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ad.

검색결과 238건 처리시간 0.023초

양식샐러드 메뉴에 대한 소비가치가 태도 및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onsumption Values for Western Salad on Functional Attitude and Consumer Satisfaction)

  • 정진우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22-233
    • /
    • 2016
  • 본 연구는 양식샐러드 메뉴에 대한 사회적 소비가치가 태도 및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서울지역 5개 호텔 양식레스토랑 이용고객을 대상으로 서울지역 5개 호텔양식레스토랑 이용객에게 설문을 받았으며, 322부를 표본으로 선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18.0을 사용하여 실증 분석결과 다음과 같다. 샐러드의 소비가치인 진귀적 가치, 사회적 가치, 감정적 가치, 기능적 가치는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가치가 4가지 소비가치 중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샐러드의 소비가치인 기능적 가치, 사회적 가치, 진귀적 가치, 감정적 가치는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태도는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양식샐러드 메뉴에 대한 소비가치가 태도 및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가설은 채택되었다.

생강을 이용한 샐러드드레싱 제조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Ginger Salad Dressing)

  • 정현아;박숙현;김안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67-175
    • /
    • 2013
  • 본 연구는 생강 첨가량 0, 3, 6, 9, 12%를 첨가한 샐러드 드레싱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 $4^{\circ}C$에서 21일 동안 저장하면서 pH, 산도, 색도, 당도, 염도, 관능검사를 평가하였다. pH 값은 생강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졌으며 (p<0.001), 산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L, a, b 값은 모두 저장기간에 따라 증가하였다. 당도 측정 결과 생강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반면에 염도 값은 증가하였다. 또한 저장기간에 따라 염도 값이 증가하였다(p<0.01). 관능평가결과, 저장 초기에는 9%와 12% 첨가군이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나, 관능 평가의 결과 총 7개의 항목으로 저장기간에 따라 공통적으로 전체적으로 6%의 기호도가 높았다. 전체적으로 생강 첨가량 6%가 생강 샐러드 드레싱 제조 시 가장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 PDF

동북아시아인의 단맛에 대한 인지도 및 기호도 비교 연구 (A Cross-Cultural Study of the Awareness and the Preference on Sweet Taste among the Northeast Asians)

  • 박현정;김현아;이경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893-898
    • /
    • 2008
  • The of this study was to the abilities of Northeast Asians to discriminate sweetness on foods and their preference sweetness. Panels of Korean, Japanese and Chinese three sample -sucrose solutions, bulgogi, julienned radish salad- in which the sucrose levels had been manipulated to produce five samples of each. The sucrose solutions were prepared 1%, 3%, 5%, 7%, 9% sucrose to the water. Bulgogi and julienned radish salad 3%, 9%, 15%, 21%, 27% sucrose to the recipe. As, the three ethnic group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st of sweetness in sucrose solutions(79%). Korean(a=1.164) to be the most sweetness, compared to Japanese(a=1.063) and Chinese(a=0.999). All ethnic groups preferred $3{\sim}7%$ solution, and Korean than Japanese and Chinese. Ethnic groups significant differences in sweetness of the julienned radish salad 21% sucrose. Korean(a=1.054) appeared to be the most able to detect the sweetness, compared to their Japanese(a=0.785) and Chinese(a=0.642). Both Korean and Japanese the strongest preference for the 15% julienned radish salad, the Chinese preferred the 21%. The abilities of ethnic groups to detect the sweetness in bulgogi significant differences high concentration(more than 27%), and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awareness of sweet taste order Korean(a=0.918), Japanese(a=0.832), Chinese(a=0.690). All groups preferred the $9{\sim}21%$ bulgogi the most, Japanese showed higher preference 15% bulgogi than did Korean and Chinese.

  • PDF

채소류의 전통조리법에 의한 이화학적 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Vegetables by Korean Traditional Cooking Methods)

  • 안명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77-188
    • /
    • 1999
  • 15종의 채소류를 생채, 데침, 찜, 끓임, 볶음 조림할 때 Vit.A, Niacin, AsA 및 P, Fe, Mg, Ca, Na, K의 잔존량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생채에서 Vit.A는 도라지, 상추, 오이의 잔존량이 높은 반면 무는 50%로 가장 낮았고 Niacin과 AsA는 전반적으로 잔존율이 높았으며 무, 상추, 돌나물, 오이, 들깻잎에서는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무기질에서는 P은 도라지, 양배추, 상추에서, Fe은 도라지, 양배추, 돌나물에서, Mg과 Ca은 도라지, 상추, 돌나물에서 K은 양배추와 상추에서 잔존율이 높았다. 2. 데침시에 Vit.A는 콩나물, 숙주에서, Niacin는 콩나물, 숙주, 들깻잎에서 잔존율이 높았으나 AsA는 다른 비타민에 비하여 잔존율이 크게 떨어졌다. 무기질은 P은 참취, 콩나물, 숙주에서, Fe은 참취, 숙주, 시금치에서, Mg은 들깻잎에서, Ca은 시금치, 들깻잎에서, Na은 시금치에서, K은 무, 들깻잎에서 잔존율이 높은 편이었다. 3. 찜에서 Vit.A는 양배추에서, Niacin은 가지, 양배추, 들깻잎, 오이에서, AsA는 무, 양배추, 오이에서 잔존율이 높았으며 잔존율이 아주 낮은 것은 Vit.A에서의 무와 들깻잎, AsA는 들깻잎이었다. 무기질 중 P은 양배추, 오이, 들깻잎에서, Ca은 양배추, 오이, 무에서, Na은 무, 오이, 양배추에서, K은 들깻잎, 양배추에서 잔존율이 높았다. 한편, 무기질의 잔존율이 아주 낮은 것은 Fe은 호박, 가지에서, Mg은 호박에서, Ca과 Na은 들깻잎에서, K은 가지이었다. 4. 끓임시에 Vit.A는 콩나물, 숙주에서 Niacin은 콩나물, 참취, 숙주에서 잔존율이 높은 반면 AsA는 대체로 50%이하의 낮은 잔존율을 보였다. 극히 저조한 잔존율을 보인 것은 Vit.A의 무, 호박, 참취, 시금치, AsA의 시금치, 호박, 참취, 숙주이었다. 무기질에서 P은 숙주, 호박, 참취에서, Fe은 시금치, 무, 숙주에서, Mg은 참취, 무에서 Ca은 호박, 시금치에서 잔존율이 높았고 Na와 K은 이들에 비해 잔존율이 낮은 편이었다. 그중, 극히 낮은 잔존율을 보인 것은 Fe에서 콩나물, 호박, Mg에서 시금치, 콩나물, 숙주, Na에서 콩나물, K에서 콩나물, 시금치이었다. 5. 볶음시에 Vit.A는 도라지, 당근, 시금치에서 Niacin은 도라지에서 AsA는 가지에서 잔존율이 높은 편이나, 무, 참취에서는 Niacin이 무, 참취, 도라지에서는 AsA의 잔존율이 아주 낮았다. P은 호박, 참취, 도라지, 당근에서 Fe은 참취, 도라지에서 Mg은 참취, 도라지, 당근, 호박에서 Ca과 Na은 도라지, 당근, 오이에서 K은 호박, 참취, 도라지, 당근에서 잔존율이 아주 낮았으며 가지는 모든 무기질의 잔존율이 아주 낮았으며 그 외 호박에서는 Fe이, 돌나물에서는 K이 극히 낮은 잔존율을 보였다. 조림시에는 Vit.A는 우엉에서, Niacin은 무, 우엉 모두 잔존율이 높은 반면 AsA는 둘다 낮은 편이었다. 무기질은 무에서 Fe, Ca, Na, K과 우엉에서는 Na, P, K의 잔존량이 높은 반면 우엉에서 Fe의 잔존율이 극히 낮았다. 6. 각종 조리시 비타민과 무기질의 잔존상태가 전체적으로 좋은 결과를 보인 채소의 순서는 사용된 횟수에 차이가 있으나 도라지>들깻잎, 양배추>무, 오이>참취, 상추>숙주>시금치, 우엉, 돌나물>당근, 호박>콩나물>가지로 나타났으며, 조리법 중에서 잔존율이 좋은 것은 비타민의 경우는 생채이었고 무기질은 생채, 볶음, 조림이었다. 또한 Vit.A는 생채, 볶음, 조림에서 Niacin은 생채, 조림, 찜에서 AsA는 생채에서 잔존율이 좋았으며 P은 볶음, 생채에서, Fe은 생채, 데침, 끓임, 조림, 볶음에서 Mg은 생채, 조림, 볶음에서 Ca은 생채, 찜, 끓임, 조림, 볶음에서 Na은 조림, 볶음에서 K은 생채, 조림, 볶음에서 잔존율이 좋은 편이었다.

  • PDF

수확 전 LED, 형광등, UV-C 조사가 로켓 샐러드 내 글루코시놀레이트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 Harvest Light Treatments (LEDs, Fluorescent Lamp, UV-C) on Glucosinolate Contents in Rocket Salad (Eruca sativa))

  • 이혜진;천진혁;김선주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5권2호
    • /
    • pp.178-187
    • /
    • 2017
  • 인공 광원에 따른 rocketsalad(Eruca sativa L.) 내 GSL 함량을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광원의 종류는 자연광(Control-1 또는 2), Red LED, Blue LED, Mix(R+B) LED(Red LED+Blue LED), White LED, Fluorescent Lamp(FL), Fluorescent Lamp+UV-C(FL+UV-C). 실험은 식물 생장기 대수 제한 때문에 [실험 I;Control-1, Red LED, Blue LED, Mix(R+B) LED]과 [실험 II;Control-2, White LED, FL, FL+UV-C]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 Red LED와 FL에서 rocket salad의 잎의 길이의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그러므로 Red LED와 FL이 rocketsalad의 성장과 관계가 있음을 확인했다. Rocketsalad로부터 총 7종류의 GSLs(glucoraphanin, diglucothiobeinin, glucoerucin, glucobrassicin, dimeric 4-mercaptobutyl GSL, 4-methoxy glucobrassicin, gluconasturtiin)를 분리 및 동정하였다. [실험 I]에서 총 GSL 함량은 Red LED(4.30)에서 가장 높고 Blue LED($0.17{\mu}mol{\cdot}g^{-1}\;DW$)에서 가장 낮았다. [실험 II]에서 총 GSL 함량은 FL(13.45)에서 가장 높고 FL+UV-C($0.39{\mu}mol{\cdot}g^{-1}\;DW$)에서 가장 낮았다. 특히 Rocket salad의 강한 향과 매운 맛을 돋아주는 dimeric 4-mercaptobutyl 함량은 [실험 II]에서 Control-2에 비해 FL과 White LED가 각각 14.9, 3.2배 증가했다. 따라서 Red LED, White LED, FL은 rocket salad의 GSL 축적에 영향을 주었다고 판단된다.

꿩고기 가공제품의 저장중 미생물과 휘발성 염기태질소의 변화 (Changes in Microbial Contents and Volatile Basic Nitrogen of Pheasant Meat Products during Storage)

  • 최성현;김찬조;최성희;오홍록
    • 농업과학연구
    • /
    • 제25권2호
    • /
    • pp.168-175
    • /
    • 1998
  • 꿩고기 가공제품들의 저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이들 제품을 온도별로 저장하면서 호기성 및 혐기성 세균과 식중독균을 검사하고 VBN 함량을 측정하여 그 신선도 유지상태를 검사하였다. 1. 가공제품의 저장 중 Salmonella, Shigella, Staphylococcus속 균 등 식중독 원인균과 Escherichia coli는 어느 제품에서도 검출되지 않았다. 2.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호기성 및 혐기성 미생물의 증식속도가 빨라 $20^{\circ}C$$30^{\circ}C$ 저장에서는 대부분의 제품들이 5~10일 이내에 $10^6/g$ 이상의 균수를 보였으나 frank sausage, Ioin harm, pressed ham, salad 제품은 $20^{\circ}C$ 저장시 20~30일까지 $10^5/g$ 이하의 균수를 보였다. 3. $10^{\circ}C$ 저장에서는 훈연제품, 전기구이, pressed ham은 10일 이내에 $10^4/g$ 이상을 보였으나, frank sausage, Ioin ham, salad 제품은 $10^3/g$ 이하를 보여 비교적 좋은 저장성을 보였다. 4. 가공제품의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VBN 함량이 높았으며, 훈연제품, 전기구이, frank sausage는 $10^{\circ}C$ 저장에서도 5일에 40mg%, 10일에 80mg% 이상을 보여 가식한계를 벗어났으나, Ioin ham, pressed ham, salad는 $10^{\circ}C$ 저장에서 10일까지 20mg%이하의 VBN 값을 보여 비교적 양호한 저장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꿩고기 가공제품들은 비교적 저장성이 약한 것으로 보이나 이들중 Ioin ham과 salad는 타제품에 비하여 저장성이 좋아 $10^{\circ}C$에서 약 10일 정도의 보존이 가능하다고 사료되며, Ioin ham과 salad 외의 제품들은 $10^{\circ}C$ 이하의 냉장 및 냉동유통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 PDF

용인시내 초등학생의 급식선호도와 급식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and Preference of School Lunch Program of A School child in Yong-in city)

  • 이지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83-97
    • /
    • 200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mprovement of primary school lunch program. For this study, status of school lunch program. opinions of students of primary school in Yong-in city were surveyed by anquett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Menus of school lunch program were contained main dishes(cooked rice with soybean, cooked barley, cooked sorghum etc.). soups(soy paste soup. soy bean curd etc.) and side dishes(fried chicken, salad, fish cuttlet etc.). Students preferred Chinese and American style food such as Zazang rice Tang su youk, fish cuttlet. Many students disliked Korean style food such as dried radish salad. stir fried mushroom, soybean stew and spinach salad. One-line food service was better than separate food service for school feeding system by opinion of students. In conclusion, present manues of school feedings were not satisfied to students. it is desirable the several type of manue rather than unique manue were served to students.

  • PDF

급식소에서 제공되는 샐러드류의 조리후 보관방법 설정을 위한 품질 연구 (Studies on Holding Methods for Quality Assurance of Salads Served at Foodservice Institutions)

  • 김혜영;고성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11-218
    • /
    • 2004
  • The issue of safety and quality of cooked food served at foodservice institutions has brought more attention to food scientists because the foodservice system is growing and becoming more popular in Korea. In order to control the quality and safety of cooked foods, the production and holding methods of foods should be carefully studied and the implications considered by the foodservice industry. Therefore, studies on microbiological, nutritional,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y are essential in this area.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chemical and microbial qualities of salads during holding. Several holding temperatures in the range of 5∼26$^{\circ}C$ were used for holding. Chicken salad and ham & cucumber salad exceeded the standard after 30min of room temperature holding after preparation. Quality deterioration increased at higher holding temperatures, which suggested that refrigerator holding is the most desirable.

샐러드와 새싹채소에서 Enterococcus의 분리와 항생제 내성특성 (Antibiotic Resistances of Enterococcus Isolated from Salad and Sprout)

  • 강태미;조선경;박종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42-148
    • /
    • 2008
  • 샐러드와 새싹채소에서 분리한 Enterococcus의 항생제 내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샐러드 47개와 새싹채소 37개에서 Enterococcus를 분리하여 항생제 내성을 분석하였다. 총 95균주, 샐러드에서 41균주 새싹채소에서 54균주의 Enterococcus를 분리하였으며 대부분이 E. gallinarium, E. faecalis, E. faecium, E. hirae, E. casselifla편, E. avium으로 동정되었다. Vancomycin의 최소 생육 저해 농도는 $4{\mu}g/mL$ 이하로 샐러드와 새싹채소에서 분리된 Enterococcus에서는 vancomycin내성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모든 Enterococcus에서 streptomycin과 chloramphenicol에 내성을 보였으며, 22% Enterococcus는 penicillin에서 저농도 내성을 보였다. 그러나 거의 모든 Enterococcus에서 tetracycline에 민감성을 나타내었다. 검출된 모든 E. faecium과 E. faecalis에서도 ampicillin 저농고 내성을 보였으며, 7균주의 E. faecium과 5균주의 E. faecalis에서 rifampin 저농도 내성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분리된 Enterococcus는 vancomvcin과 다른 항생제에 대해 감수성과 낮은 내성을 각각 보였으며 다른 식품 분리균주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그러므로 샐러드와 새싹채소에서의 분리된 Enteroccocus는 vancomycin과 다른 항생제에도 내성이 낮아 특별히 항생제 위해정도는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스피루리나 첨가 샐러드 드레싱 보충 식이가 마우스 혈장 항산화 지표 및 DNA보호에 미치는 영양 (Effects of Spirulina Added Salad Dressing on the Antioxidant Index and DNA Protection in Mice)

  • 양윤형;조흔;패넬로프 펠리프;이정희;이선영;조용식;전혜경;송경빈;김미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86-396
    • /
    • 2005
  • The effects of spirulina-added salad dressing on lipid profiles and antioxidant biomarkers such as total glutathionine, TBARS value, carbonyl value, GPx, GR, SOD and paraoxonase activity in plasma or liver of mice were evaluated Sixteen male ICR mice weighing 20$\pm$2 g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fed low fat ($5\%$ fat) diet (low fat control: LFC) and low fat control plus dressing diet (LFD) for eight weeks. Body weight, tissue weights of liver, heart and kidney, and the distribution of body fat deposi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Also, the profile of TG, TC, LDL and HDL cholesterol were similar between two groups. The DNA damage was determined using the comet assay (single cell gel assay) with alkaline electrophoresis and quantified by measuring tail length (TL). Spirulina salad dressing consumption resulted in significant decrease in lymphocyte DNA damage expressed by TL (LFC: $28.8{\mu}m$, LFD: $20.3{\mu}m$). Additionally, salad dressing consumption for 8 wks decreased the lipid peroxidation assayed by TBARS to $12.6\%$ compared with the control. The levels of antioxidant vitamins such as $\beta$-caroten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lasma of LFD group than those in LFC group based on HPLC method This study shows that spirulina-added salad dressing exerts degenerative disease-protective effects on oxidative DNA damage and lipid peroxidation possibly via a free radical levels.

  • PDF