍부도는 소나무 군락, 달뿌리풀군락, 갯버들군락, 물푸레나무군락, 1년생 식물 우점군락 및 귀룽나무군락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보여지듯이 방태천은 하천의 상류에 해당하여 저질의 입자가 컸다. 따라서 그들은 굴러서 이동하므로 하중주는 주로 상류 방향으로 새로 형성되었다. 하중주의 후미에서 선단부를 향해 교목림지, 관목림지 및 초지의 순서로 배열된 식생의 공간배열이 하중주의 형성과정을 반영하였다. 그러나 하중주는 역동적인 공간으로서 유수에 의한 교란은 물론 부유사에 의한 교란도 빈번하게 받고 있다. 그러한 교란이 서식처 다양성을 이끌어내고, 궁극적으로 높은 생물다양성을 가져왔다.

미국 매사추세츠주 Cape Cod 해안의 퇴적물 이동 (A Sediment Transport of Cape Cod Coast, Massachusetts, USA)

  • 김동주;은고요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6권6호
    • /
    • pp.589-594
    • /
    • 1997
  • A total of 24 surface sediment samples collected from coastal region and fronting of sea cliff on Cape Cod In southeastern Massachusett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sediment transport mechanism. According to the result of grainsize analysis, the overall trend of g.k size decreases from the north(Wood End Beach) to the south(Nauset Light Beachy. The coarser materials tend to be deposited at the foreshore than at the backshore. Especially gavel content(%) Is very high in northern beaches. The lavel fraction tended to concentrate at the toe of the beach. In addition to gravel. the beach and nearshore bar also tended to be deposite of very coarse sand and the Inner fraction accumulate in the offshore bar, Grainsize analyses of sediment Indicates that the coarsest sands Including gravel accumulate In the beach and nearshore bar, the finer fraction winnowed out by wave action to be deposited In the offshore bar. The beach and nearshore bar sands and gavel are subsequently transported laterally by the wave-driven longshore drift, and finally they come to rest in the distal end of Provincetown Hook. The faller offshore sands are trnasported laterally to the south by net southward-directed longshore current.

  • PDF

콘크리트용 KEDO 골재의 암석기재시험 (ASTM C295) (Petrographic Study(ASTM C 295) on the KEDO Concrete Aggregates)

  • 정지곤;김경수;이철우
    • 지질공학
    • /
    • 제17권4호
    • /
    • pp.589-599
    • /
    • 2007
  • 본 연구는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 골재에 대하여 ASTM C 295를 적용, 암석기재학적 시험을 통하여 콘크리트를 위한 골재의 적합성을 타진하는데 목적이 있다. 시험에는 천연의 자갈골재와 모래골재를 재료로 하여 편광현미경, 실체현미경, XRD를 주로 사용하였다. KEDO의 천연골재 중 자갈골재의 23%, 모래골재의 5.1%가 화학적으로 불안정한 골재에 해당된다. 따라서 콘크리트용 KEDO 골재의 선정에 있어서 가능한 한 편마암과 같은 고변성 작용을 받은 변성암, 산성화산암, 엽리가 발달된 암석, 그리고 모르타르 봉 시험에서 불량한 골재로 확인된 암석은 피하여야 한다. 본 연구결과, 콘크리트용 KEDO 골재의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화학적 시험과 모르타르 봉 시험을 거친 후 종합적으로 그 사용 여부를 결정함이 바람직하다.

Architectural Elements of the Fluvial Deposits of Meander Bends in Midstream of the Yeongsan River, Korea

  • Chung, Gong-Soo;Lee, Jin-Young;Yang, Dong-Yoon;Kim, Ju-Yong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8호
    • /
    • pp.809-820
    • /
    • 2005
  • The fluvial sequence developed along the channel margin of meander bends in the midstream of the Yeongsan River consists of channel deposits at the bottom and overbank deposits at the top, and shows a fining-upward trend. The fluvial deposits consist of 7 sedimentary facies, and facies association forms 7 architectural elements. The channel deposits formed as channel bar or point bar. The channel bar deposits consisted of architectural element of gravel bedform were formed by channel lag deposits within the channel; whereas, the channel bar deposits consisted of architectural elements of downcurrent-dipping inclined strata sets, cross-stratified and horizontally stratified sets, and horizontally stratified sets were formed by downstream migration of sand wave or downstream transport of sand by traction current in the upper flow regime conditions within the channel. The point bar deposits consist of architectural elements of down current-dipping inclined strata sets, horizontally stratified sets, cross-stratified and horizontally stratified sets, and laterally inclined and horizontally stratified sets. These architectural elements are thought to have been formed by the combined effects of the migration of sand dunes and the formation of horizontal lamination in the upper flow regime plane bed conditions. The overbank deposits consist of the architectural elements of overbank fine and sand sheet and lens. The overbank fines were formed by settling of mud from slackwater during flooding over floodplain whereas the sand sheet and lens were formed by traction of sands introduced episodically fiom channel to the overbank during flooding.

한국 하천 모래톱의 지형학적 의미와 효능 - 낙동강 하곡을 사례로 - (Geomorphological significance and role of the sand bars of major river valleys in the South Korea - case study on the Nakdong river valleys -)

  • 오경섭;양재혁;조헌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4
    • /
    • 2011
  • 모래톱이 잘 발달함은 한국하천지형의 주요 특징이다. 이는 한편으로는 한국의 기후지형 환경과 관련하여 전국에 널리 분포하는 화강암 풍화 및 풍화층에서 다량의 모래를 하곡으로 공급하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심하게 굽이치는 곳이 많고 곡폭의 변화가 커서 모래 이동의 병목구간이 많을 수 밖에 없는 하곡의 배열과 형상 때문이다. 그리고 하계 집중호우로 인해 하천의 유황 변동 폭이 크다는 점도 사력퇴를 잘 발달시키는 수리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 모래톱들은 수분수지 불균형을 조절해주는 역할을 하면서 우수한 수질정화필터 역할을 한다. 이와 함께 모래톱들은 하천 어패류의 서식 산란 공간이 되고, 내륙에 수서성, 반수서성 식생이 군락을 이룰 수 있는 터전 역할을 한다. 모래톱은 자연생태계는 물론 인간 생활에 매우 긍정적 역할을 하고 있다.

준설하천의 웅덩이 적응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Adjustment Processes of Minning Pit in the Dredged Channels)

  • 장창래;정관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3권7호
    • /
    • pp.657-66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하도준설 및 골재채취에 의한 교란하천의 적응과정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이동상 실내실험을 수행하였으며, 하상경사 및 골재채취를 위한 준설 규모의 변화에 따른 하도의 응답 특성을 분석하였다. 웅덩이의 되메우기가 진행 중일 때에는 웅덩이의 이동속도는 일정하지만, 되메우기가 완료된 후에는 웅덩이(pit)의 이동속도가 빠르게 진행된다. 또한 웅덩이가 되메워지는 동안에 웅덩이의 수중 안식각은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하상경사가 급할 경우에, 웅덩이가 되메워지는 시간과 이동속도가 증가하였다. 골재채취에 의한 하천준설의 규모가 증가하게 되면, 웅덩이의 되메워지는 시간이 증가하게 되며, 웅덩이의 규모가 증가할수록 적응시간이 증가하였다. 무차원 마찰속도가 증가하면 무차원 웅덩이 깊이는 감소하고 무차원 웅덩이 이동속도가 증가하였다. 웅덩이 이동속도가 증가하면 무차원 웅덩이 깊이가 감소하였다. 무차원 사주의 이동속도가 증가하면, 웅덩이의 이동속도가 증가하였다. 상류에서 발달한 사주의 이동이 편향되면, 흐름이 집중되는 사주의 선단부의 위치에 따라 웅덩이의 형상이 변형되어 하류로 이동하였다.

건축재료의 이산화탄소 배출원단위 변화추이연구 (A Study on the Functional Unit Trend of Carbon Dioxide Emission in the Construction Materials between 2000, 2003 and 2005)

  • 이강희;이하식;양재혁
    • KIEAE Journal
    • /
    • 제10권5호
    • /
    • pp.123-129
    • /
    • 2010
  • This study aimed at analyzing the trend of carbon dioxide emission for direct and indirect areas by using inter industry relations table between 2000, 2003 and 2005 in the key building materials and component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aterial and components for this study was selected in 20 industries of products such as sand, gravel, cement, concrete articles, rebar, and steel bar. Second, among the 20 selected key building materials, the group with the highest carbon-dioxide emission was shown in ready-mixed concrete, concrete articles, and primary aluminum good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nges to the units of carbon dioxide emission according to passage of time, the number of items which is changed in such as sustained increase or decrease over time was insignificant in carbon-emission change tr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