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t solution

검색결과 1,151건 처리시간 0.027초

피클제조를 위한 취청오이의 염농도에 따른 염장중 이화학적 특성 (Effects of Various Salt Concentrations on Physicochermical Properties of Brined Cucumbers for Pickle Process)

  • 박용곤;박미원;최인욱;최희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26-530
    • /
    • 2003
  • 각기 다른 염농도에서 염장한 오이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염장시 첨가되는 염농도가 높을수록 수축현상이 심하였으며, 오이의 염농도는 염장 30일경에 30% 처리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이론치와 유사한 농도를 나타내었다. pH의 경우 25%처리구는 염장 120일까지 감소 경향을 보인 반면 30%처리구는 60일이후부터 거의 변화가 없었다. 오이 표면의 녹색도는 염장 10일까지는 모든 처리구에서 녹색(-1.33~-2.87)이 유지되었으나 염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적색으로 변하였고, 이러한 현상은 염농도가 낮을수록 심하였다. 황색도는 염농도가 낮은 15% 첨가구가 염장 전기간에 걸쳐 가장 높은 황색도(6.15~12.52)를 보였다. Isopropyl alcohol 추출색소액 중 생오이의 색소추출액은 439, 473, 632 nm에서 피크를 나타낸 반면 염장오이는 염장초기 첨가된 염농도에 관계없이 생오이 색소추출액과는 다른 흡광도 변화를 나타내어 410, 505, 538, 607, 565 nm에서 새로운 피크를 형성하였다. 경도는 염농도에 관계없이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상승하였다.

해양 심층수염을 이용한 무 절임시 품질특성 변화 (Changes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Radishes Salted with Deep Seawater Salt)

  • 이기동;김숙경;이현아;이명희;김미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82-186
    • /
    • 2003
  • 해양 심층수염과 천일염을 이용하여 무를 절임할 경우 수축율, 염도, 물성의 특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해양 심층수염을 가지고 무를 절임할 경우 품질 변화를 살펴본 결과 수축률은 절임 8시간 이후에 해양심층수염으로 절임한 경우가 천일염으로 절임한 경우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양심층수염이 천일염보다 더 높은 염도를 나타내며 절임 되었다. 젤리강도는 절임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절임 염도가 높을수록 젤리강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염장시간 초기때는 해양 심층수염이 천일염보다 젤리강도를 더 낮게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염장시간 16시간 이후부터는 해양 심층수염이 천일염보다 더높은 젤리 강도를 나타내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무의 연도는 심층수염이 천일염보다 높은 값을 나타냄으로서 해양 심층수염에 절일 때 더 부드러운 물성을 나타냄을 볼 수 있었다. 견고성은 해양 심층수염에 절임하는 것이 천일염에 절임하는 것보다 더 높은 값을 나타났다. 해양 심층수염이 천일염보다 빨리 무 조직에 손상을 줌으로 절임을 단축시키지만 절임시간이 연장되면 오히려 무 조직의 손상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김치맛과 발효에도 영향을 미치는 품질 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해양 심층수염을 이용하여 김치 발효시 특성 변화에 대한 더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산성우(酸性雨), 건조(乾燥) 및 식염수(食塩水) 처리(處理)에 따른 잣나무와 은행나무 잎의 조직변화(組織變化) (Histological Changes in Pinus koraiensis Needles and Ginkgo biloba Leaves Treated with Simulated Acid Rain, Drought and Salt Solution)

  • 김갑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3권1호
    • /
    • pp.55-62
    • /
    • 1986
  • 본(本) 연구(硏究)는 잣나무와 은행나무에 대하여 인공산성우(人工酸性雨), 건조(乾燥) 및 식염수(食鹽水)를 처리(處理)하여 가시적(可視的) 엽피해(葉被害)를 유발(誘發)시켰을 때 수종간(樹種間) 및 처리간(處理間)의 엽피해(葉被害)에 대한 조직변화(組織變化)를 알아보고자 시도(試圖)되었다. 잣나무의 피해엽조직(被害葉組織)에서 공통적(共通的)으로 관찰(觀察)된 것은 엽육조직(葉肉組織)의 파괴(破壞)였으며, 산성우(酸性雨)에 의한 피해엽조직(被害葉組織)에서는 표피(表皮)가 파괴(破壞)되었으며, 건조(乾操)에 의한 피해엽조직(被害葉組織)에서는 표피(表皮), 엽육조직(葉肉組織) 및 내피(內皮)가 수축되거나 변형(變形)되었으며, 식염수(食鹽水)에 의한 피해(被害)는 사부(篩部)와 이입조직(移入組織)(transfusion tissue)의 파괴(破壞) 등이 각각 특이(特異)한 점으로 나타났다. 한편, 은행나무 피해엽조직(被害葉組織)에서 공통적(共通的)으로 관찰(觀察)된 것은 해면조직(海綿組織)의 파괴(破壞)였으며 산성우(酸性雨)에 의한 피해(被害)로는 표피(表皮)와 책상조직(柵狀組織)의 파괴(破壞), 건조(乾操)에 의 한 피해(被害)로는 해면조직(海綿組織)의 수축 변형(變形), 식염수(食鹽水)에 의한 피해(被害)로는 내피(內皮)와 이입조직(移入組織)의 가벼운 비대현상(肥大現象)과 파괴(破壞) 등이 각각 특이(特異)한 점이었다.

  • PDF

3급 아민염 및 4급 암모늄염의 Tetrathiocyanatocobaltate[II]에 의한 분석화학적 연구 (Studies on the Chemical Analysis of the Tertiary Amine Salt and Quaternary Ammonium Salt by Tetrathiocyanatocobaltate[II])

  • 엄동옥;이윤중
    • 약학회지
    • /
    • 제24권3_4호
    • /
    • pp.159-165
    • /
    • 1980
  • Tetrathiocyanatocobaltate[II] forms complexes with tertiary amine salts or quarternary ammonium salts which were extractable from aqueous solution by organic solvent. In order to study composition of the complex, the colored crystalline complexes produced were evaluated with elemental analysis, infrared and mass spectra. And also a novel spectrophotometr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tertiary amine salt or quarternary ammonium salt with tetrathiocyanatocobaltate[II] was established by organic solvent extraction within coefficient of variation of 1.06-1.35%.

  • PDF

반복적 염수침지가 강섬유 혼입 콘크리트의 휨성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peated Wet/Dry Cycles of Salt Solution on Flexural Performance of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 김지현;최유진;정철우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553-564
    • /
    • 2022
  • 콘크리트는 건설분야의 대표적인 복합재료로써 아주 우수한 재료이나, 불균질성을 가진 취성적 재료로 휨이나 인장력에 대해 취약한 거동을 보인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섬유를 보강한 콘크리트를 활용하고 있다. 특히, 강섬유는 다른 고분자 섬유에 비해 시장성이 좋으며 우수한 역학적 성능을 가지고 있어 콘크리트 보강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해양 환경에 노출된 부위에 시공할 때 염소이온 침투에 따른 부식의 영향으로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반복적 연수침지가 강섬유 혼입 콘크리트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들에 관해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37주간의 반복적 염수 침지 기간 동안 콘크리트의 상대동탄성 계수의 감소는 관찰되지 않았고, 염수 침지 종료 후의 휨강도의 감소도 발생하지 않았다. 반복시험 종료 후 시편의 파단면 육안 관찰 시 강섬유 부식의 증거는 확인할 수 없었다. 그러나 휨인성은 감소하였는데, 이는 콘크리트 시편의 절반 정도가 휨 시험의 최대 측정변위인 3mm지점에 도달하지 못하고 파괴가 발생하였기 때문이다. 비록 반복적 염수침지가 강섬유의 부식을 통한 콘크리트 균열을 발생시키지 못하더라도, 휨인성에는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해양환경에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를 사용 시 이를 유의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멸치(Engraulis japonica)육의 물간법 중 염침투 특성 (Salt Penetration Properties of Anchovy (Engraulis japonica) Muscle Immersed in Brine)

  • 오세욱;이남혁;김영명;남은정;조진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196-1201
    • /
    • 1997
  • 저염 멸치젓 생산 공정 개발을 위한 기초 실험으로서 brining 과정 증 멸치육의 이화학적 변화를 측정하였다. 10%, 15%, 20% 염용액 및 포화식염수를 사용하여 $15^{\circ}C$ 온도 조건에서 brining 하였을 때 초기의 염침투 특성은 first order kinetics에 적용할 수 있었으며 이때의 rate constant는 각각 0.018, 0.030, 0.039, 0.051를 나타내 염용액의 염농도가 증가할수록 초기의 염침투 속도는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지기간 중 멸치육 단백질의 분해는 염용액의 염도가 낮을수록 빠르게 진행되었으며 포화식염수를 사용하여 brining 하였을 때는 단백질 분해가 매우 더디게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Brining 중 멸치육의 수분함량의 변화를 측정하였을 때 10% 식염수를 사용하였을 경우 74%의 수분함량을 가지고 있었으며 20% 식염수일 경우 65%의 수분함량을, 포화식염수를 사용하였을 경우 58%의 수분함량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염용액의 염도가 증가할수록 탈수되는 수분의 양이 증가하여 낮은 수분함량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Brining 중 멸치육의 무게변화를 측정하였을 때 10% 식염수를 사용하였을 경우 멸치육의 무게는 완만히 증가하여 72시간 후에 10%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 염용액 및 포화식염수를 사용하였을 경우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포화식염수를 사용하여 $15^{\circ}C$에서 brining 시 고형분의 용출량을 측정하였을 때 초기에는 급격히 고형분이 용출되어 36시간 이후에 평형에 도달하였는데 이때의 감량 수준은 원료 멸치육의 무게의 30%감량수준이었다.

  • PDF

영양염제거에서 해수 및 해수염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Use of Seawater and Sea Salt in Nutrient Elimination)

  • ;김우항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829-835
    • /
    • 2016
  • 부영양화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영양물질인 질소와 인을 제거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질소와 인을 제거하기 위하여 해수 및 해수염에 존재하는 마그네슘과 칼슘을 사용하여 스트루바이트와 수산화인회석을 만들어 침전을 시켰다. 실험의 목적은 해수와 해수염을 사용하여 pH와 농도의 변화에 따른 영양염의 제거율을 비교평가 하였다. 하수의 실험조건에서 해수를 사용한 결과 인의 제거율은 90 %, 질소의 제거율은 50 %로 나타났다. 또한 pH 9, 질소와 인의 농도 10 mM, ${Mg/PO_4}^{3-}$, ${NH_4}^+$의 비율 2의 조건에서 해수염을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질소의 제거율은 90 %, 인의 제거율은 70 %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인의 제거율이 높은 이유는 해수를 사용한 경우 질소와 인의 몰 농도의 차이에서 비롯되었으며, 해수염을 사용한 경우 해수에 포함된 칼슘이 인과 반응하여 수산화인회석으로 침전 제거되었다고 할 수 있다. 수중의 질소와 인을 제거를 위하여 해수와 해수염을 사용한 결과 높은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염류 스트레스에 대한 수도품종의 생리적 반응에 대한 연구 (Studies of Physiological Response to the Salt Tolerance of Rice Cultivars)

  • 조동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93-100
    • /
    • 1998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ry weight, the amount of Na+ and K+ water potential and leaf photosynthesis rate in plants for determining the salt tolerance mechanism in rice cultivars on soil and solution culture with NaCl.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In general, rice cultivars, cv. Tetep and Jinbu, having high salt tolerance in ID(identified on dry matter production level) showed the higher salt tolerance in RGR (relative growth rate), compared with rice cultivars(cv. Nonglim 41ho, Dunraebyeo and Sobackbyeo) having low salt tolerance. The contents of Na in rice differed depending on culivars and plant parts. Tetep contained 2.9times higher amounts of Na+ than leaf blade and root part. High salt tolerance cultivar Obongbyeo showed a larger decrease in osmotic potential than low salt tolerance cultivar Dunraebyeo suggesting that osmotic adjustment was developed under salt stress conditions in a salt tolerant cultivar . In order to know the IY(identified on grain yeild level using rice cultivars having different salt tolerance the capacity of photosyntheiss was investigated. The capapcity of photosynthesis in cv. Tetep and Obongbyeo having high salt tolerance was much higher that in cv.Dunraebyeo and Nonglim 41 having low salt tolerance.

  • PDF

절임방법에 따른 깍두기의 관능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 (Effects of Salting Methods on the Sensory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Kakdugi)

  • 김나영;장명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75-83
    • /
    • 2000
  • The effects of salting methods on sensory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Kakdugi were evaluated during fermentation at 10$\^{C}$ for up to 52 days. Kakdugi samples were prepared by 4 different salting methods at the final salt concentration about 1.5%, which was appropriate for organoleptic quality. The salting methods for radish cubes(2cm size) of Kakdugi included; 1) Treatment S-1: spraying dry salt uniformly onto the radish cubes, at the concentration of about 1.5%(w/w) and cured for 1 hr, 2) Treatment S-5: spraying dry salt uniformly onto the radish cubes, at the concentration of about 1.2%(w/w) and cured for 5 hr, 3) Treatment B-1: brining radish cubes in a 8.5%(w/v) salt solution and cured for 1 hr, 4) Treatment B-5: brining radish cubes in a 4.0%(w/v) salt solution and cured for 5 hr. During the early stage of fermentation, sensory test showed higher scores in the overall acceptability of Kakdugi prepared with salting methods S-1 and S-5 than those with B-1 and B-5. However, the trend of acceptability has been reversed by the treatments B-1 and, more notably, by B-5 at the later stage of fermentation. The counts of lactic acid bacteria increased remarkably and then decreased gradually after the optimum ripening period. The major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and identified from Kakdugi were Pediococcus, Streptococcus, Leuconostoc, and Lactobacillus.

  • PDF

마(Dioscorea batatas DECAISNE)전분의 Rheology 및 열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Rheological and Phermal Properties of Dioiscorea batatas DECAISNE Starch)

  • 최일숙;이임선;구성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57-63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heolog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yam starch. Yam starch had a hydrodynamic volume with the intrinsic viscosity,[$\eta$], of 0.29dl/g deionized water. The values of the intrinsic viscosity of yam starch, determined to pH 2-11, varied between 0.07 to 0.18 dl/g. The highest intrinsic viscosity was obtained at pH 7. At salt concentrations 0-0.2 M NaCl, the intrinsic viscosity of yam starch was decreased up to 0.05 M NaCl concentration then increased to 0.07 M NaCl concentration and remained constant to reach 0.2 M NaCl concentration. The overlap parameter, calculated with the intrinsic vicosity data, was 3.45 g/dl in deionized water. The thermal properties of yam starch were investigat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Three endotherms were observed both pH solution and salt concentation. In the presence of pH 9, the onset temperature of gelatinization peak was the lowest temperature of 50.$32^{\circ}C$ and the enthalpy ($\Delta$H) was increased in this solution. The effect of salt on the thermal properties of yam starch was determined at salt concetration of 0-0.2 M NaCl. The enthalpy significantly decreased to salt concentration 0.07 M NaCl and the lowest onset temperature of this concentration was 52.$90^{\circ}C$.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