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alt tolerant

검색결과 202건 처리시간 0.041초

Salt cress 유전자의 형질전환을 통한 내염성 식물체 선별 (Screening of salt-tolerance plants using transgenic Arabidopsis that express a salt cress cDNA library)

  • 백동원;최원균;강송화;신길옥;박수정;김찬민;박형철;윤대진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1권2호
    • /
    • pp.81-88
    • /
    • 2014
  • 식물생명공학 연구에 있어서 모델 식물인 Arabidopsis thaliana (애기장대)와 아주 유사한 염생 식물인 salt cress (Thellungiella halophila 또는 Thellungiella parvula)는 고염 스트레스에 대하여 강한 내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염에 저항성을 가지는 유용유전자를 선별하기 위하여, 200 mM NaCl을 처리한 T. halophila 또는 T. parvula 식물로부터 mRNA를 분리하여 cDNA library를 작성하였다. Full length cDNA library를 Agrobacteria-methods 형질전환 방법에 필요한 binary vector pool을 작성하고 Arabidopsis에 형질전환 시켰다. 형질전환되어진 Arabidopsis를 항생제 Basta 선별을 통하여 형질전환체 pool을 구축하였다(305,400 종자).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구축 되어진 pool중에서 168,500 종자를 이용하여 고염 스트레스 조건하에서 종자 발아율과 뿌리 생장 촉진되는 현상이 나타나는 내염성 형질전환체를 1차 선별하였다(7,157 개체; 4.24%). 1차 선별된 형질전환체 중에서 1,551개체를 이용하여 2차 선별을 수행하여 내염성 형질전환체 165 개체를 확보하였다(10.6%). 선별된 형질전환체 중 대부분 개체는 고염 스트레스에 대응하여 종자 발아 및 뿌리 생장 모두 야생형보다 촉진된 표현형을 보였다. 그 중 몇 몇의 형질전환체는 야생형에 비하여 특이적인 기관 발달 현상이 나타났다. 예를 들면, 꽃과 줄기의 발달이 야생형과는 다른 표현형을 보이는 형질전환체가 선별되었다. 이렇게 스트레스에 내성을 가지는 형질전환체로부터 유전자 분리 방법을 통하여 해당 유용유전자를 확보할 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halopyte 식물체를 이용하여 고염 뿐만 아니라 다양한 환경스트레스(건조, 냉해, 고열, 호르몬 등)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유용유전자를 보다 쉽게 확보하는 방법을 제시함으로서, 환경재해극복에 관여하는 신호전달 기작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고창·부안 갯벌에 자생하는 염생식물 칠면초 근권 및 근면으로부터 내 염성 세균 분리와 그 특성화 (Isolation of salt-tolerant bacteria from rhizosphere and rhizoplane of halophyte plant Suaeda japonica in Gochang·Buan tidal flat)

  • 기민규;이혜리;조아현;운노타쯔야;이지훈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2호
    • /
    • pp.125-131
    • /
    • 2017
  • 고창 부안 갯벌에 자생하는 칠면초의 근권 및 근면으로부터 내염성을 지니는 9 균주를 분리하였다. 16S rRNA 유전자를 이용한 계통분석으로 분리된 균주는 Vibrio 속과 Bacillus 속으로 분류되었다. 분리된 균주 중 Vibrio와 Bacillus로 나누어 각각 대표성을 나타낼 수 있는 균주를 선택하여 염 농도에 따른 최적 생장조건을 평가한 결과, 균주 JRS-1 (Vibrio neocaledonicus)은 총 염분 4-6%에서 높은 생장률을 보였다. 균주 JRL-2(Bacillus thuringiensis)는 염분 농도 증가에 따라 생장이 증가하였으며, 7%에서 최대 생장률을 보이고 8%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분리된 균주들은 기존에 서식하던 토양의 염 농도인 3% (w/v) 보다 더 높은 염분에도 견딜 수 있는 내염성을 보였다. 또한 분리균주에 대한 생화학적 기질 이용 형태에 분석을 통해 triglyceride, ${\rho}$-nitrophenyl-${\alpha}$,$\text\tiny{D}$-glucoside, ${\rho}$-nitrophenyl-${\beta}$, $\text\tiny{D}$-glucoside 이용 등 식물과의 특이적인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는 반응들을 확인하였다.

Mapping of Quantitative Trait Loci for Salt Tolerance at the Seedling Stage in Rice

  • Lee, Seung Yeob;Ahn, Jeong Ho;Cha, Young Soon;Yun, Doh Won;Lee, Myung Chul;Ko, Jong Cheol;Lee, Kyu Seong;Eun, Moo You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21권2호
    • /
    • pp.192-196
    • /
    • 2006
  • Salt tolerance was evaluated at the young seedling stage of rice (Oryza sativa L.) using recombinant inbred lines (MG RILs) from a cross between Milyang 23 (japonica/indica) and Gihobyeo (japonica). 22 of 164 MG RILs were classified as tolerant with visual scores of 3.5-5.0 in 0.7% NaCl. Interval mapping of QTLs related to salt tolerance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the visual scores at the young seedling stage. Two QTLs, qST1 and qST3, conferring salt tolerance, were detected on chromosome 1 and 3, respectively, and the total phenotypic variance explained by the two QTLs was 36.9% in the MG RIL population. qST1 was the major QTL explaining 27.8% of the total phenotypic variation. qST1 was flanked by Est12~RZ569A, and qST3 was flanked by RG179~RZ596. The detection of new QTLs associated with salt tolerance will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for the functional analysis of rice salt tolerance.

수묘(樹苗)의 염해(鹽害)에 관(關)한 연구(硏究) -Nacl 농도(濃度)를 달리한 사경(砂耕)에서의 몇 수묘(樹苗)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ies on Salt Injuries of Seedlings Growth-Sand Media Effect of Various Concentration of Added Salts upon 3 Kinds of Seedlings)

  • 손원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10
    • /
    • 1968
  • 1. 본(本) 시험(試驗)은 몇가지 조림수종(造林樹種)의 내염도(耐鹽度) 및 그 피해상태(被害狀態)와 생장상황(生長狀況)을 조사(調査)한 것이다. 2. 염생식물(鹽生植物)인 해송(海松)은 생엽(生葉)pH가 낮으며 비중(比重)도 낮다. 내염성(耐鹽性)이 약(弱)한 소나무, 젓나무, 잣나무등의 잎의 pH는 높으며 비중(比重)도 크다. 3. 염생식물(鹽生植物)인 해송(海松)의 잎은 수분함량(水分含量)이 많으며 내염도(耐鹽度)가 낮은 소나무, 젓나무따위의 잎은 수분함량(水分含量)이 적다. 4. 해송(海松), 리기다소나무, 잣나무, 젓나무등 무처리(無處理)인 생엽(生葉)의 pH 및 비중(比重)은 상호간(相互間)에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된다. 5. 내염도(耐鹽度)의 순위(順位)는 해송>잣나무>젓나무이다. (리기다소나무와 소나무는 내염도(耐鹽度)가 낮은 군(群)에 속함) 6. 내염성(耐鹽性)이 약(弱)한 젓나무의 피해부위(被害部位)는 초단부(稍端部)인 정점(頂點)에서 1.5%액(液) 처리(處理)2~3시간후(時間後)에, 잣나무, 해송등은 4~6시간후(時間後) 피해징세(被害徵勢)가 나타났다.

  • PDF

미생물을 이용한 염수의 퍼클로레이트 제거 (Removal of Perchlorate from Salt Water Using Microorganisms)

  • 안영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1호
    • /
    • pp.1294-1303
    • /
    • 2019
  • 퍼클로레이트는 물에 용해도가 높고 안정되어 잔류하는 음이온성 오염물이다. 이 오염물은 토양/지하수는 물론 지표수, 먹는물, 식품, 어류, 농작물에도 검출이 되었다. 퍼클로레이트는 갑상선에 요오드가 흡수되는 것을 방해함으로써 대사조절에 중요한 갑상선 호르몬 생산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오염된 환경으로부터 퍼클로레이트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미생물에 의한 생분해가 가장 환경 친화적이고 경제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염수와 같은 염이 있는 환경에서의 퍼클로레이트 생분해에 대한 정보는 비교적 제한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미생물을 이용한 염수의 퍼클로레이트 제거와 이와 관련된 미생물에 대해 기술하였다. 대부분 염수의 퍼클로레이트 생분해 연구는 acetate와 같은 유기물을 전자공여체로 사용하는 종속영양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폐재생액(염수) 내의 퍼클로레이트 처리에 중점을 두었다. 폐재생액은 퍼클로레이트로 오염된 지하수를 정화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이온교환법에서 발생한다. 내염성 미생물을 농화배양하여 식종한 생물반응기를 통해 최고 10% NaCl 농도에서도 퍼클로레이트의 연속제거가 가능한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제거는 제시되지 않았다. 염수 내의 퍼클로레이트 제거에 사용된 생물반응기에는 주로 ${\beta}$-와 ${\gamma}$-Proteobacteria가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 기술한 이러한 정보는 생물공학기술 개발을 위해 염수의 퍼클로레이트 생분해에 대한 이해를 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Biomass Production of Saccharomyces cerevisiae KFCC 10823 and Its Use in Preparation of Doenjang

  • Yoo, Jin-Young;Kim, Hyeon-Gyu;Kwon, Dong-J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7권1호
    • /
    • pp.75-80
    • /
    • 1997
  • An ethanolic fermentation process was developed for preparing Doenjang with high ethanol. Higher and efficient viable cell production of salt-tolerant ethanolic yeast is a prerequisite for the successful commercial-scale process of ethanol production during Doenjang fermentation. Culture conditions of salt-tolerant yeast, S. cerevisiae KFCC 10823, was studied in terms of the effect of several environmental and nutritional factors. Viable cell numbers were the highest in a medium containing the following components per liter of water: soysauce, 300ml; dextrose, 50 g; beef extract, 5 g; yeast extract, 5 g; $KH_2PO_4$, 5 g; NaCl, 50 g. The optimal culture conditions of S. cerevisiae KFCC 10823 were pH 5.5, $25^{\circ}C$, 200 rpm and 0.5 vvm. Yeast viability during batch fermentation was gradually decreased to a level less than $90{\%}$ after 35 hours. The maximum cell number was $2.2{\times}10_7$ cells/ml at the optimal condition. Doenjang prepared with ethanolic yeast was ripened after 45 days at $30^{\circ}C$. This Doenjang contains 470 mg% of amino nitrogen and 2.5% ethanol. The shelf-life at $30^{\circ}C$ was theoretically estimated as 444 day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