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ted and fermented

검색결과 225건 처리시간 0.045초

시판 어류 단순가공품의 세균학적 및 화학적 위해요소 분석 (Bacteriological and Chemical Hazard Analysis in Commercial Fish Products Minimally Processed)

  • 김현정;이동수;김일회;김영목;신일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19-26
    • /
    • 201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bacteriological and chemical hazards in minimally processed commercial fish products, including Hwangtae (freeze-dried pollock), dried anchovy, fermented anchovy sauce, and salted and dried yellow croaker. Escherichia coli counts from all samples were below the regulation limits of the Korean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Standards on Quality of Seafood and Seafood Products (Food Code). However, the food poisoning bacterium Staphylococcus aureus was detected at levels above $1.0{\times}10^2$ colony forming units (CFU)/g in Hwangtae, dried anchovy, and salted and dried yellow croaker, which are commonly ingested without heating and pose bacteriological hazards. The detection of S. aureus, an organism indicative of poor personal hygiene, which can be introduced by employees and multiply during distribution, indicates the necessity of improving the sanitary control of minimally processed commercial fish products. Histamine was not detected from dried anchovy or salted and dried yellow croaker, but was detected at some of the highest levels in fermented anchovy sauces. This result suggests that efforts to reduce the amount of histamine in fermented anchovy sauces are required.

감마선 이용 저염 새우젓 제조시 화학성분의 변화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Changes of Chemical Compounds in the Processing of Fermented Shrimp with Law Salt)

  • 안현주;이경행;이철호;차보숙;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29-634
    • /
    • 2000
  • 저 염 세우젓을 제조하기 위하여 식염농도를 각각 10%, 15% 및 20%로 조절한 새우젓에 감마 선을 조사한 후 15$^{\circ}C$에서 발효시키면서 아미노태 질소, 휘발성 염기태 질소, trimethylamine 및 단백질분해효소의 할성변화를 조사하였다. 감마선 조사직후 아미노태 질소, 휘발성 염기 태 질소, trimethylamine 함량 및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은 감마선 조사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기간 동안 아미노태 질소, 휘발성 염기태 질소 및 trimethylamine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효소활성은 발효 4~5주까지 계속 증가하다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15% 식염첨가와 10kGy의 감마선 조사 및 20% 식염첨가와 5~7.5kGy 이상의 감마선 조사를 병용처리한 새우젓의 경우, 30% 식염성 염기태 질소, trimethylamine 함량 및 단백질분해효소 활성이 비슷한 수준으로 발혀기간 동안 적정 수준 의 함량 및 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새우젓의 육류단백질 분해 특성 (Proteolytic Properties of Saewoojeot (Salted and Fermented Shrimp) on Meat Proteins)

  • 오세욱;김영명;남은정;조진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191-1195
    • /
    • 1997
  • 새우젓의 육류단백질 분해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기투석기를 이용하여 탈염하여 조효소액을 조제하였다. 새우젓의 염도는 전기투석 후 2% 이하로 낮아졌으며 투석 시간이 경과할수록 조효소액의 protease activity는 증가하였다. 새우젓 조효소액에 우육, 돈육, 계육 등의 육류 전근육단백질을 기질로 하여 $37^{\circ}C$에서 반응시켜 SDS-PAGE로 근원섬유 단백질의 분해양상을 측정하였다. 새우젓 조효소액은 매우 강력하게 육류단백질을 분해하였으며 가열 처리 및 비가열처리 기질 모두 원활히 분해하는 특성이 있었다. 이러한 육류 단백질 분해는 특히 가열 처리한 육류에서 더 크게 나타나 5분 이내에 거의 모든 근육 단백질 단백질의 분해가 일어났다. 가열변성된 기질을 사용하여 조효소액의 분해능을 측정하였을 때 계육의 분해가 가장 원활히 일어났으며 그 다음이 돈육, 우육의 순이었다.

  • PDF

시판 젓갈중의 중금속 및 유기염소 잔유농약의 함량 (Heavy Metals Contens and Organochlorine Pestieide Residues in Commercial Salted and Fermented Sea Foods)

  • 유병호;하미숙;김동석;신동분;허호장;정동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07-212
    • /
    • 1986
  • 명란젓, 대구아가미젓, 바지락젓, 새우젓, 창란젓, 꼴뚜기젓, 게젓, 멸치젓, 오징어젓, 조개젓에 대한 중금속(重金屬) 및 유기인계 잔유농약(殘留農藥)에 대한 분석(分析)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은함량은 $0.11{\sim}0.46ppm$이었고, 납의 함량(含量)은 $ND{\sim}1.3ppm$, 카드륨 함량은 $0.01{\sim}0.34ppm$이며 구리함량은 $0.4{\sim}5.98ppm$, 아연함량은 $0.16{\sim}4.5ppm$, 망간함량은 $0.02{\sim}0.49ppm$으로 상당히 낮으며 비소함량은 검출되지 않는 젓갈이 많았다. 유기감소(有機監素) 잔유농약의 함량(含量)은 Total BHC는 멸치젓이 $0.3{\sim}1.825ppb$였고 게젓, 멸치젓에서는 PP'-DDE, Dieldrin, PP'-DDD, PP'-DDT가 다소 검출되었으나 나머지 젓갈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우리나라 허용기준과 비교해 볼때 젓갈 중의 중금속 및 잔유농약은 식품위생상 안전하다고 볼 수 있다.

  • PDF

멸치젓 숙성중 아질산염과 아스코르브산이 N-Nitrosamine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Nitrite and Ascorbic Acid on N-Nitrosamine Formation during Fermentation of Salted Anchovy)

  • 김정균;이수정;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06-613
    • /
    • 1997
  • 멸치에 일정량의 식염, 아질산염, 질산염 및 아스코르브산을 첨가하여 숙성시키면서, NA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는 담금직 후 7.1에서 숙성 110일 후 5.5로 산성화되었다. TMAO 질소는 숙성 중 감소한 반면, TMA 및 DMA질소는 증가하였다. 아질산염 첨가구는 숙성 중 NDMA 함랑이 증가하였고, 아스코르브산 첨가구는 NDMA 생성이 억제되었다. 모델계 실험 결과, 멸치젓의 니트로소화 최적 pH는 3.8이었고, 아스코르브산은 NDMA생성을 크게 억제시킨 반면 thiocyanate는 촉진시켰다. 본 실험 결 과, 멸치젓 자체에는 NDMA가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나, 질산염이나 아질산염의 함량이 많은 물질과 함께 섭취된다면 위내에서 NDMA가 생성될 가능성이 충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새우젓 저염화를 위한 최적 숙성직전의 감마선 조사 (Processing of Low Salted and Fermented Shrimp Using Gamma Irradiation Before Optimum Fermentation)

  • 안현주;이철호;이경행;김재현;차보숙;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107-1113
    • /
    • 2000
  • 관능적 품질이 우수하고 저장성을 향상시킨 저염 새우젓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으로 감마선 조사기술을 이용하였다. 식염농도를 15% 및 20%로 조절한 새우젓을 제조하여 $15^{\circ}C$에서 발효시키면서, 최적 숙성기에 도달하기 전 아미노태질소의 함량이 400mg% 수준에서 5 kGy 및 10 kGy의 선량으로 감마선 조사하였으며, 대조구로는 30% 식염농도의 새우젓을 제조하여 저장기간 동안 품질을 평가하였다. 최적 숙성 직전 감마선을 조사한 결과, 일반성분, 수분활성 및 염도는 감마선 조사에 의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pH의 경우, 감마선 조사에 의한 발효 억제로 비조사구 보다 낮게 나타났다. 총균수는 감마선 조사에 의해 최고 숙성기에 나타나는 부패 미생물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약간의 발효가 진행될 뿐 고식염의 대조구와 마찬가지로 부패가 일어나지 않았다. 관능검사 결과, 15% 및 20% 식염함량의 새우젓 모두 감마선 조사를 한 경우 관능적으로 우수하였으며, 특히 15% 식염과 10 kGy의 감마선 조사 또는 20% 식염과 5 kGy 이상의 조사는 저장성과 관능적 품질이 매우 우수하였다.

  • PDF

Changes in the Allergenicity of Saeujeot by Fermentation

  • Kim, Seong-Mi;Park, Jin-Gyu;Kim, Koth-Bong-Woo-Ri;Saeki, Hiroki;Nakamura, Atsushi;Lee, Ju-Woon;Byun, Myung-Woo;Ahn, Dong-Hyu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5호
    • /
    • pp.919-924
    • /
    • 2008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changes in allergenicity of saeujeot (salted and fermented shrimp) using a competitive indirect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Ci-ELISA). The fermentation conditions tested for saeujeot consisted of various temperatures (25, 15, and $5^{\circ}C$) and salt concentrations (25, 15, and 10%). When saeujeot was fermented at a low salt concentration and high temperature, the binding ability of mAb and shrimp-allergic patient serum to allerge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particular, the binding ability of mAb to allergen in saeujeot fermented with 10% salt at $25^{\circ}C$ for 5 days decreased to 5%. Also, the binding ability of shrimp-allergic patient serum to allergen in saeujeot fermented for 5 days with 10% salt at $25^{\circ}C$ was 8%. In conclusion, the binding of mAb and shrimp-allergic patient serum to tropomyosin in saeujeot decreased with longer fermentation periods, lower salt concentrations (10%), and higher temperatures ($25^{\circ}C$).

Predominant Lactic Acid Bacteria from Salted Sea Food

  • Cho, Gyu-sung;Bae, Chae-Yun;Do, Hyung-Ki;Shin, Hyeun-Kil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5년도 제36차 추계 학술발표대회
    • /
    • pp.319-323
    • /
    • 2005
  • Lactic acid bacteria are dominant microflora in many kinds of fermented foods. In this study, dominant microflora, especially lactic acid bacteria were isolated from salted sea food, and we determine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ssayed specific property such as bacteriocin activity. The popul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as well as aerobic mesophilic counts was at the level of $10^7$ cfu /g. Total 17 strains of LAB were isolated from salted sea food sample. The phenotypic characteristics of these strains were determined followed by Bergey's Manual. And genotypic and bacteriocin activity were tested by Schillinger and $L{\ddot{u}}cke^{(7)}$.

  • PDF

멸치젓갈의 인공소화시 N - Nitrosamine 생성과 돌연변이의 상관성 (Correlation of N - Nitrosamine Formation and Mutagenicity in Fermented Anchovy under Simulated Gastric Digestion)

  • 손미예;박희정;신정혜;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1560-1565
    • /
    • 2004
  • 우리나라 전통 발효식품인 젓갈류의 생체내 소화과정에서 니트로사민 생성과 돌연변이원성의 가능성을 예측하기 위하여 실온(18~20$^{\circ}C$)에서 60일간 숙성시킨 멸치 젓갈을 인공적인 소화타액과 위액에 nitrate, thiocyanate, formaldehyde 및 ascorbic acid를 8 mM 이하의 각 농도별로 첨가하여 Nnitrosodimethylamine(NDMA) 생성과 돌연변이원성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인공소화시 NDMA의 생성은 nitrite,thiocyanate 및 formaldehyde의 첨가농도에 따라서 촉진되었으나, ascorbic acid는 억제제로서 그 첨가농도에 비례하여 생성저해 효과가 나타났으며, 대체로 4 mM 농도에서 무첨가구에 비하여 71.3% 정도가 저해되었다. 돌연변이원성은 숙성시킨 젓갈에 nitrite, thiocyanate 및 formaldehyde를 여러 농도로 첨가하여 인공소화시킬 때에는 증가되었으나, ascorbic acid를 첨가하였을 때에는 현저하게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